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검증년도 전체영향분석(2001년-1998년)

가. 총부채비율(01-98) 영향분석

7개의 해운기업 재무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요인이 외환위기 이후의 검 증년도인 1998년-2001년 사이에 외항선사의 총부채비율(재무구조)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다변량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외환손실은 매출액과 자기자본 대비로 산출하여 분석하였는데, 각각의 다변량 회귀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매출액 대비 외환손실율의 경우

매출액기준에 의한 외환손실율을 포함한 7개의 특성요인이 검증년도 외항선 사의 총부채비율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실시한 다변량 회귀분석결과는 다음의 <표 4-6>과 <표 4-7>에 나타난 바와 같다

<표 4-6> 모형의 적합도 요약

R 제곱 수정된 R 제곱 추정값의 표준오차 F 유의확률

.980 .974 1.5388 172.157 .000

독립변수의 종속변수에 대한 모형 설명력을 나타내는 R2값이 0.980이고, F 값은 172.157이며 유의확률이 0.000으로서 7개의 독립변수인 외항선사의 특 성요인이 총부채비율에 미치는 회귀분석모형은 적정한 것으로 평가된다. 분석 결과표에 의하면, 고정비율의 베타값이 1.012이고 유의확률이 0.000으로서 총부채비율에 가장 크게 정(+)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판명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외환손실율의 베타값이 -0.059이고 유의확률이 0.078으로서 유 의확률이 0.1이하에서 다소 약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

다. 그 외의 매출액규모, 이자보상배수, 용선수입율 그리고 현금흐름율은 총부 채비율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표 4-7> 총부채비율과 특성요인간의 회귀분석결과(01-98)-매출액기준

독립변수 B 표준오차 베타 t 유의확률

(상수) 1.291 2.273 .568 .575

매출액규모 -0.0818 .177 -.015 -.463 .647 매출변화율 1.531 1.243 .042 1.232 .229 이자보상배수 -.167 .185 -.028 -.904 .375

고정비율 1.432 .042 1.012 33.819 .000***

용선수입율 -.771 1.240 -.020 -.621 .540 현금흐름율 -1.206 2.067 -.020 -.584 .565 외환손실율 -24.683 13.417 -.059 -1.840 .078*

* 유의확률; *** p<0.01, ** p<0.05, * p<0.1

2) 자기자본대비 외환손실율의 경우

자기자본기준에 의한 외환손실율을 포함한 7개의 특성요인이 검증년도 외항 선사의 총부채비율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실시한 다변량 회귀분석결과는 다음의 <표 4-8>과 <표 4-9>에 나타난 바와 같다.

<표 4-8> 모형의 적합도 요약

R 제곱 수정된 R 제곱 추정값의 표준오차 F 유의확률

.981 .976 1.4878 184.407 .000

7개의 독립변수인 외항선사의 특성요인이 총부채비율에 미치는 회귀분석모 형은 적정한 것으로 평가된다. 즉, 독립변수의 종속변수에 대한 모형 설명력 을 나타내는 R2값이 0.981이고, F 값은 184.407이며 유의확률이 0.000이므로 회귀모형은 유의적인 것으로 판명되고 있다. 분석결과표에 의하면, 고정비율 의 베타값이 1.055이고 유의확률이 0.000으로서 총부채비율에 가장 크게 정 (+)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판명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외환손실율의

베타값이 -0.086이고 유의확률이 0.029로서 유의확률이 0.05이하에서 부(-)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평균매출변화율의 베타값은 0.061이며 유의확률이 0.059로서 총부채비율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지만, 매출액규모, 이자보상배수, 용선수입율 그리고 현금흐름율은 총부채비율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 다.

<표 4-9> 총부채비율과 특성요인간의 회귀분석결과(01-98)-자기자본기준

독립변수 B 표준오차 베타 t 유의확률

(상수) .427 2.219 .193 .849

매출액규모 -.0339 .173 -.006 -.196 .846 매출변화율 2.238 1.133 .061 1.975 .059*

이자보상배수 -.207 .180 -.035 -1.154 .260 고정비율 1.492 .052 1.055 28.578 .000***

용선수입율 -.715 1.200 -.018 -.596 .557 현금흐름율 -1.535 1.999 -.025 -.768 .450 외환손실율 -2.101 .907 -.086 -2.316 .029**

* 유의확률; *** p<0.01, ** p<0.05, * p<0.1

나. 고정부채비율(01-98) 영향분석

1) 매출액 대비 외환손실율의 경우

중요 외환위기를 대변하는 환경변수인 매출액기준에 의한 외환손실율을 포 함하여 7개의 특성요인이 검증년도 외항선사의 고정부채비율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실시한 다변량 회귀분석결과는 다음의 <표 4-10

>과 <표 4-11>에 나타난 바와 같다.

<표 4-10> 모형의 적합도 요약

R 제곱 수정된 R 제곱 추정값의 표준오차 F 값 유의확률

.963 .953 1.3503 97.363 .000

독립변수의 종속변수에 대한 모형 설명력을 나타내는 R2값이 0.963이고, F 값은 97.363이며 유의확률이 0.000으로서 7개의 독립변수인 외항선사의 특성 요인이 고정부채비율에 미치는 회귀분석모형은 적정한 것으로 평가된다. 분석 결과표에 의하면, 고정비율의 베타값이 0.935로서 고정부채비율에 가장 크게 정(+)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판명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외환손실율의 베타값이 0.168이며 유의확률이 0.000으로서 역시 고정부채비율에 강한 정 (+)의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평균매출변화율의 베타 값은 0.084이고 유의확률이 0.071로서 유의확률이 0.1이하에서 다소 약한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매출액규모, 이자보상배수, 용선 수입율 그리고 현금흐름율은 고정부채비율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 으로 나타나고 있다.

<표 4-11> 고정부채비율과 특성요인간의 회귀분석결과(01-98)-매출액기준

독립변수 B 표준오차 베타 t 유의확률

(상수) -2.076 1.944 -1.392 .176 매출액규모 .153 .153 .043 .998 .328 매출변화율 2.049 1.091 .084 1.879 .071*

이자보상배수 -.171 .160 -.044 -1.072 .294 고정비율 .759 .032 .935 23.912 .000***

용선수입율 .294 1.054 .011 .279 .783 현금흐름율 -.655 1.751 -.016 -.374 .712 외환손실율 46.757 11.732 .168 3.985 .000***

* 유의확률; *** p<0.01, ** p<0.05, * p<0.1

2) 자기자본대비 외환손실율의 경우

자기자본기준에 의한 외환손실율을 포함한 7개 특성요인이 검증년도 외항선 사의 고정부채비율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실시한 다변량 회귀분석결과는 다음의 <표 4-12>과 <표 4-13>에 나타난 바와 같다.

<표 4-12> 모형의 적합도 요약

R 제곱 수정된 R 제곱 추정값의 표준오차 F 유의확률

.917 .895 1.9928 42.547 .000

7개의 독립변수인 외항선사의 특성요인이 고정부채비율에 미치는 회귀분석 모형은 적정한 것으로 평가된다. 즉, 독립변수의 종속변수에 대한 모형 설명 력을 나타내는 R2값이 0.917이고, F 값은 42.547으로서 유의확률이 0.000 이 므로 회귀모형은 유의적인 것으로 판명되고 있다. 분석결과표에 의하면, 고정 비율의 베타값이 0.890이고 유의확률이 0.000으로서 고정부채비율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판명되고 있지만, 외환손실율을 비롯하여 평균매출변 화율, 매출액규모, 이자보상배수, 용선수입율 그리고 현금흐름율은 고정부채비 율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표 4-13> 고정부채비율과 특성요인간의 회귀분석결과(01-98)-자기자본기준

독립변수 B 표준오차 베타 t 유의확률

(상수) -2.452 2.899 -.846 .405 매출액규모 .161 .228 .045 .705 .487 매출변화율 -.726 1.443 -.031 -.503 .619 이자보상배수 -.09831 .236 -.025 -.416 .681

고정비율 .709 .062 .890 11.434 .000***

용선수입율 1.597 1.502 .064 1.063 .297 현금흐름율 .321 2.577 .008 .124 .902 외환손실율 1.446 1.191 .096 1.214 .235

* 유의확률; *** p<0.01, ** p<0.05, * p<0.1

2. 2001년도 영향분석

상기에서는 검증년도 전체의 회귀분석이었지만 다음은 년도별로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가. 2001년도 총부채비율 영향분석

매출액기준에 의한 외환손실율을 포함한 7개의 특성요인이 2001년도 외 항선사의 총부채비율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실시한 다변 량 회귀분석결과는 다음의 <표 4-14>과 <표 4-15>에 나타난 바와 같다.

1) 매출액 대비 외환손실율의 경우

<표 4-14> 모형의 적합도 요약

R 제곱 수정된 R 제곱 추정값의 표준오차 F 값 유의확률

.957 .946 9.4364 88.409 .000

<표 4-15> 총부채비율과 특성요인간의 회귀분석결과(2001년)-매출액기준

독립변수 B 표준오차 베타 t 유의확률

(상수) 25.192 12.658 1.990 .056*

매출액규모 -1.578 1.063 -.062 -1.485 .149 매출변화율 -4.361 6.772 -.030 -.644 .525 이자보상배수 -1.847 1.293 -.061 -1.413 .169

고정비율 1.847 .083 .948 22.287 .000***

용선수입율 -8.283 5.556 -.060 -1.491 .147 현금흐름율 -16.565 13.237 -.053 -1.251 .221 외환손실율 -135.529 82.388 -.080 -1.645 .111

* 유의확률; *** p<0.01, ** p<0.05, * p<0.1

독립변수의 종속변수에 대한 모형 설명력을 나타내는 R2값이 0.957이고, F 값은 88.409이며 유의확률이 0.000이므로 7개의 독립변수인 외항선사의 특성 요인이 총부채비율에 미치는 회귀분석모형은 적정한 것으로 평가된다. 분석결 과표에 의하면, 고정비율의 베타값이 0.948이고 유의확률이 0.000으로서 총 부채비율에 매우 강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판명되고 있지만, 그 외의 특성요인들은 총부채비율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고 있다.

2) 자기자본대비 외환손실율의 경우

자기자본기준에 의한 외환손실율을 포함한 7개의 특성요인이 2001년도 외 항선사의 총부채비율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실시한 다변 량 회귀분석결과는 다음의 <표 4-16>과 <표 4-17>에 나타난 바와 같다.

<표 4-16> 모형의 적합도 요약

R 제곱 수정된 R 제곱 추정값의 표준오차 F 값 유의확률

.954 .942 9.7330 82.864 .000

<표 4-17> 총부채비율과 특성요인간의 회귀분석결과(2001년)-자기자본기준

독립변수 B 표준오차 베타 t 유의확률

(상수) 23.617 13.313 1.774 .087*

매출액규모 -1.768 1.090 -.070 -1.622 .116 매출변화율 1.672 5.976 .012 .280 .782 이자보상배수 -2.080 1.319 -.069 -1.576 .126

고정비율 2.070 .261 1.062 7.934 .000***

용선수입율 -7.873 5.731 -.057 -1.374 .180 현금흐름율 -18.514 13.911 -.059 -1.331 .194 외환손실율 -5.697 6.130 -.126 -.929 .361

* 유의확률; *** p<0.01, ** p<0.05, * p<0.1

독립변수의 종속변수에 대한 모형 설명력을 나타내는 R2값이 0.954이고, F 값은 82.864이며 유의확률이 0.000이므로 7개의 독립변수인 외항선사의 특성 요인이 총부채비율에 미치는 회귀분석모형은 적정한 것으로 평가된다. 분석결 과표에 의하면, 고정비율의 베타값이 1.062이고 유의확률이 0.000으로서 총 부채비율에 매우 강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판명되고 있지만, 그 외의 나머지 독립변수들은 총부채비율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표 4-18> 모형의 적합도 요약

R 제곱 수정된 R 제곱 추정값의 표준오차 F 값 유의확률

.969 .961 3.1700 123.653 .000

<표 4-19> 고정부채비율과 특성요인간의 회귀분석결과(2001년) -자기자본기준

독립변수 B 표준오차 베타 t 유의확률

(상수) -9.533 4.336 -2.203 .036**

매출액규모 .605 .355 .060 1.705 .099*

매출변화율 1.046 1.946 .018 .537 .595 이자보상배수 .920 .430 .077 2.141 .041**

고정비율 .602 .085 .782 7.080 .000***

용선수입율 2.955 1.867 .055 1.583 .125 현금흐름율 5.236 4.531 .042 1.156 .258 외환손실율 4.050 1.997 .227 2.029 .052*

* 유의확률; *** p<0.01, ** p<0.05, * p<0.1

독립변수의 종속변수에 대한 모형 설명력을 나타내는 R2값이 0.969이고, F 값은 123.653이며 유의확률이 0.000이므로 7개의 독립변수인 외항선사의 특 성요인이 고정부채비율에 미치는 회귀분석모형은 적정한 것으로 평가된다. 분 석결과표에 의하면, 고정비율의 베타값이 0.782이고 유의확률이 0.000으로서 고정부채비율에 가장 크게 정(+)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판명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외환손실율의 베타값이 0.227이고 유의확률이 0.052로서 유의확 률이 0.1이하에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이자보 상배수는 베타값이 0.077이고 유의확률이 0.041로서 유의확률이 0.05이하에 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매출액 규모도 베타값은 0.06이며 유의확률이 0.099로서 유의확률 0.1이하에서 고정부채비율에 다소 약한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매출변화율, 용 선수입율 그리고 현금흐름율은 고정부채비율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3. 2000년도 영향분석

가. 2000년도 총부채비율 영향분석

1) 매출액 대비 외환손실율의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