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TCM의 개념
TCM이란 제품의 기획, 개발, 세부 설계를 동시에 실행함으로써 목표 비용
85) 박광훈․ 양동현, “간접원가의 원가동인에 관한 연구”,『회계학연구』, 제23권, 제 2호, 1998. 6, pp. 163-181.
을 달성하는 것이다. TCM은 1963년 일본 도요타에서 시작되어, 일본의 다른 자동차 회사들과 제조업체들에 퍼져 나갔다.86)
TCM은 대부분의 비용은 제품개발 초기 과정에서 결정된다는 개념아래 만 들어 졌다. 따라서 제품개발과정에서 비용을 현저히 줄이기 위하여서는 TCM 은 효율적인 방법이다. 제품 개발 과정에서 목표 비용, 제품 품질, 신제품의 시 기적절한 시장 출시 등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개품개발에 책임이 있는 관리자 들이 개발 전 과정에 참여하여 상호 협조하여야 한다. 이것은 전통적인
‘바톤 릴레이’ 방식의 제품 개발과는 아주 다르다. ‘바톤 릴레이’방식에서 는 명확한 일련의 과정에 따라 제품 기획, 제품 개발, 세부 디자인 설계, 제품 준비, 제품 제조를 했다. 그러나 TCM에서는 제품의 개발과 세부 디자인의 설 계 초기 과정에서부터 관련된 관리자의 의견을 반영하여 제조 단계에서 상당 한 비용을 절감하였다. 이러한 경우, 제품 준비는 제품 개발과 동시에 이루어 진다. 또 어떤 경우에는, 제품 기획과 개발 관리자들은 다음 단계 관리자들의 활동을 감독하여, 초기 제품 구상이 지켜지도록 한다. TCM에 있어서 제품의 기획과 비용에 관한 회의는 관리자들 간의 상호 통제를 위한 수단이 되며, 따 라서 simultaneous engineering의 적용이 효과적이다.
제품 개발에 참여한 관리자들이 직접적 책임이 없는 제품 개발 단계에서도 서로 영향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제품 기획과 비용에 관한 회의는 제품개발의 전 단계에 걸쳐 개최되어야 한다. TCM에서의 상호통제는 제품개발과 비용절 감을 위한 창의적인 발상을 끌어내고 전략적 비용관리를 위한 핵심 시스템이 다. 또한 비용회의를 통한 수직적 상호작용이 필요하며, 관리자들과 중간 관리 자들 간의 수직적 상호작용은 제품 기획 회의의 필수불가결한 요소이다.
TCM에 있어서 simultaneous engineering의 적용은 제품 개발과 세부 설 계 단계에서 일어난다. 제품 준비에 참여하는 제품 관리자들은 제품 개발에도 참여하여 생산에까지 그 의견을 내어, 제품 개발 단계에서 상당한 비용 절감을 가져오게 한다.
86) Tani, T., Okano, H., Shimizu, N., Iwabuchi, Y., Fukuda, J. and Cooray, S.,
“TCM in Japanese Companies; Current State of the Art”, Management Accounting Research, 5, 1994, pp. 67-81.
또 다른 예는, 제품 개발에서 구매 담당자의 참여이다. 만약 부품조달행위가 상세 설계 과정이 끝난 단계에서 일어난다면 비용절감의 기회는 한정된다. 차 라리 부품의 수를 줄이거나 제품 개발의 초기 과정에서 제품에 공통 부품을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는 것이 더 낫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구매 담당자에게 제품 개발의 초기 과정에 참가하기를 요청할 필요가 있게 된다. 반면에 제품 기획 담당자는 제품 개발과 상세 설계 과정에 그저 의견을 제시하는 수준이어 서는 안 된다. 그들은 개발과 상세 설계과정의 관리자들이 정해진 제품 구상에 서 벗어나지 않고 참여하는지를 확인하고 감시할 책임이 있다. 따라서 Simultaneous engineering은 최소한 두 개 이상의 부서가 제품 개발의 각 단 계에 참여하여야 한다고 강조한다.
Simultaneous engineering은 최소한 두 가지 교훈을 준다. 첫째, 현저한 비 용 절감은 부서간의 협력이 없이는 일어나지 않는다. 만약 제품 생산 단계에서 부품의 layout이 효율적인 생산에 부적절하다고 발견한다면 이미 너무 늦었다.
둘째, 부서간의 협력은 전략을 만들어내는데 매우 중요하다. TCM은 다른 기능과 훈련을 받은 사람들이 모여 이루어진다. 그들 간의 상호작용은 종종 전 략적으로 대단히 중요한 발상을 만들어낸다.87) 따라서 Simultaneous engineering을 통한, 독창적인 비용절감 아이디어와 엄격한 비용목표는 구성 원들로 하여금 완전히 새로운 방식으로, 최소한의 비용을 실현시킬 수 있게 도 움을 준다.
3) TCM의 선행연구
TCM의 연구 주제는 TCM의 목적, TCM에서의 Simultaneous engineering, TCM 의 PDCA 싸이클, 목표 비용의 결정, TCM의 도구, TCM 조직, TCM의 세계화 등에 관한 것이 있다.
Iwabuchi Y. 88)는 simultaneous engineering 관점에서 TCM에 대한 찬반
87) Nonaka, A Theory of Knowledge Creation, Nihon Keizai Shinbunsha, 1990.
88) Iwabuchi Y., “Functions of Target Costing: Information Sharing and
논란을 설명한 후, 일본 회사들의 simultaneous engineering 과정을 검토하고 TCM에 참여한 각 관리자들이 다양한 제품 개발 단계에서 가지는 영향력을 실험적으로 증명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 다.
① 고객의 요구가 다양할수록, 제품 기획 단계에서 판매 관리자, 제품 기획 관리자와 생산 관리자들의 영향력은 크다.
② 시장의 경쟁이 강화될수록, 제품 기획 단계에서 판매 관리자, 제품 기획 관리자와 생산 관리자들의 영향력은 크다.
③ 신제품의 적시 출시가 핵심 성공요인일수록, 제품 기획 단계에서 판매 관 리자, 제품 기획 관리자와 생산 관리자들의 영향력은 크다.
④ 고객의 요구가 다양할수록 제품 개발 세부 설계 과정에서. 구매관리자, 생 산 관리자들의 영향력은 크다.
⑤ 기술혁신이 빈번하게 일어날수록, 제품 기획 단계에서, 제품 관리자와 제 품 기획 관리자의 영향력은 크다.
⑥ 기술혁신이 빈번하게 일어날수록, 제품 개발과 세부 설계 과정에서 구매 관리자와 생산관리자의 영향력은 크다.
⑦ 고객의 요구가 다양할수록, 그에 관련된 사항들이 제품 기획 회의에서 논 의되어야 한다.
⑧ 시장 경쟁이 강화될수록, 다양한 고객 요구에 대한 경쟁자들의 반응이 제 품 기획 회의에서 논의되어야 한다.
⑨ 신제품의 시기 적절한 출시가 결정적인 때일수록, 다양한 고객 요구에 대 한 경쟁자들의 반응이 제품 기획 회의에서 논의되어야 한다.
⑩ 기술 혁신이 빈번히 일어날수록, 그에 대한 회의와 경쟁자들의 반응이 제 품 기획 회의에서 논의되어야 한다.
Knowledge Creation", Kigyo Kaikei, Vol. 44, No. 8, pp. 41-47; Shimizu N.,
“The Relationship between Target Costing Information and Knowledge Creation Activities", Sangyo Keiri, Vol. 51, No. 4, 1992, pp. 132-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