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4章 定期船 費用構造와 運賃構造
3. 運航費
운항비는 화물의 수송을 위하여 특정 항구간을 운항함으로써 발생되는 변동비적인 성 격의 비용으로써 주로 연료비, 항비 그리고 화물비로 구성된다.
1) 화물비(Cargo Handling Cost)
화물비는 항구에서의 화물적양하역비용, 고박비용, 고박자재비용, 검수료, 검정료, 하물 집하수수료 등 기타 운송계약에 의하여 운항자가 부담하게 되는 비용을 포함한다. 그것 은 화물량, 그 항만의 하역요금의 수준 하역방식 능률 등에 따라 달라진다. 그러나 대부 분이 운항자가 임의로 할 수 없는 것이며, 선박의 국적 또는 운항자의 국적에 따라 차별 이 있는 것이 아니라 기업간에 원가경쟁력을 낳게 하는 요인이 될 수 없음이 분명하다.
운항비절감을 위하여 계속적으로 대형선을 투입함으로써 대형선 기항지에서의 선사간 화물량 확보경쟁이 증가하게 되며, 특정기항지에서의 선사간 선적율을 높이기 위한 화물 집하경쟁으로 운임하락의 위험도 존재한다.
2) 연료비(Bunker Costs)
운항비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연료비로서 1979년 이후 급상승한 연료유 가는 근래의 선박운항코스트 상승의 주된 원인으로서 대형유조선을 비롯하여 모든 선박 이 감속항해 등의 방법으로 연료비 절감에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연도별 컨테이너선 을 비교한 표에서도 알 수 있듯이 연료절약형 선박의 개발에 각국의 조선소에서도 끊임 없는 연구를 하고 있다.
연료비는 기관의 상태에 따라서 유모소모율이 달라지며, 또한 유가에 따라 연료비는 크게 변화한다. 선박의 속도는 올라갈수록 연료비는 증가하지만 고정비 성격인 선원비, 자본비등은 감소하므로 이익이 극대화되는 최적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속도와 비 용과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⑴ 일당 고정비용이 크고 선박크기가 클수록 최적속력은 커진다.
⑵ 연료가격이 높을수록 최적속력은 낮아진다.
⑶ 속력이 빠를수록 최적속력을 넘는 속력의 증가분에 비하여 단위비용이 크게 증가한다.
⑷ 항해거리가 클수록 속력의 증가분에 대한 비용의 증가액이 커진다.
⑸ 연료가격이 높을수록 속력의 증가에 따라 비용의 증가액이 커진다.
⑹ 사용 가능한 화물적재 톤수가 클수록 속력증가에 대응한 비용의 증가분은 작아진다.
<표 4-2> 선박크기별 수치비교
Ship Type Name Specification Year
of Build Estimated Fuel Consumption (ton per day)
1,000-1,200 teu 18-19 knots
Canmar Valour Fas Meesin Amada Sprinter
ACX Cherry
1,061 teu/19kn 1,034 teu/18.5kn 1,048 teu/18kn 1,164 teu/18kn
1979 1987 1990 1994
51 50 36.5 36 2,000 teu
20-21 knots
Berlin Express Dover Bridge Califomia Zeus City of London
2,074 teu/20.5kn 2,054 teu/21.4kn 2,050 teu/21kn 2,006 teu/20.8kn
1973 1980 1986 1997
85 93 79 72 2400-2,600 teu
21-22 knots
MSC Pamela Koein Express Sea-Land Endurance
Contship Sprit
2,482 teu/22kn 2,594 teu/22.7kn 2,686 teu/20.7kn 2,432 teu/21kn
1972 1977 1980 1997
144 100 76 66.5 2,900-3,100 teu
21-23 knots
Liverpool Bay Nedlloyd Delft Choyang Chance
Acapulco
3,055 teu/23kn 2,952 teu/23kn 2,941 teu/23.2kn 2,959 teu/21kn
1972 1973 1980 1997
156 173 96 82 자료 : Drewry Shipping Consultants Ltd, partially derived from Clarkson's Containership Register 1998.
3) 항비(Port Costs)
항만비용은 항구에 머무르는 시간, 선박의 크기, 특정항구의 요율에 따라 커다란 차이 가 있다. 이것은 항만의 부두 예인선, 부두사용료, 접안료, 도선료 등에 크게 의존되는 비 용이다. 그러나 선박을 빠른 회항시간을 유지하는 것이 항비를 줄이는 방법이고, 국제경 쟁력을 유지하는 방안이기 때문에 항비에 대한 선주의 관심은 증대되고 있다.
4) 컨테이너 공급과 관리비용(Container Logistic Costs)
컨테이너선 운항에 관련하여 컨테이너 공급 및 유지관리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은 상 당한 비용이 발생되고 있어 컨테이너선 운항선사들의 원가 절감을 위한 노력이 집중되고 있다.
․장․단기 임차컨테이너 임차료, 반납비용
․공컨테이너(Empty Container) 정비 및 수리비
․공컨테이너 장치료(Storage)
․공컨테이너 이동(Relocation) 비용
․대리점 컨테이너 관리비용
<표 4-3> 컨테이너선 운임의 원가항목
[A] Cost of Ship 1. Depreciation 2. Interest
3. Insurance : Hull Insurance, P&I Insurance 4. Tax : Tax on Ship
5. Manning Cost & Provisions
: Crew's Wages, Provisions, Welfare, Insurance, Pensions, Travelling Expenses, etc 6. Stores & Supplies : Ropes, Wires, Paints, Machinery Parts, Daily Consumption 7. Lubricating Oils
8. Repairing Charges & Survey Fees
: Running Repaires, Annual Docking & Survey Fees 9. Miscellaneous Expenses
[B] Cost of Operation
1. Port Charges : Port Dues, Light Dues, Pilotage, Tuggage, Line Handling, Berthage, Terminal Expenses, Agency Fees
2. Canal Tolls : Panama, Suez, St. Lawrence Seaway 3. Bunkers : for Main & Auxiliary Engines
4. Other Expenses : Water, Communication 5. Direct Operating Expenses for Containers
: Pre Trip Inspection Charges, Cleaning Charges, Feeder Charges, Local Drayage Charges, Container Handling & Stowing Charges within Container Yard, Lift on/off Charges to/from Chassis
[C] Cargo Expenses
1. Loading & Unloading Charges
: Loading & Unloading Charges(Lifting Charges to/from Vessel) 2. Cargo Charges : Claim, Cargo Insurance
3. Booking Commission
[D] Indirect Expenses for Container and Equipment
1. Depreciation, Interest, Insurance, and Tax for Containers and Equipments 2. Leasing Charges
3. Repairing Charges
4. Charges for Empty Container (Relocation Charges, Lift on/off Charges, Storage Charges) [E] General and Administrative Expenses
(Including Interest for Investment on Container Yard) 자료 : 「荷主と輸送」, 1995. 10, p.12.
위에서 서술된 컨테이너선 비용구조 분류 외에도 여러 형태가 있으나 내용은 거의 동일 하지만 또 다른 컨테이너선 운임 원가 항목 분류를 보기 쉽게 요약하면 <표 4-3>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