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양보관계 연결어미의 교육 내용

Dalam dokumen 비영리 - S-Space - 서울대학교 (Halaman 143-148)

본 절에서는 앞서 확인된 양보관계 연결어미의 교육 목적 및 목표를 근 거로 하여 학습자에게 맞는 교육 내용을 체계적으로 마련하고자 한다. 그 리고 Ⅲ장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학습자들에게 양보관계 연결어미에 대한 통사적 특성, 의미·화용적 특성의 교육이 더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그리 고 라슨-프리먼(Larsen-Freeman, D, 1995)에 따르면 ‘문법 기반 기능 통합 교육 과정’에서 문법 제시는 ‘형태-의미-사용’의 3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한 다고 하였다. 즉 형태론적인 측면과 해당 문법의 의미 및 사용되는 상황 등의 정보를 학습자에게 가르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먼저 학 습 단계를 위계화하고 다음에는 통사적 및 의미·화용적 교육 내용을 제시 하고자 한다.

2.1. 제시 순서

학자들은 지속적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의 제시 순서에 관한 연 구를 해 왔다. 문법 항목 위계화 기준에 관련된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크 게 ‘빈도, 난이도, 일반화 기능’을 기준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김유

목적

한국어 양보관계 연결어미에 대한 통사적, 의미·화용적 특성을 체계 적으로 이해하여, 그들 간의 차이를 변별하여 실제 의사소통 상황 에서 원활하게 사용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목표

1. 인식의 측면: 양보관계 연결어미의 통사적인 특성을 잘 이해하고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 이러한 특성들을 정확하게 운용할 수 있다.

2. 이해의 측면: 양보관계 연결어미의 미묘한 의미적인 차이, 그리 고 자주 실현하는 의사소통 기능을 이해할 수 있다.

3. 사용의 측면: 양보관계 연결어미의 통사적, 의미·화용적 특성을 고려하여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 전략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표 Ⅳ-1> 양보관계 연결어미 교육의 목적 및 목표

정(1998)에서는 문법 항목의 학습 단계별 위계화41)를 할 때 사용 빈도, 난 이도42), 일반화 가능성, 학습자의 기대 문법 등 네 가지 기준을 고려해야 한다고 하였다. 권수정(2010)에서는 ‘사용 빈도, 문법적 제약, 일반화 가능’

을 고려해서 양보관계 연결어미의 학습 단계 위계화를 시도하였으며 초급 에서 ‘-아/어도 (초급) > -더라도 (중급) > -(으)ㄹ지라도 (중급) > -(으)ㄴ들 (고급) > -(으)ㄹ망정/-(으)ㄹ지언정 (고급)’의 순서로 학습자들에게 제시해 야 한다고 하였다. 구재희·장채린(2014)에서는 통사적 제약이 약하고 그 의 미의 범위가 넓은 ‘무표성’을 기준으로 하여 ‘-아도 > -더라도 > -(으)ㄴ/는데 도 > -고도’의 순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살펴보았듯이 ‘-(으)ㄴ/는데도’와 ‘- (으)ㄹ지라도’의 제시 순서는 정해지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선 행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사용 빈도, 문법적 제약, 일반화 가능’ 세 가지 기 준으로 선정된 양보관계 연결어미의 순서를 제시할 것이다.

사용 빈도는 실제 생활에서의 사용되는 빈도를 말하는 것이며 이는 세 종 문어 말뭉치와 세종 구어 말뭉치의 빈도를 통해 살펴보았다. 앞서 고찰 하였듯이 세종 문어 말뭉치에서는 ‘-아/어도 > -더라도 > -(으)ㄴ/는데도 >

-(으)ㄹ지라도’의 순으로 빈번하게 나타나며 세종 구어 말뭉치에서도 ‘-아/

어도 > -더라도 > -(으)ㄴ/는데도 > -(으)ㄹ지라도’의 순으로 나타났다. 문 법적 제약은 본고에서 다룬 통사적 제약의 복잡성, 학습의 어려움을 기준 으로 삼는다. 통사적 제약이 적고 단순하면 난이도가 낮다고 보고 반대의 경우에는 난이도가 높다고 본다. 앞서 Ⅱ장에서 고찰한 바와 같이 통사적 제약을 기준으로 나열하면 ‘-아/어도’의 제약이 제일 적고, 이어서 ‘-더라 도, -더라도, -(으)ㄹ지라도, -(으)는데도’의 순으로 제약이 많아진다. 그리 고 권수정(2010)에 따르면 일반화 가능성은 ‘하나의 문법 항목을 교육함으 로써 응용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일반화 될 가능성이 높은 기본적인 것을 먼저 교육하고 확장된 것을 나중에 교육하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이를 참 고하여 제시 순서를 결정하고자 한다. 또한 본고에서는 양보관계 연결어미 의 통사적 특성과 의미·화용적 특성과 학습자의 사용 및 인식 양상을 고려

41) 학습 단계별 위계화라는 용어는 한국어 교육에서 무엇을 먼저 가르치는지 무엇을 나중 에 가르치는지를 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다. 즉, 문법 항목을 제시하는 단계나 순서를 정하기 위해 쓰는 단어이다.

42) 여기서 ‘난이도’는 문법적이나 형태·통사적 제약 등과 관련된 개념으로 볼 수 있다.

하여 순서를 설정하였다. 앞서 Ⅱ장과 Ⅲ장에서 고찰한 바와 같이 일반화 가능성 정도는 ‘-아/어도, -더라도, -(으)ㄹ지라도, -(으)ㄴ/는데도’의 순으로 점차 낮아진다. 위와 같은 내용은 아래와 같은 표로 정리할 수 있다.

<표 Ⅳ-2>를 바탕으로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순서에 따른 양보관계 연결어 미의 순서를 아래 <표 Ⅳ-3>과 같이 제시하였다.

본고에서는 학습자들이 한국어 양보관계 연결어미에 대한 통사적, 의미 적, 화용적 특성을 체계적으로 이해하여, 그들 간의 차이를 변별하여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 원활하게 사용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에 목

위계화 기준 정도 양보관계 연결어미

사용 빈도

제일 높다 -아/어도

높다 -더라도

보통 -(으)ㄴ/는데도

적다 -(으)ㄹ지라도

문법적 제약

제일 적다 -아/어도

적다 -더라도

보통 -(으)ㄹ지라도

많다 -(으)ㄴ/는데도

일반화 가능

제일 높다 -아/어도

높다 -더라도

보통 -(으)ㄹ지라도

적다 -(으)ㄴ/는데도

<표 Ⅳ-2> 양보관계 연결어미 제시 순서 위계화 기준

제시

순서 등급 양보관계

연결어미 이유

1 초금 -아/어도 사용 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나고 문법적 제약이 적고 난이도가 낮다.

2 중급 -더라도

사용 빈도가 두 번째 순위이고 문법적 제

약은 ‘-아/어도’와 비슷하며 난이도가 비교

적 낮다.

3

고급

-(으)ㄹ지라도 사용 빈도가 높지 않은데 문법적 제약은

‘-(으)ㄴ/는데도’보다 적다.

4 -(으)ㄴ/는데도 사용 빈도가 ‘-(으)ㄹ지라도’보다 많지만 문 법적 제약은 많고 난이도가 제일 높다.

<표 Ⅳ-3> 양보관계 연결어미의 제시 순서

적을 둔다. 따라서 먼저 초급에서 ‘-아/어도’를 제시하고 그 다음에는 중급 에서 ‘-더라도’를 제시하여 고급에서는 문법적 제약이 비교적 많은 ‘-(으)ㄹ 지라도’를 먼저 제시하고 난이도가 제일 높은 ‘-(으)ㄴ/는데도’를 제시하도 록 한다.

2.2. 통사적 교육 내용

한국어에는 ‘양보’ 의미를 표현할 수 있는 연결어미의 종류가 다양하고 통사적 제약도 복잡하다. Ⅲ장에서 볼 수 있듯이 학습자는 고급 단계에 달 해도 이런 복잡한 제약 때문에 범하는 오류가 종종 있으며, 정확하게 사용 하는 데에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학습자들이 흔히 범한 오류 를 바탕으로 학습자에게 통사적 특성을 명시적으로 가르쳐야 한다. 구체적 인 교육 내용 내용은 다음의 <표 Ⅳ-4>와 같다.

제약 -아/어도 -더라도 -(으)ㄹ지라 도

-(으)ㄴ/는데 도 선

어 말 어 미 제 약

-었- 같이 쓰일 수 있음

같이 쓰일 수 있음

같이 쓰일 수 있음

같이 쓰일 수 있음 -

겠-

가능 같이 쓰일 수 있음

같이 쓰일 수 있음

같이 쓰일 수 있음

같이 쓰일 수 있음 추측 같이 쓰일 수

없음

같이 쓰일 수 없음

같이 쓰일 수 없음

같이 쓰일 수 없음 부사어 제약 아무리, 비록,

설령

아무리, 비록, 설령, 설혹, 설사

아무리, 비록, 설령, 설혹, 설사

없음

시 제 제 약

선행절 시제 후행절 시제

과 거

사 실 명 제

과거, 현재, 미 래

*과거, *현재, 미래

*과거, *현재,

미래 과거, 현재

비 사 실

명제 미래 미래 미래 제약 받음

현재 현재, 미래 *현재, 미래 *현재, 미래 과거, 현재 미

가 까 운 시점

과거, 현재, 미

래 미래 미래 제약 받음

먼 시점 미래

<표 Ⅳ-4> 통사적 특성에 따른 교육 내용

2.2. 의미∙화용적 교육 내용

Ⅱ장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양보관계 연결어미들 간에 공통적인 의미도 있으나 미묘한 차이도 존재한다. 그리고 각 양보관계 연결어미가 중국어에 서 대응하는 의미도 다르다. 또한, Ⅲ장에서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학습자 들이 양보관계 연결어미의 의미 차이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것으로 보인 다. 따라서 교육 현장에서 양보관계 연결어미의 의미적 특성을 체계적으로 설명해야 할 것이다. Ⅱ장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양보관계 연결어미들은 발화 장면과 실행하는 의사소통 기능 등의 맥락 요소가 다르다. 또한, Ⅲ 장에서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학습자들이 양보관계 연결어미의 발화 장면 과 의사소통 기능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이로 인해 학습자 들이 한국어 양보관계 연결어미 사용할 때 많은 화용적인 오류를 범한다.

따라서 교육 현장에서 양보관계 연결어미의 발화 장면이나 의사소통 기능 등을 체계적으로 설명해야 할 것이다. 다음의 <표 Ⅳ-5>는 이러한 분석 결 과를 반영한 교육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형 태

중국어에서의

대응 의미 화용적

-아 / 어 도

①即使...(也)

②怎么/再...

也 ③可以/用

④ 最+adj, 至 +adj'⑤一/仅

⑥ 虽然...但 是 ⑦ 생략

⦁ 선행절의 사태나 동작에서 기대되는 일반적 인 예상과는 다른 사태가 후행절에 있음을 나 타냄

⦁현실 사태와 비현실 사태에서 모두 쓰일 수 있음

⦁‘-더라도’는 ‘-아/어도’와 바꿔 쓸 수 있으며,

‘-더라도’가 ‘-아/어도’에 비해 가정의 의미를

더 강하게 가짐.

⦁선행절 명제 실현 가능성이 ‘-더라도’와 ‘-

(으)ㄹ지라도’에 비해 높고 ‘-(으)ㄴ/는데도’보다 낮음

주장, 제 안, 권유, 의지 표 명, 진술, 화 내 기 , 불 만 토 로, 허락

-더 라 도

① 即 使 / 不 管. . . .也/还

② 无论...都 /也/还是 ③

⦁선행절의 사태나 동작에서 기대되는 일반적 인 예상과는 다른 사태가 후행절에 있음을 나 타냄

⦁‘-더라도’는 ‘-아/어도’와 바꿔 쓸 수 있으며

주장, 제 안, 권유, 의지 표 명, 요청,

Dalam dokumen 비영리 - S-Space - 서울대학교 (Halaman 143-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