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면, 한반도의 사회적 맥락이 고착화된 갈등의 사회적 맥락이라는 점은 분명해 보인다. 다음 절에서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상해를 입는다. 고착화된 갈등에서의 폭력은 그 빈도와 강도만 달라
질
뿐 장기간 지속된다. 물리적인 폭력으로 인한 피해, 특히 인명손
실은 사회 구성원 전체에 엄청난 감정적 영향을 미친다. 또한 폭력 의 결과로 발생한 희생자에 대한 대우 및 보상, 물리적 폭력의 재발방
지 노력,손
실에 대한 복수 등이 사회적 차원에서 이루어진다.넷째, 고 착화된 갈등은 제로섬
성격을 지니고 있다. 갈등의 당사자
들은 타협의 여지를 찾지 않고 상대방의 손실을 자신의 이득, 반
대로 자신의 손실은 상대방의 이득으로 인식한다. 고착화된 갈등은 협상의 가능성을 철저히 배제한 채 본래의 목표만을 고수하고자 하 는 전면적인 갈등이다. 갈등의 당사자들은 자신의 욕
구에만 몰두하 고 자신의 목적만을 종용한다. 특히 자신의 욕구를 생존의 필수 요소
로 인식하기 때문에 어떤 상황에서도 협상 특히 양보는 고려 대상 이 아니다. 결과적으로 협상과 양보를 고려하는 구성원은 자연적으 로 사회에서 배제된다.다
섯째, 고착
화된 갈등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은 분쟁이 평화 롭게
해결될 가능성이 있다고 인식하지 않
는다. 누구도 승리할 수 없기때문
에 양 당사자 공히 분쟁은 지속되고 그 과정에서 폭력적인 대립 이 발생할 것이라 예상한다. 결과적으로 사회 구성원들은 분쟁이 장 기화를 대비하며, 이는 사회 전반의 적응
과 변화로 이어진다.마지막으로, 고착화된 갈등은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의 중심 을 차지하고 있다. 사회 구성원들은 항상 분쟁에 관여하게 된다. 사 회 구성원들은 개인 또는 집단적인 목적으로 결정을 내려
야 할 경우
갈등과 관련한 사고를 쉽게 대입
하고 결정의 주요 요소로 고려한다.고
착화된 갈등의 중심성은 공공 의제에서 갈등이 얼
마나 부각되는 지를 보면 더 확연히 알 수 있다. 언론, 리더십, 기타 사회 제도는큰
범위에서 지속적으로 고착화된 갈등에 집착하는 모습을 보여준
다. 결과적으로 고
착
화된 갈등 사회는 방대한 물자(i.e., 군수, 기술
,및
경제) 및 심리적 투자를 통해 갈등에 성공적으로 대처하고 자
한다.그렇다면 남한의 사회적 맥락을 고 착화된 갈등의 맥락으로 이해
할 수 있을까? 분단된 한반도는 고착
회된 갈등의 특징을 전형
적으로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분단이 ① 대 규모 살육이 라는 물
리적 폭력을 수반하였고, ② 전쟁
으로 굳어진 분단은 70년 이상 장기화되었
고, ③ 분단으로 세계를 이분법적으로 보고 상대를 타자화(심지 어
적대시)하는 문화를 내면화하고 있고, ④ 남북관계를 제로섬 게임식 으로 접근하며 사회적 갈등을 재생산하고 거기에 분단 상황을 활용
해왔다. 이는 분단이 물리적 폭력을 수반하고 있는 동시에 구조적, 문
화적 폭력으로 심화되었음을 의미한다. 이를 통칭하 여 ‘분단폭력’
이
라는 개 념까지 나올 정도이다.
14)백낙청
의 ‘분단체제론
’은 분단이 70년 이상 지속되면서 한반도 주 민들의 일상생활 뿌리를 내렸으며 상당 수준의 자기 재생산 능력을 갖추고 있다고 평가하였다.
15) 백낙청은 분단체제의 삶
은 일상적 분 단의 삶이며 분단을 무반성적으로 받아들이는삶이 라고 주장하였
다. 같은 맥락에서 이우영은 우리가 인식하고 있지 못
하지만 개인의일
상적 행위와 사고로부터 사회 전반 그리고 문화에 이르기까지 다 양한 차원에서 ‘분단구조’가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16)홍영표
는 남한의 사회적 맥락을 냉전문화로 설
명하며 북한에 대한 사회적 인식 그리고 미국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갈등을 주목하였다.그
는 한국사회의 갈등문화가 미국이나 북한에 대한 인식이 상대방 에 대한 적개심을 표현하는 배타적 가치로 작동하였으며, 이러한 문14) 한반도 분단의 폭력성은 김병로‧서보혁, 뺷분단 폭력 :한반도 군사화에 관한 평화학적 성찰뺸(파주: 아카넷, 2016)를 참고하면 된다.
15) 백낙청, 뺷흔들리는 분단체제뺸(서울: 창작과 비평, 1998), pp. 17~18.
16) 이우영, “제3장 새로운 통일담론의 필요성,” 뺷비교사회뺸, 제4호 (2002), pp. 76~83.
화가 한반도 문제와 미국 및 북한에 대한 객관적 인식의 형성을 저해 할 뿐만 아니
라, 일상생활에서까지 관용과 이해보다는 이분 법적 갈
등과 불신의 가치를 확대시켰다고 평가하였다.17) 고착화된 갈등은‘분단체제론’, ‘분단구조
론’, ‘냉
전문화론’이 제기한 ‘분단의 일
상적영향력
’에 대한 총체적이고 체계적인 분석의 틀을 제공한다고 평가할 수 있다.
Dalam dokumen
2019 한국인의 평화의식
(Halaman 40-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