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통사적 사용 양상 분석
2.1.2. 제약에 따른 사용 양상
(1) 주어 사용
0 50 100 정 150 답 률 (
%
) -아/어도 -더라도 -(으)ㄴ/는데도 -(으)ㄹ지라도 양보관계 연결어미
96.97 90.91 87.88 93.94
90.91
41.82 78.18 63.64
본고에서 연구 대상으로 선정한 양보관계 연결어미는 모두 주어 일치 제약을 가지지 않는다. 두 집단에서 각 양보관계 연결어미의 주어 제약의 정답률을 보면 대부분 학습자는 양보관계 연결어미의 주어 일치 제약에 대해 이해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각 양보관계 연결어미에 대한 모어 화자의 정답률은 각각 96.97%와 90.91%, 87.88%, 93.94%에 달해 높은 정답률을 보였다.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정답률은 ‘-아/어도’와 ‘-(으)ㄴ/
는데도’는 각각 90.91%와 78.18%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나 ‘-더라도’와
‘-(으)ㄹ지라도’의 주어 일치 제약을 고찰한 13번과 22번의 정답률은 각 54.55%와 63.64%로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2) 서술어 사용
0 50 100 정 150 답 률 (
%
) -아/어도 -더라도 -(으)ㄴ/는데도 -(으)ㄹ지라도
양보관계 연결어미
93.94 93.94 100 93.94
80 72.73 81.82 85.45
본고에서 연구 대상으로 선정한 양보관계 연결어미는 모두 서술어 제약
을 가지지 않는다. 두 집단의 각 양보관계 연결어미의 서술어 사용의 정답 률을 살펴보면 모두 70%이상의 정답률을 보였으며 이를 통해 대부분의 학 습자가 양보관계 연결어미의 주어 일치 제약에 대해 이해하고 있다는 사 실을 확인할 수 있다. 각 양보관계 연결어미에 대하여 모어 화자는 90%이 상의 높은 정답률을 보였다.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전체적으로 보면 모 든 문항에 대해 70% 이상의 비교적 높은 정답률을 보였으며 ‘-아/어도’와
‘-(으)ㄴ/는데도’, ‘-(으)ㄹ지라도’는 각각 80.00%과 81.82%, 85.45%로 모어
화자와 비슷한 정답률을 보였다. ‘-더라도’와 ‘-(으)ㄹ지라도’의 정답률은 각 72.73%로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3) 선어말어미 사용
0 50 100 정 150 답 률 (
%
) -아/어도 -더라도 -(으)ㄴ/는데도 -(으)ㄹ지라도 양보관계 연결어미
57.58
100 100 100
58.18 52.73 60 45.45
앞서 분석한 바와 같이 연구 대상으로 선정한 양보관계 연결어미에는 선어말어미 제약이 존재한다. ‘-더라도, -(으)ㄴ/는데도, -(으)ㄹ지라도’의 선어말어미 제약에 대해 모어 화자의 정답률은 모두 100%였다. 반면에 중 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60%이하의 낮은 정답률을 보였다. 이를 통해 중국 인 한국어 학습자가 양보관계 연결어미의 선어말어미를 사용함에 있어 어 려움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 서법 제약
앞서 분석했듯이 연구 대상으로 선정된 양보관계 연결어미의 경우 서법 제약이 거의 없는 편이지만 ‘-(으)ㄴ/는데도’를 반문문에서 사용하기는 어 렵다. ‘-더라도, -(으)ㄴ/는데도’의 문장 유형 제약에 대해 모어 화자의 정 답률은 모두 100%의 정답률을 보였으며, ‘-아/어도’와 ‘-(으)ㄹ지라도’의 정 답률은 각 87.88%, 84.85%였다. 반면에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더라도, -(으)ㄴ/는데도’의 정답률은 70.91%, 78.18%로 비교적 높은 정답률을 보였 지만 ‘-아/어도’와 ‘-(으)ㄹ지라도’는 모두 45.45%로 낮은 정답률을 보였다.
이는 학습자가 양보관계 연결어미의 문장 유형을 사용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고 할 수 있다.
(5) 부정소 사용
연구 대상으로 선정된 양보관계 연결어미에는 부정소제약이 없다. 학습 자의 정답률을 보면 ‘-아/어도’와 ‘-(으)ㄴ/는데도’의 경우에는 모어 화자와 비슷한 정답률이 나타났다. 그러나 ‘-더라도, -(으)ㄹ지라도’의 정답률은
0 50 100 정 150 답 률 (
%
) -아/어도 -더라도 -(으)ㄴ/는데도 -(으)ㄹ지라도 양보관계 연결어미
87.88 100 100 84.85
45.45 70.91 78.18
45.45
0 50 100 150 정 답 률 (
%
) -아/어도 -더라도 -(으)ㄴ/는데도 -(으)ㄹ지라도 양보관계 연결어미
96.97 87.88 90.91 100
94.55
65.45 87.27 72.73
65.45%, 72.73%로 비교적 낮은 정답률을 보였다. 이는 학습자가 양보관계 연결어미의 문장 유형을 사용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6) 부사어 사용
앞서 분석한 것처럼 연구 대상으로 선정된 양보관계 연결어미는 주로
‘아무리, 비록’ 등과 같이 사용한다. 학습자의 정답률을 보면 ‘-더라도, -
(으)ㄴ/는데도, -(으)ㄹ지라도’의 경우는 모어 화자와 비슷한 정답률로 나타 났다. 그러나 ‘-아/어도’의 정답률은 32.73%로 비교적 낮은 정답률을 보였 다. 이를 통해 학습자가 ‘-아/어도’의 부사어를 사용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 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7) 시제 사용
연구 대상으로 선정된 양보관계 연결어미는 모두 시제 제약이 있다. 아 래 제시한 시제 제약에 대한 모어 화자의 정답률은 다른 제약의 정답률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시제 제약은 모어 화자에게도 어려운 부 분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정답률은 훨씬 낮은 수치를 보였다.
0 50 100 정 150 답 률 (
%
) -아/어도 -더라도 -(으)ㄴ/는데도 -(으)ㄹ지라도
양보관계 연결어미
78.79 84.85 96.97
60.61 32.73
78.18 65.45 56.36
0 50 100 150 정 200 답 률 (
%
) -아/어도 -더라도 -(으)ㄴ/는데도 -(으)ㄹ지라도 양보관계 연결어미
75.76 57.58 84.85
57.58
40 40 20 56.36
각 제약에 따른 정답률뿐만 아니라 양보관계 연결어미의 통사적 제약에 따라 학습자의 정답률이 달라진다는 것을 가정하여 집단 통계량을 바탕으 로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각 제약에서 모두 신뢰수준 95% 하에서 각각의 t 값이 –6.031, -3.654, -5.171, -5.171, -8.683, -3.280, -4.721, -4.307로 나타났고 각각의 유의확률은 모두 < .05 나타났으 며 한국어 학습자와 모어 화자 집단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양 보관계 연결어미의 각 제약에 대해 학습자 집단의 사용 정확도는 모어 화 자보다 모두 낮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집단 통계량의 평균 점수 를 보면 선어말어미 제약과 문장 유형 제약에 대한 두 집단의 차이가 각 각 1.24, 1.55로 나타났으며 다른 유형의 제약보다 큰 차이를 보였다. 명제 제약과 선어말어미 제약의 경우에는 학습자 집단의 평균 점수는 각각 1.52, 2.18로 낮게 나타났다. 즉, 학습자가 다른 통사적 제약에 비해 명제 제약 및 선어말어미 제약 상황에서 양보관계 연결어미를 적절하게 사용하 는 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집단통계량 독립표본 검정
제약 집
단 N 평
균
표준 화 편차
Levene의 등분산
검정 t
자 유 도
유의확 률 ( 양 측)
차이의 95%
신뢰구간
F 유의확률 하한 상한
주 어
1 33 2.79 .820 12.1
20 .001 -6.
031
64 .000 -1.33 1
-.66 9 2 33 3.79 .485
서술 어
1 33 3.15 .972 29.4
55 .000 -3.
654 64 .001 -1.03
1 -.302 2 33 3.82 .392
<표 Ⅲ-9>의 분석 결과를 보면 각 제약에 따라 학습자의 각 양보관계 연결어미의 정답률에서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학습자의 오류율이 높은 것 은 아래 표에서 ‘√’로 표시하였다. 분석 내용은 아래의 표와 같다.
주어 일치 제약
서술어 제약
선어말 어미 제약
문장 유형 제약
부정소 제약
부사어 제약
시제 제약
-아/어도 √ √ √
-더라도 √ √ √ √ √
-( 으) ㄴ/
는데도 √ √
- ( 으 ) ㄹ
지라도 √ √ √ √
<표 Ⅲ-10> 오류율이 높은 제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