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정보 분석

Dalam dokumen 비영리 - S-Space - 서울대학교 (Halaman 133-136)

본 절에서는 설문 조사를 통하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55명에게 양보 관계 연결어미의 학습 여부, 학습 시기 및 습득 경로에 대해 조사한 내용 을 정리하였다. 먼저 학습 여부의 관한 질문은 다음과 같다.

연구자: 왜 ‘흘렀는데도’를 선택했나요?

CKL 6: 이미 일어난 일이라서요.

CKL 7: 여기는 감탄의 상황이고요. 문학 색체가 있고요.

양보관계 연결어미 학습 여부 비율(%)

-아/어도

예 100%

아니오 0%

기억 안 남 0%

-더라도

예 94.55%

아니오 0%

기억 안 남 5.45%

<표Ⅲ-11>에서 볼 수 있듯이 대부분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이 네 가 지 양보관계 연결어미를 학습한다. 그 중에서 100%의 학습자가 ‘-아/어도’

를 학습하며, 94.55%의 학습자가 ‘-더라도’를 배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94.55%의 학습자가 ‘-(으)ㄴ/는데도’를 배웠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유의해 야 할 점은 14.55%의 중국인 학습자는 ‘-(으)ㄹ지라도’를 배운 적이 없다는 것이다. ‘-(으)ㄹ지라도’는 전형적인 양보관계 연결어미인데도 불구하고 학 습하지 못한 것이다. 다음에는 학습 여부에서 ‘예’라고 응답한 학습자의 학 습 시기를 다음과 같이 살펴보았다. 설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위의 표에서 볼 수 있듯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아/어도’를 주로 초 -(으)ㄴ/는데도

예 94.55%

아니오 0%

기억 안 남 5.45%

-(으)ㄹ지라도

예 85.45%

아니오 14.55%

기억 안 남 0%

<표Ⅲ-11>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양보관계 연결어미 학습 여부 조사 결과

양보관계 연결어미 학습 시기 비율(%)

-아/어도

기억 안 남 0%

초급(1, 2급) 89.09%

중급(3, 4급) 10.91%

고급(5, 6급) 0%

-더라도

기억 안 남 19.23%

초급(1, 2급) 7.69%

중급(3, 4급) 71.15%

고급(5, 6급) 19.23%

-(으)ㄴ/는데도

기억 안 남 28.85%

초급(1, 2급) 11.54%

중급(3, 4급) 53.84%

고급(5, 6급) 5.77%

-(으)ㄹ지라도

기억 안 남 27.66%

초급(1, 2급) 0%

중급(3, 4급) 23.40%

고급(5, 6급) 48.94%

<표Ⅲ-12>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양보관계 연결어미 학습 시기 조사 결과

급에서 배우며, ‘-더라도’와 ‘-(으)ㄴ/는데도’는 주로 중급에서 배우고, ‘-(으) ㄹ지라도’는 주로 고급에서 배운다. 이는 교재 분석의 결과와 일치한다. 그 러나 각 양보관계 연결어미를 다른 등급에서 배웠다고 응답한 이유는 각 학교에서 사용하는 교재 및 교육과정이 다르고 배운 지 오래되었을 뿐만 아니라 잘 사용하지 않아 제대로 기억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학습자의 습득 경로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위와 같은 표를 통해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주로 ‘교재, TV 등 대 중 매체, 친구와 대화하면서’ 등의 방식으로 양보관계 연결어미를 학습한 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그 중에서 ‘교재’를 통해서 학습하는 것이 가 장 많고, ‘TV 등 대중 매체, 친구와 대화하면서’를 통해서 학습하기도 한 다. 기타 의견으로 SNS를 통해서 양보관계 연결어미를 학습하였다는 응답 자도 다수 존재하였다. 이러한 습득 경로를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 자의 학습 경로는 다양하며, 수업 시간 외에도 여러 가지 방식을 통해서 문법 지식을 내재화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양보관계 연결어미 습득 경로 비율(%)

-아/어도

교재 61.82%

TV 등 대중 매체 7.27%

친구와 대화하면서 12.73%

기타 18.18%

-더라도

교재 61.82%

TV 등 대중 매체 7.27%

친구와 대화하면서 10.90%

기타 20.00%

-(으)ㄴ/는데도

교재 52.73%

TV 등 대중 매체 16.36%

친구와 대화하면서 16.36%

기타 14.55%

-(으)ㄹ지라도

교재 78.18%

TV 등 대중 매체 12.73%

친구와 대화하면서 1.82%

기타 7.27%

<표Ⅲ-13>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양보관계 연결어미 습득 경로 조사 결과

Dalam dokumen 비영리 - S-Space - 서울대학교 (Halaman 133-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