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본 연구는 양보관계 연결어미인 ‘-아/어도, -더라도, -(으)ㄴ/는데도, -(으) ㄹ지라도’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실제 상황에서 이를 어떻게 사용하는지를 분석하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 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양보관계 연결어미 교육 방안을 마련하 는 데에 목적을 둔다.

한국어 양보관계 연결어미는 그 수가 많고 서로 간의 미묘한 차이가 존 재하며 상황 맥락에 따라서 다르게 사용된다. 이로 인하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양보관계 연결어미를 학습하는 데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실제 담화 상황에서 오해를 초래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이로 인해 학습자 가 양보관계 연결어미 간의 미묘한 차이를 구별할 수 있는 능력과 실제 상황에서 이를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먼저 선행연구를 토대로 하여 한국어 양보와 양 보관계 연결어미의 개념을 재검토하였다. 이어서『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적용 연구』 양보관계 연결어미 중에서 실생활 활용도가 높다고 볼 수 있는 ‘-아/어도’, ‘-더라도’, ‘-(으)ㄴ/는데도’, ‘-(으)ㄹ지라도’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Ⅱ장에서는 한국어 양보관계 연결어 미의 통사적, 의미적, 화용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통사적 제약 부분은 선행 연구를 토대로 고찰하였으며 의미적 특성 부분은 사전의 의미 고찰을 통 하여 양보관계 연결어미의 공통의미를 검토하였으며 예문을 통해 이들 간 의 미묘한 의미 자질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또한 한·중 병렬 말뭉치를 사 용하여 각 양보관계 연결어미의 중국어 대응 표현을 살펴보았다. 화용적 특성 부분에서는 먼저 선행연구를 통해 담화 분석의 틀을 정하였으며 이 틀에 따라 세종 구어 말뭉치와 드라마 대본 26회에서 나오는 양보관계 연 결어미를 분석하였다.

Ⅲ장에서는 앞 장의 분석을 바탕으로 하여 중국인 학습자의 양보관계 연결어미의 사용 및 인식 양상을 확인하고자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실험 집단으로, 한국어 모어 화자를 대조 집단을 선정한 후 설문 조사를 실시하

였다. 설문 조사를 실시한 후에는 이들을 대상으로 하여 사후 인터뷰를 실 시하였다. 설문 조사와 인터뷰를 통해서는 중국인 학습자가 고급 단계에 이르러서도 양보관계 연결어미를 사용함에 있어 여전히 많은 오류를 범하 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와 모어 화자의 양보관계 연결어미에 대한 의미적, 화용적 인식은 큰 차이가 존재하고 있 음을 알 수 있었다. 많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은 상황에 따른 양보관계 연결어미의 사용 차이를 제대로 구별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 가 이러한 오류를 범한 원인은 모국어의 간섭, 목표어의 영향, 담화 맥락 정보의 인식 부족, 교육 부재로 결론지을 수 있었다.

이어서 Ⅳ장에서는 앞서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양보관계 연결어미의 교육 방안을 마련하였다. 먼저 교육 목적 및 목표를 설정하였다. 학습자들이 양보관계 연결어미를 사용하여 원활한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인식, 이해, 사용 등 세 가지 측면에서 교육 목표를 설정하였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통사적, 의미적, 화용적 측면에서 양보관계 연결어미의 교육 내용을 제시하였다.

뿐만 아니라 학습자가 양보관계 연결어미의 통사적, 의미·화용적 특성을 인식하는 데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정확성과 유창 성을 모두 추구하는 형태 초점 접근법을 활용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PPP모형, TTT모형, OHE모형은 변형시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오류 를 많이 일으키는 ‘-더라도’를 예시로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고는 통사적, 의미적, 화용적 측면에서 양보관계 연결어미의 문법적 체계를 구축하였으며,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사용 및 인식의 문제점을 밝혔으며 이를 토대로 교육 방안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그러나 보다 다양한 양보관계 연결어미를 다루지 못하였다는 점, 문어의 사용 양상을 다루지 못하였다는 점, 양보관계 연결어미의 모든 의사소통 기능을 분석하지 못하였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향후 이 러한 본고의 한계를 극복하여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참고 문헌

고랑원(2016), 한국어 교육을 위한 양보 표현 연구-복합형 표현 항목을 중 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고몽영(2015),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양보관계 연결어미 교육방안 연구 -‘-아/어도, -더라도, -ㄹ지라도’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고영근·구본관(2018), 개정판 우리말 문법론, 집문당.

공혜남(2012),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양보 관계 연결어미 교육 연구,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구본관 외(2015), 한국어 문법 총론 Ⅰ, 집문당.

구재희·장채린(2014), ‘-아/어도’, ‘-더라도’, ‘-고도’, ‘-(으)ㄴ는데도’의 의미 변별 및 교수 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4, 국제한국어교육학회, pp.93-104.

권수정(2010), 한국어 교육을 위한 양보관계 연결어미 교수 학습 방안 연 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권수정(201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기술을 위한 연구-양보관계 연결 어미를 중심으로, 태릉어문연구 17, 서울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회, pp.120-156.

김광해(1987), 선택과 양보(Ⅰ) -‘-라도’와 ‘-나’를 중심으로, 국어학16, 국 어학회, pp.597-620.

김경훈(1985), 특수조사 ‘도’와 접속어미 ‘도’에 대하여, 개신어문연구4, 개 신어문학회, pp.5-29.

김민순(2015), 특수조사 ‘-도’의 중국어 복문 대응 표현에 관한 의미 화용 론적 고찰, 중국어문학지 58(58), 중국어문학회, pp.179-209.

김민주(1981), 국어문법론, 일조각.

김유정(1998),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교육: 문법 항목 선정과 단계화를 중심으로, 한국어 교육 9(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pp.19-36.

김윤정(2002), 국어 양보 접속어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석사논문.

김일병(1982), 조사 ‘도’의 용법과 의미, 국어교육 41, 한국국어교육연구회,

pp.105-134.

김정민(1992), 보조사 ‘도’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향숙(2012),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연결어미 교육 연구, 충남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김현지(2006), 한국어 접속문에서의 양보 표현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남기심·고영근(1993), 표준 국어문법론, 탑출판사.

동시문(2015),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연결어미 습득 연구 –양보 연결어 미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뤼창화(2017), 한·중 양보표현 문법 항목 대조 연구 -‘-아/어도', ‘-더라도',

‘-(으)ㄹ지라도', ‘-(으)ㄴ들', ‘-(으)ㄹ망정', ‘-(으)ㄹ지언정'을 중심으

로, 청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리수홍(2015), 한국어 양보관계 연결어미의 인식양상과 오류 분석-‘-아도’,

‘-더라도’를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린이통(2016), 한국어 ‘-ㄹ지언정’과 ‘-ㄹ망정’의 중국어 대응 표현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민경모(2010), 병렬말뭉치의 개념 및 구조에 관한 몇 문제, 언어사실과 관 점 25,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pp.41-70.

민현식(2008), 한국어교육을 위한 문법 기반 언어 기능의 통합 교육과정 구조화 방법론 연구, 국어교육연구 22,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pp.261-334.

민현식(2012), 한국어 문법교육론,『한국어 교육의 이론과 실제2』, 서울대 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ㆍ국어교육연구소ㆍ언어교육원 공편(2012), 아 카넷, pp.275-313.

박경남(2012), 한국어 학습자의 양보 연결어미 습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민신(2018), 의미 범주 기반 한국어 이유 표현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박 사학위논문.

박승윤(2007), 양보와 조건, 담화와 인지 14(1), 담화·인지언어학회, pp.63-83.

박재연(2009), 연결어미와 양태 이유, 조건, 양보의 연결어미를 중심으로,

한국어 의미학 30, 한국어의미학회, pp.119-141.

박지윤(2011), 한국어 교육을 위한 양보의 연결어미 연구-기대 부정의 의 미 기능을 바탕으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용익(2010), 대화분석론, 백산서당.

백낙천(2000), 통합형 접속어미의 형태 분석과 의미 기술, 동악어문학 36, 동악어문학회, pp.165-182.

백낙천(2011), 조사 통합형 접속어미의 특징, 국제어문학 24, 국제언어문학 회, pp.121-142.

백봉자(200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사전, 연세대학교 출판부.

범총(2016),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양보 표현의 교육 방안 연구-공 지영의 ‘즐거운 나의 집’ 원문 및 중역본을 활용하여, 중앙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변영수(1988), 현대 국어의 양보씨끝 연구-‘-아도’, ‘-ㄴ들’을 중심으로, 건 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명숙(2013), 중급 한국어 학습자의 양보 문법항목 이해 양상과 효과적인 수업모형 개발-복합형‘-는데도’, ‘-고도’, ‘-으면서도'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정섭(1991), 국어 양보문 연구, 한신문화사.

서정수(1994), 국어의 종속 접속문에 대하여, 한국어 교육 5, 국제한국어교 육학회, pp.3-30.

서정수(1996), 국어문법, 한양대학교 출판원.

서태룡(1979), 내포와 접속, 국어학 8, 국어학회, pp.109-135.

서태룡(1988), 국어 활용어미의 형태와 의미,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희정∙홍윤기(2010), 한국어 교육에서 양보 연결어미에 대한 비판적 고 찰, 새국어교육 86, 한국국어교육학회, pp.185-208.

쉬옌보(2014),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양보관계 연결어미 교육 방안, 호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신지연(2004), 대립과 양보 접속어미의 범주화, 어문학 통권 84, 한국어문 학회, pp.75-98.

오열명(2014), 한국어 양보 연결어미의 중국어 번역 양상 연구 -‘-아/어도’,

Dalam dokumen 비영리 - S-Space - 서울대학교 (Halaman 157-1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