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경영책임 경영책임 경영책임 경영책임

1) 최고경영자

기업의 최고경영자는 기업 혁신의 추진 원동력이며 그 원천이다. 기업의 방 향과 실질적인 활동을 결정하는 전략을 입안하고 시스템을 구축하며 초일류 기업을 만들기 위한 여러 가지 경영혁신들을 창출하고 기업의 모든 구성원들 의 성장과 능력을 개발하는 것은 결국 최고 경영자의 책임이라 할 수 있다. 기 업이 도입하는 여러 종류의 경영시스템의 성공여부는 최고경영자의 솔선수범 에 달려있다. 따라서 최고경영자는 기업이 도입한 경영시스템이 성공할 수 있 도록 조직의 분위기를 바꾸고 새로운 전략과 정책 그리고 경영방침을 이행하 는데 적합한 경영시스템을 수립하고 이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하여 종업원들에 게 동기를 부여하여야 한다. Deming106)은 품질경영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 “작업자의 책임은 15%이고 나머지 85%는 기업의 품질경영시스템을 잘못 구축한 경영자의 책임”이라고 하였다.

기업의 최고경영자 역할은 감독이 아니라 리더십을 실행하는 것이며 리더십 은 경영성과향상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Cambell107)은 리더십을 “새로운 기 회를 창출하기 위해 자원의 역량을 집중시키는 활동”이라고 정의하였다.

리더십은 조직의 분위기를 변화시키는 강력한 촉매제이다. 회사가 도입하는 모든 경영시스템은 최고경영자의 리더십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Juran은 “품 질경영시스템의 성공에 가장 결정적인 장애물은 최고경영자의 리더십의 부

106) Deming, W. E., Out of Crisis MIT, Cambridge: Center for Advanced Engineering Study, MA 02139, 1986.

107) Cambell, D., If I'm in charge here, Why is Everybody Laughing?, Niles, IL: Argus Communication, 1990.

재”라고 하였다.108) 최고경영자는 조직이 고객만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사실을 조직 구성원에게 확신시켜야 한다. 그리고 경영방침이 전 종업원에게 이해되고 이행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경영시스템 활동에 대한 진행과정을 검토하고 실행과정에서의 장애 요인을 제거하여야 한다. 방침관리 등 자신이 관여하는 프로세스를 개선함으로써 프로세스의 성과를 향상시키고 문제해결을 위해 품질관리도구를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보여주어야 한다.109)

2) 방침관리

기업의 경영이념이나 기업목적을 달성함에 있어서 일정한 방침을 토대로 하 여 조직 전체가 융합하여 통일된 경영활동을 펴나가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 다. 방침은 경영활동에 관련이 있는 모든 구성원들에게 전달되어야 한다. 즉 종업원, 고객, 공급자, 주주 등 경영활동과 관련된 모든 이해관계자들에게 그 구체적 내용이 전달되어야 한다. Carlssen은 이를 품질일관성(quality consistency)의 개념으로 제시하였는데 이는 품질에 대한 조직구성원들에게 공통된 인식의 필요성에 대한 개념으로서 조직 내 각 구성원이 조직의 품질정 책에 대해 동일한 관점을 공유하고 있는 정도라고 하였다.110)

또한 ISO 9000:2000에서는 품질방침(Quality Policy)111)이란 최고경영자 에 의해 공식적으로 표명된 품질관련 조직의 전반적인 의도 및 방향이라고 정 의하고 있다.

방침이 설정되면 방침은 전개되어야 한다. 이순룡112)은 방침은 방침(활동의 방향을 나타내는 것), 목표(방침을 달성할 목표를 나타내는 것), 시책(목표를

108) Juran, J. M., Juran on Leadership for Quality, New York: Free Press, 1989.

109) Tenner, A. R. and Detoro I. J., ibid, 1992.

110) Carlsson, M. H., “Consistency in Quality-A Baseline for Achieving Total Quality Mamagement”, Quality and Reliability Engineering International, Vol. 9, 1993, p. 219.

111) Quality Policy: overall intentions and direction of an organization related to quality as formally expressed by top management.

112) 이순룡,『품질경영론』, 법문사, 1998, p. 577.

달성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것)으로 구성되며, 이들이 전개되어 구체적인 실 시계획이 된다고 하였다. 즉 방침 관리는 회사의 경영목적을 달성함에 있어서 중점이 되는 과제와 이를 달성하기 위한 방침-목표-시책으로 전개하여 실행 함으로써, 기업이 추구하는 경영목적을 보다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게 한다 는 것이다

목표는 가능한 전 계층과 기능별로 수립되는 것이 전원참여란 측면에서 바 람직하다. 이것은 개인별로 목표를 수립해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나 가능한 개 인별 목표관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목표를 설정 시에는 다음의 다섯 가지 사항이 고려되어야 한다. 첫째, 측정 가능할 것 둘째, 문서화 할 것, 셋째, 방 침과 일관성을 유지 할 것, 넷째, 해상운송서비스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한 요구사항을 포함 할 것, 다섯째, 회사 및 시장의 현재 및 미래사항을 고려할 것.

한편, ISM CODE에서는 국제안전경영코드의 목표는 “해상에서의 안전을 보장하고 인적재해, 환경오염 특히 해양오염 및 재산의 피해를 보장하는 것이 며, 회사는 국제안전경영코드의 목표에 부합되는 안전경영목표를 수립하여야하 며 회사의 목표에는 선박의 안전운항 및 안전한 작업환경의 제공, 식별된 모든 위험에 대한 안전장치의 수립, 안전 및 환경보호에 관한 비상대책을 포함하여 육상 및 해상직원의 지속적인 안전경영기술의 향상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야 하며 목표의 달성방법을 기술한 안전 및 환경보호 실행방안 또한 수립되고 육 상 및 해상의 모든 계층에서 이 실행방안이 이행되고 유지되어야 한다.”라고 요구하고 있다.

3) 경영책임프로세스의 정의서 및 프로세스 흐름도

경영책임 프로세스정의서는 <표4-6>과 같으며 프로세스 흐름도는 <그림 4-2>와 같다.

프로세스 프로세스 프로세스 프로세스 목적목적목적목적

회사의 경영목적에 부합되는 방침 및 목표의 설정, 경영실적평가 성과측정항목

성과측정항목성과측정항목 성과측정항목 방침 및 목표의 달성도, 경영성과지표

입력사항입력사항입력사항

입력사항 출력사항출력사항출력사항출력사항 경영목적, 내외부의 환경변화, 경영실적

(선박관리 및 영업실적, 비용실적 등) 평 가결과, 고객요구사항

경영방침 및 목표, 경영실절평가 결과, 프로세스 운영계획서

현황 현황

현황 현황 및 및 및 및 문제점문제점문제점문제점

- 경영환경의 변화에 따른 위기의식 및 경쟁환경에 민감하지 못하다.

- 전사적으로 계획된 각 프로세스의 운영기준과 성과지표가 정해져 있지 않 다. (프로세스가 식별되지 않은 경우도 많음)

- 경영성과 분석이 재무제표 기준으로 만 이루어지고 있다.

- 각 부서끼리 및 조직의 상하간의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못한다.

- 단기적이고 기능중심에 관련된 성과위주의 고과

- 경영실적 분석이 부서에서 제출한 사업계획에 따른 이행상태와 예산사용 실적에 국한되어 있다.

- 예산 수립이 부정확한 경우도 있다.

- 주변 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따른 대응이 적절치 못하다.

<표4-6> 경영책임 프로세스 정의서

<그림 4-2> 경영책임 프로세스 흐름도

2.

2.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