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목표재무구조에 대한 조정속도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기업의 재무구조결정에 관한 정책적 절충이론에서는 기업마다 목표채무비율 을 설정하고, 목표채무비율을 유지하려는 방향에서 자금조달방법을 선택하는 것으로 보았다. 특정기업의 부채비율이 목표부채비율에 미달할 경우에는 부채 발행으로 자금을 조달하게 되고 반대로 특정기업의 부채비율이 목표조달비율

51) W. White, "Debt Management and the Form of Business Financing", Journal of Finance, Vol.29, May 1974, pp.565-577.

을 상회할 경우에는 주식발행으로 자금을 조달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런데 부채나 주식의 발행과 관련하여 조정비용이 없다면 목표부채비율로 조정이 즉각 이루어질 것이나 조정비용이 있을 경우에는 기업의 부채비율이 목표부채비율에서 이탈되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재무관리분야에서는 목표부채비율로의 조정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 명하려는 연구가 Taggart(1977) 및 Jalivand와 Harris(1984)52) 등에 의하여 이루어진 바 있으며, 이에 대한 검토내용을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기업부문 전체의 자료를 이용한 Taggart의 연구에서는 주가수준이 높을수록 주식발행이 증가하고, 장기금리수준이 높아서 그 하락이 예상되는 상황에서는 회사채의 발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Jalivand와 Harris는 108개 기업을 표본으로 1966년-1978년 기간의 재무자 료를 이용하여 조정과정을 연구하였는데 이 연구에서는 기업의 자금조달행동 이 장기재무목표에 대한 부분조정과정이라는 것과 조정속도를 결정하는 요인 은 이자율동향, 주가수준 그리고 기업규모라는 것을 밝히고 있다.

여기서 문제점으로 지적할 수 있는 것은 기업의 목표부채비율을 결정하는 요인과 목표부채비율로의 조정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연구에 따라서 혼 합되어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부채-주식 선택의 결정요인을 연구한 Marsh(1982)53)는 기업규모, 영업위험, 자산구성을 목표부채비율의 결정요인 으로 제시하였으며, Jalivand와 Harris(1984)54)의 연구에서는 시장상황요인 이 외에 기업규모가 조정속도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제시하고 있다.

또 한가지 문제는 목표부채비율이 내생적 요인이냐 아니면 외생적 요인이냐 하는 점이다. Taggart(1977), Jalivand와 Harris(1984) 등 기존의 실증연구에 서는 목표부채비율이 내생적으로 결정되는 것으로 보아 일정기간의 부채비율 평균을 목표부채비율로 간주하고 있고, Lev55)는 업종평균부채비율을 목표로서 52) R. Taggart, "A model of Corporate Financing Decisions." Journal of Fiance, Vol.32, December 1977, pp.1467-1494.; A Jalivand and R Harris, "Corporate Behavior in Adjusting to Capital Structure and Dividend Targets An Econometric Study," Journal of Finance, Vol.39, March 1985, pp.127-145.

53) P. Marsh, "The Choice Between Equity and Debt : An Empirical Study", Journal of Finance, Vol.38, March 1982, pp.121-144.

54) Jalivand and Harris, op. cit.

55) B. Lev, "Industry Averages as Targets for Financial Rations," Journal of Accounting Research, Vol.7, Autumn 1969, pp290-299.; B. Lev and D. Peckelman,

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실증하고 있다.

업종평균부채비율이 목표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근거로는 다음 두 가지 를 고려할 수 있다. 첫째로는 동일업종에 속한 기업은 외부요인의 변화에 대 해 비슷한 반응을 보이고 있어 부채정책과 같은 재무구조결정도 유사하게 내 려질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둘째로는 금융기관이 개별기업의 대출한도에 관한 의사결정에 있어 업종평균부채비율을 이용하고 있어 업종평균부채비율을 개별기업의 재무구조를 결정하는 외생적 요인으로 간주할 수 있다는 것이다.

Miller와 Modigliani가 자본구조 무관련이론을 발표한 이래 많은 학자들은 어 떠한 이유에 의하여 자본조달수단이 선택되는가 하는 문제를 자본구조의 이론 과 실제를 연계시켜 해명하려는 많은 시도가 지속적으로 전개되어 왔으나 오 늘날까지 실제적인 자본구조 결정행태를 총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일반론적 이론은 존재하지 않는 것 같다. Ferri와 Jones(1979)56)는 낮은 재무레버리지 집단을 제외한 대부분의 집단에서는 자본구조 무관련이론이 적용된다고 보았 고, Flath와 Knoeber(1980)57)도 조세효과와 파산비용을 실증적으로 측정하여 자본구조 무관련을 검정하였다. 이에 반해 Castanias58)는 기업선재확률과 재 무레버리지 사이에 부(-)의 관계가 존재한다는 실증연구를 통해 자본구조 무 관련이론을 부정하였고 Bradley, Jarrel, Kim59) 등도 최적자본구조가 존재함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연구에 대해 국내에서도 최근에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 들 결과를 종합해보면 대부분의 연구결과가 전통적인 자본구조이론에 대해서 는 일치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으나 기타 이론에 대해서는 이견을 보이고 있으 며, 기업환경측면에서는 내부자금규모, 세제, 인플레이션, 물가지수, 정부차입 공모 등을 기업의 재무구조결정요인으로 보고 있다.

"A Multiperiod Adjustment Model for the Firm's Capital Structure," Journal of Finance, Vol.30, March 1975, pp.75-92.

56) M. Ferri, W. Jones, op. cit., 1979

57) M. Flath, C. Knoeber, "Taxes, Failure Costs and Optimal Industry Capital Structure: An Empirical Test", Journal of Finance, Vol.35, March 1980, pp.631-644.

58) R. Castanias, "Bankruptcy Risk and Optimal Structure," Journal of Finance, Vol.38, December 1983, pp.1617-1635.

59) M. Bradley, G. Jarrell, E. Kim, op. cit., 1984.

제3장 한국해운산업의 경영적 특성과 외항선사의 경영현황분석

제1절 해운산업의 특성과 재무구조

타 산업과 비교되는 해운산업, 특히 외항해운산업(이하 '해운업')의 특성은 국제성과 자본집약성을 들 수 있다. 이 특성들은 해운업의 재무구조에 직접 영향을 미침에 따라 해운업의 재무구조를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해운업과 타 산업을 비교하여 그 특성을 정확하게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하 에서는 이 두 가지 특성이 구체적으로 어떤 것이며, 이것이 해운업의 재무구 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관하여 검토하기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