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競合市場의 特性과 政策的 示唆點

第3章 定期船海運의 運賃決定에 관한 理論的 考察

第3節 定期船 運賃決定에 관한 新理論

2. 競合市場의 特性과 政策的 示唆點

몰비용으로 인해 자유로운 퇴출이 제약받게 되면 진입후 쉽게 퇴출할 수 없다는 위험부 담 때문에 비록 어떤 산업에 초과이윤의 여지가 있다고 할지라도 잠재기업은 그 산업으 로의 진입을 주저하게 되어, 매몰비용은 진입장벽으로 작용하게 된다. 경합시장은 이러한 매몰비용이 존재하지 않는 시장으로서, 완전경합시장에서는 퇴출도 진입과 동시에 완전 히 자유롭고 아무런 비용을 수반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정의된 경합시장에서는 퇴출에 따른 비용이 수반되지 않는, 이른바 매몰 비용이 0이라면 진입의 완전자유가 보장되므로 세 번째의 매몰비용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조건이 가장 중요한 가설이다. 또한 경합시장에서는 현재기업들이 항상 잠재적인 경쟁자 를 염두에 두어야 한다. 즉 현재기업들은 항상 잠재적인 경쟁기업들에 의한 진입의 위기 에 직면해 있다. 따라서 현재기업들은 이러한 신규진입을 배제하기 위하여, 특히 치고 달 리기식 진입을 막기 위하여 항상 정상이윤만 벌도록 가격과 산출량결정(Price-output Decision)을 하게 되므로, 경합시장의 기업들은 항상 효율적인 자원배분을 보장하는 최 적행동을 추구하게 된다는 것이다.

첫째, 경합시장에서는 어떤 기업도 정상이윤 이상을 벌 수 없다. 만약 어떤 기업이 조 금이라도 정의 초과이윤을 벌고 있다면 잠재적 진입기업은 아무런 장애없이 즉시 이 산 업에 진입하여 현재기업이 부과하는 가격보다 약간 낮은 가격으로 현재기업의 시장을 잠 식하여 정(+)의 초과이윤을 벌 수 있다. 따라서 현재기업은 진입의 위험 때문에 초과이윤 을 올릴 수 있는 가격을 책정할 수 없으며, 이 산업내의 모든 기업은 독점이든 과점이든 정상이윤 또는 그 이하만 벌게 된다.

둘째, 경합시장의 균형에서는 어떠한 산업의 비효율성(Inefficiency in Production)도 존재할 수 없다. 즉 투입배분의 비효율성, X-비효율성, 기업운영의 비효율성, 그리고 산 업조직의 비효율성 등이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현재기업은 효율적인 생산을 추구하지 않고서는 그 산업에서 생존할 수 없다. 물론 단기에서는 일시적으로 초과이윤이나 비효 율적인 생산이 가능할 수도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잠재적 진입기업의 자유로운 진입가능 성 때문에 초과이윤이나 비효율적인 생산은 절대로 불가능하다.

셋째, 경합시장의 장기균형에서는 항상 P(가격) ≥ MC(한계비용)이다. 만약 어떤 기 업이 생산량 y로써 정상이윤을 벌고 있는데 그 시장가격이 P〈 MC이라면 잠재적 진입 기업에게는 현재기업을 밀어낼 수 있는 성공적인 신규진입의 기회가 주어진다. 왜냐하면 신규진입기업이 y보다 약간 적은 생산량 y-ε을 P보다 약간 낮은 가격으로 판매하여도 적어도 현재기업만큼의 이윤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52) 이처럼 경합시장에서 시장가 격이 한계비용보다 작으면 항상 성공적인 진입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은 균형이 라 볼 수 없으며 장기균형에서는 반드시 P≥MC이어야 한다는 것은 한 개의 기업만이 존재하는 경우를 포함하여 보다 일반적인 결과를 규정한 것이며, 만약 두 개 이상의 기업 이 존재한다면 경합시장의 균형에서 반드시 P=MC가 만족되어야 한다. 또한 한 개의 기 업만이 존재할 때는 P=MC일 수도 있고, P〉MC 일지라도 신규진입이 반드시 성공할 수 없다는 보장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두 개 이상의 기업이 존재할 때 신규진입기업은 주 어진 가격 P에서 기존의 어느 한 기업의 판매량 이상을 타 현재기업으로부터 확보할 수

52) P<MC일 때는 줄인 생산량에 소요되었던 비용이 ε를 판매함으로써 얻은 수입보다 크기 때문에 ε만 큼 생산량을 줄일 때 총생산비가 총수입보다 더 많이 감소하여 총수입과 총생산비의 차이인 이윤은 오히려 증가함.

있는 여지가 있으므로, P〉MC이라면 신규진입자는 가격을 조금 내려도 판매량을 늘려 이윤을 증대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항상 성공적인 진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의 네 가지 특성을 종합해 볼 때 경합시장의 균형에서는 한 기업만 존재하는 경우 를 제외하고는 항상 후생이 극대화되는 최선의 파레토최적이 달성된다. 또한 하나의 기 업만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수요곡선이 평균비용곡선의 극소점을 지난다면 이러한 최선의 파레토최적이 달성될 수 있으며, 그렇지 않고 우하향하는 평균비용곡선 상에서 가격이 결정되면 차선의 파레토최적이 달성된다. 이처럼 완전경합시장은 후생의 관점에서 완전 경합시장의 개념을 더욱 일반화시킨 것이다.

2) 산업구조의 결정

경합시장이론은 산업구조가 효율성을 추구하면서 다른 변수들과 함께 동시에 내생적으 로 결정된다고 설명하고 있다. 여기에서 산업구조란 산업 내에 몇 개의 기업이 존재하는 가를 의미하는 것으로, 만약 그 산업 내에 하나의 기업만이 존재하면 독점이고, 두 개의 기업이 존재하면 복점 내지 완전경쟁으로 특정지워진다. 산업 내 기업의 수를 결정짓는 것은 다른 조건이 일정불변일 경우 그 산업 내 기업의 비용함수와 그 상품에 대한 산업 전체의 수요함수이다. 따라서 산업 내 기업의 생산비조건과 산업 전체의 상품수요조건이 외생적으로 주어졌을 때 균형산업구조, 즉 산업 전체의 시장수요량을 가장 낮은 비용으 로 공급할 수 있는 기업의 수이다. 이때 주어진 산업 전체의 시장수요를 하나의 기업에 의해서만 가장 낮은 비용으로 공급할 수 있다면 이것은 자연독점(Natural Monopoly)이 되고, 두 개 이상의 기업에 의해서 가장 은 비용으로 공급할 수 있다면 자연과점(Natural Oligopoly), 그리고 무수히 많은 기업에 의해서 가장 낮은 비용으로 공급할 수 있다면 자 연경쟁시장(Naturally Competitive Market)이 된다.

전통적인 시장이론에서는 산업구조를 외생적으로 일단 주어진 것으로 보고, 주어진 산 업구조 하에서 가격, 광고, R&D 등 다른 시장변수들이 어떻게 결정되는지를 분석하고 있으나, 경합시장이론에서는 산업구조 역시 내생변수이며, 따라서 균형산업구조도 가격, 생산량 등 다른 시장변수들과 함께 동시에 내생적으로 결정된다고 보고 있다.

요컨대 효율적인 산업구조는 시장수요를 가장 낮은 비용으로 공급할 수 있는 기업의 수에 의해 결정되며, 경합시장가설 하에서 두 개 이상의 기업이 존재할 때 이들 기업은 항상 평균비용의 극소점에서 생산함으로써 산업생산비를 극소화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효율적인 산업구조가 결정된다. 즉 효율적인 산업구조하에서는 각 기업은 항상 평균비용 의 극소점에서 생산함으로써 산업생산비를 극소화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효율적인 산 업구조가 결정된다. 즉 효율적인 산업구조하에서는 각 기업은 항상 평균비용의 극소점에 서 생산하고, P=MC가 된다. 만약 산업구조가 비효율적이면 이 산업은 항상 잠재적 진입 에 노출되어 있으며, 균형산업구조가 될 수 없다.

3) 정책적 시사점

경합시장이론으로부터 도출되는 정책적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기업에게 진입의 자유뿐만 아니라 퇴출의 자유 또한 부여되지 않으면 안된 다는 점이다.

둘째, 지금까지 어떤 산업에 신규진입이 없었다는 그 이유 자체를 진입장벽이 존재한 결과로서 보아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즉 경쟁가격 수준이 너무 낮아 진입이 일어나지 않 을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고도의 시장집중이나 수직적 내지는 수평적 통합이 있다고 자동적으로 정부개입 이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경합시장조건이 충족되고 있다면 시장이 설령 완전경쟁이 아 니더라도 정부의 개입은 불필요하다.

넷째, 정책방향은 경합성에 대한 모든 인위적 장벽과 자연적 장벽을 제거하는 방향으 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이다. 인위적 장벽이 되는 정부에 의한 진입제약과 공공정책에 의해 야기되는 진입장벽이 모두 제거되어야 한다. 도한 현재기업에 의한 진입을 방해하 기 위한 어떠한 위협도 제거되어야 한다. 이외에도 매몰비용인 자연적 진입장벽도 적절 한 정책적 수단을 통해 제거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