•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Ⅴ 관리방안

138

무등산국립공원 소리환경 관리

계획 수립

정밀 소리(소음) 지도 구축

소리경관 및 소음원 유형 파악

소리경관 및 소음원 목표 설정 및 관리방안 수립

무등산 자연의 소리 목록 작성 및 홍보 공원시설 및 장비

소음 관리

소음을 유발하는 공원시설 파악 및 저감대책 적용

장기적으로 공원차량 및 관리장비를 저소음 기계로 교체 고지대 통신탑

소음 관리

통신탑 저주파 기계음 저감 노력

경비견 반출(CCTV로 대체)

고지대 군부대 소음 관리

확성기 음량 저감 및 사용 자제 협의

- 국립공원 고지대 특수성을 고려한 확성기 사용 자제

야간 차량 이용 자제 그림 31. 무등산국립공원 소음 및 소리경관 관리방안

무등산국립공원 고지대 대규모 시설물 입지에 의한 생태계 영향 Ⅰ Ⅴ. 관리방안

139

의 교체가 필요함. 장기적으로는 고지대에 입지하고 있는 모든 시설물에 대해 단계적으로 이전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함

무등산국립공원 빛공해 관리계획 수립

실측 기반 정밀 빛공해 지도 구축

빛공해 관리 목표 설정 및 관리방안 수립

어둠보호지역(DSCA, Dark Sky Conservation Area) 지정 및 관리

공원 시설지 및 도로 조명 관리

집단시설지구, 공원마을, 도로 등 시설지 조명 전수조사 실시

빛공해 저영향 조명으로 교체

고지대 시설지 빛공해 관리

통신탑 당직 근무 시설 야간조명 외부확산 제어

야간 차량 이용 자제(군부대)

군부대 내 조명 전수조사 및 저영향 조명으로 교체

장기적으로 고지대 시설지 이전(통신탑 및 군부대) 그림 32. 무등산국립공원 빛공해 관리방안

빛공해 저감을 위한 조명 관리 방안

◾무등산국립공원 빛공해 저감을 위한 조명 관리방안은 크게 공원시설 조명 교체, 서식처 조 명 제한, 시설지 조명 관리가 필요함

◾공원시설 조명 교체는 공원에서 설치·운영하고 있는 화장실, 주차장, 탐방로 등 주요 시설 에 대해 조명 전수 조사를 실시하고 저영향 조명으로의 교체 및 사용시간의 관리가 필요함

◾서식처 조명 제한은 습지, 계곡, 희귀동식물 서식처와 같은 중요 생물서식처에 대한 빛공해 실태를 조사하고 조명에 제거 또는 꼭 필요할 경우 제한적으로 사용해야 함

◾시설지 조명 관리는 집단시설지구, 공원마을, 도로, 사찰 등 공원관리청이 아닌 지자체나 민 간에서 관리하는 공원 내 시설지에 대한 조명 전수조사가 필요함. 전수조사 결과를 바탕으 로 국립공원다운 밤하늘 보전을 위해 빛공해 저감 노력을 할 수 있도록 상호협력을 시행해 야함

Ⅴ 관리방안

140

공원시설 조명 교체 화장실, 주차장, 탐방로 등 주요 시설 조명 전수 조사

하향조명 사용, 사용시간 관리

서식처 조명 제한 중요 생물서식처 빛공해 실태 조사 실시

조명 제거 또는 사용 제한

시설지 조명 관리 집단시설지구, 공원마을, 도로, 사찰 등 공원내 시설지 조명 전수조사

빛공해 저감을 위한 조명교체 및 상호협력 시행 그림 33. 무등산국립공원 빛공해 관리방안

■ 공원시설 조명 교체 사례 대상지

■ 사방으로 확산되는 탐방지원센터 야간조명

(증심사지구) ■ 사방으로 확산되는 탐방로 조명(증심사지구)

■ 서식처 조명 제한 사례 대상지

■ 계곡까지 확산되는 야간조명(증심사지구) ■ 암벽식물까지 확산되는 야간조명(증심사지구)

무등산국립공원 고지대 대규모 시설물 입지에 의한 생태계 영향 Ⅰ Ⅴ. 관리방안

141

■ 시설지 조명 관리 사례 대상지

■ 사방으로 확산되는 공원 내 도로 조명 (증심사지구)

■ 사방으로 확산되는 상업지 내 조명 (증심사지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