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미 (성균관대학교)
가. 연구배경
개인이 특정한 대상에 갖는 태도는 미래에 이 대상과 관련된 행동 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159) 다시 말해 한반도 문제들에 대한 개인의
태
도는 이후 남북 문제와 관련된 행동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 다. 따라서 한반도 문제에 대한 개인의 태도를 이해하는 것은 현실 적으로 중요한 함의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1) 한반도에서 전쟁과 평화에 대한 개인의 태도, (2) 한반도에서 평화를 실현하기
위한 두 가지 수단 – 군사력 또는 협력 – 에 대한 개인의 태도에 초점 을 맞추었다.
전
쟁과 평화 라는 대상은 추상적인 개념으로 사람들은 익숙한 사
회적 통념에 따라 전쟁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평화에 대해서는 긍
정적으로 생각할 가능성이 높
다. 그러나 일반적인 수준에서의 전쟁 이나 평화가 아 닌, 남북 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 쟁이 나 평화를 떠 올
리는 것은 보다 구체적인 태도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한반도 대 내외적으로 평화와 공존의 지 향점이 윤곽을 드
러내는 가운데, 평화라
는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 어떤 방법을 선택할 것인가, 또는 어떤 과정을 거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은 현실적인 문제가 되었다. 따라서 한반도 평화를 실현하기 위한 두 가지 수단에 대해 국민들이 어떤태
도를 가지고 있는지 파악하는 것은 앞으로 남북한 양측 간의 관계 를 변화시키
는 과정에서 우리가 취해야 할 방향을 결정하는 데에 중159) Icek Ajzen and Martin Fishbein, “Attitude-Behavior Relations: A Theoretical Analysis and Review of Empirical Research,” Psychological Bulletin, vol. 84, no. 5 (1977), pp. 888~918.
요한 기여를 할 수 있다.
본 장에서는 추가적으로 국민들이 북한에 대해 느끼는 신뢰 수준 과, 북한에 관한 정보를 찾고 받아들이려는 노력, 그리고 남북 문제 의 미
래에 대해 얼마 나 낙관적으로 바라보고 있는지를 알
아보고자 하였다. 상대에 대한 신뢰는 상호 갈등 상황, 특히 경쟁과 협동의 선택을 쉽게 할 수 없는 딜레마 상황에서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알려져 왔다.160) 상대에 대한 신뢰가 높은 경우 지신이 협력을 했을 때 상대편에서도 협력을 할 것이라고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협력을 선택하게 되지만, 상대를 믿지 못하면 배신당할 것을 두려워
하여 자
신도 쉽게 협력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남북관계처럼 갈등이 고착화된 경우 특히 상대를 신뢰할 수 없고 협력을 통한 평화실현 방
식에 대해 비관적일 수 밖
에 없으며, 만일을 위해 군사력이나 무력 을 동원할 준비를 하게 된다.
상대
방에 대한 신뢰에 따라 상대편이 제공하는 정보, 또는 상대편
과 관련된 정보에 대한 반응이 달라질 수 있다.
161) 예를 들어, 상대방
을 신뢰하지 않으면 상대방이 제공하는 정보나
의견, 또는 상호 갈등 관계를 변화시킬
만한 외부로부터의 정보에 대해 부정적으로 반응할 것이다. 반면, 북한에 대한 신뢰가 높다면 현 재의 갈등 관 계
의 개선 및 상호 화해에 도움이 될 만한 정보를 더 적극적으로 탐색 하고 받아들이려고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남북 문제 및 남북관계 가 개선될 여지가 없다고 믿는다면 남북 화해를 위한 노력이나 행동
을 취하지 않을 것이다. 즉, 남북 문제의 미래에 대해 희망을 갖고160) Daniel Balliet and Paul A. M. Van Lange, “Trust, Conflict, and Cooperation:
A Meta-Analysis,” Psychological Bulletin, vol. 139, no. 5 (2013), pp. 1090~1112.
161) Craig D. Parks, Robert F. Henager, and Shawn D. Scamahorn, “Trust and Reactions to Messages of Intent in Social Dilemmas,” Journal of Conflict Resolution, vol. 40, no. 1 (1996), pp. 134~151.
낙
관적으로 생각할수록
적극적으로 정보를 탐색하고 수용하는 노력
을 취하려고 하고, 북한의 의도에 대해서도 더 긍정적으로 해석하려
고 하는 등 적극적인 행동이 나타날 것이다.구
체
적으로 남북 간 전쟁에 대한 태도, 남북 간 평화에 대한 태도, 한반도 평화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였다.추
가적으로 개인의 가치관과 세계관이 남북 간 화해에 긍정적인 영향
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북한에 대한 신뢰, 북한 관련 새로운 정 보를 수용하려는 노력, 남북 문제의 미래에 대한 희망에 미치는 영향
력을살펴보았
다.본 연구에서는 남북 간 화해 및 평화실현과 관련된 변수들을 설명 하는 데 있
어 개인의 가치관 및 세계관의 영향력을 살펴보았
다. 구체
적으로 우익권위주의, 사회지배성 향, 조절초점(향상 초점, 예방초
점), 미래
지향성, 주관적 안녕, 한국사회의 공정성에 대한 지각이 전술
한 전쟁과 평화에 대한 태도, 평화를 실현하는 방식, 북한에 대한 신뢰, 새로운 정보를 받아들이려는 노력, 남북관계에 대한 희망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개인이 세상을 바라보고 이해하는 틀 로서의 가치관 및 세계관은 다양한 장면에서 개인의 지각, 정서, 의 도, 태도, 행동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개인의 가치관 및 세계관 을 반영하는 변수들 중에서도 본 장에서는 사회적
‧정치적 문제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우익권위주의와 사회지배성향을
선택하여 분석에 포함하였다.
개인이 목표를 설정하고 추구해가는 과정에서 어느 기준에 초점 을 두는지를 나타내는 변수들로, 조절초점과 미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