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프로세스요인들의 프로세스요인들의 프로세스요인들의 프로세스요인들의 신뢰성과 신뢰성과 신뢰성과 타당성검정 신뢰성과 타당성검정 타당성검정 타당성검정

선 선

1. 프로세스요인들의 프로세스요인들의 프로세스요인들의 프로세스요인들의 신뢰성과 신뢰성과 신뢰성과 타당성검정 신뢰성과 타당성검정 타당성검정 타당성검정

제 제 제

제3 3 3 3절 절 절 절 분석결과와 분석결과와 분석결과와 분석결과와 해석 해석 해석 해석

상기에서 설정된 연구가설을 검정하기 위한 분석과정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련요인의 신뢰성분석과 주성분 분석에 의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 하여 관련요인들의 응답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정하였으며, 둘째, AMOS 4.0에 의한 구조방정식모형과 다변량 회귀분석에 의거하여 관련요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통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연구가설을 검정하였다.

1.

1.

1.

소와 운항효율에 유용성(b4) 등의 4개 변수로 그룹화되어 제5요인으로 구성 되었다. 선원관리요인은 적절한 능력과 자격기준설정(c1), 선박관리비용감소와 운항효율에 유용성(c2), 직급별 면접기준 수립과 운영(c3), 선원자질미흡으로 운항지연(c9) 변수는 제거되고 선박별 직급별 교육과 자격(c4), 직무능력의 충분성(c5), 안전운항 중요성 인식도(c6), 환경보호 중요성 인식도(c7), 적절 한 교육훈련 시행여부(c8) 등 5개 변수가 묶여서 제4요인으로 구성되었다.

셋째, 선박관리요인은 선박확보시 운항비 검토(d1), 적절한 선박관리는 운항 효율 향상에 유용성(d2), 자본비와 내용년수 고려(d3), 적절한 기부속 재고관 리(d6), 국제협약 기국정부 선급요구사항 반영(d7), 선급검사 조치의 적절성 (d10), 선박 기기문제로 운항지연(d16) 등 7개 변수는 제거되고 예방정비시 스템 운영(d4), 선종 항로 선령을 고려하여 표준보유수량 설정(d5), , 적절한 육상지원(d8), 손상에 대한 적절한 원인분석(d9), 적절한 연료소모량분석 (d11), 기부속사용의 적정성분석(d12), 수리보급공급업체선정의 적절성(d13), 주기적인 관리와 개선의 적절성(d14), 연료구매시 지역 기간별 유가정보활용 (d15), 등 9개 변수가 묶여서 제2요인으로 구성되었다. 다섯째, 운항관리요 인은 선박특성을 고려하여 계약체결(f1), C/B H/B 고려하여 계약체결(f2) 정 시운항 준수(f10) 등 3개 변수는 제거되고 운항실적분석의 적절성(f3), 항차 지시서의 적기 전달(f4), 적절한 운항통제(f5), 적절한 항해계획 수립(f6), 안 전운항여부(f7), 적절한 화물관리(f8), 적절한 안전관리 오염방지 비상대응 규 정(f9) 등 7개 변수가 묶여서 제1요인으로 구성되었다.

요인명 변수명 요인적재값

1 2 3 4 5 공통성

경영 책임

경영방침이 경영목적에 적합성 .059 .196 .721.721.721.721 .249 .188 .658 명확한 목표 수립 .170 .197 .776.776.776.776 .193 .202 .748 경영방침 목표달성에 필요한 운영

시스템이 문서화 .213 .109 .751.751.751.751 .199 .099 .670 CEO의 적극적 지원 .122 .215 .768.768.768.768 .021 .128 .668 조직구조의 적합성 .030 .194 .748.748.748.748 .216 .199 .684 권한과 책임의 명확성 .228 .194 .616.616.616.616 .208 .233 .566 육상

직원 관리

적절한 능력과 자격기준설정 .150 .227 .459 .223 .605.605.605.605 .701 직원선발의 적격성 .022 .220 .321 .333 .652.652.652.652 .688 선원관리에 영향 인식도 .146 .085 .288 .018 .780.780.780.780 .720 선박관리비용감소와 운항효율에

유용성 .173 .122 .131 .120 .790.790.790.790 .700

선원 관리

선박별 직급별 교육과 자격 .196 .274 .234 .502.502.502.502 .197 .459 직무능력의 충분성 .210 .259 .250 .645.645.645.645 .062 .594 안전운항 중요성 인식도 .222 .194 .186 .780.780.780.780 .148 .752 환경보호 중요성 인식도 .299 .121 .207 .720.720.720.720 .097 .675 적절한 교육훈련 시행여부 .232 .322 .188 .644.644.644.644 .120 .623

선박 관리

예방정비시스템 운영 .409 .519.519.519.519 .109 .117 .332 .573 선종 항로 선령을 고려하여 표준

보유수량 설정 .299 .594.594.594.594 .202 .144 .218 .552 적절한 육상지원 .415 .538.538.538.538 .166 .309 .122 .600 손상에 대한 적절한 원인분석 .317 .606.606.606.606 .185 .327 .184 .642 적절한 연료소모량분석 .253 .707.707.707.707 .285 .155 .026 .670 기부속사용의 적정성분석 .265 .739.739.739.739 .212 .218 .218 .756 수리보급공급업체선정의 적절성 .178 .735.735.735.735 .226 .194 .139 .680 주기적인 관리와 개선의 적절성 .249 .680.680.680.680 .166 .313 .218 .698 연료구매시 지역 기간별

유가정보활용 .359 .572.572.572.572 .176 .097 -.181 .530

운항 관리

운항실적분석의 적절성 .658.658.658.658 .393 .053 .113 .091 .612 항차지시서의 적기 전달 .679.679.679.679 .276 .031 .111 .143 .571 적절한 운항통제 .714.714.714.714 .255 .106 .183 .138 .639 적절한 항해계획 수립 .812.812.812.812 .239 .080 .165 .109 .763 안전운항여부 .751.751.751.751 .162 .226 .292 .111 .739 적절한 화물관리 .655.655.655.655 .211 .305 .239 -.005 .624 적절한 안전관리 오염방지

비상대응 규정 .606.606.606.606 .258 .242 .328 .133 .618 요인

설명력

고유치 4.8074.8074.8074.807 4.778 4.431 3.406 2.752

분산율(%) 15.50815.50815.50815.508 15.412 14.293 10.987 8.879 65.078 모형

적합도

표준형성 적절성의 Kaiser-Meyer-Olkin 측도=.938. Bartlett의 구형성 검정근사 카이제곱=5026.681, 자유도=465, 유의확률=.000

<표5-12> 5유형 프로세스요인의 요인분석결과

주 : * 요인추출 방법: 주성분 분석.

* 회전 방법: Kaiser 정규화가 있는 베리멕스.a 10 반복계산에서 요인회전이 수렴됨.

2) 5개 프로세스요인의 신뢰성분석결과

<표5-13>의 5유형의 프로세스요인의 신뢰성 분석결과에 의하면, 경영책임, 육상직원관리, 선원관리, 선박관리 및 운항관리의 신뢰성계수(크론바하 α)는 각각 0.900, 0.837, 0.842, 0.913, 0.903 으로써 신뢰도는 매우 높으며 5유 형의 전체의 신뢰성계수도 0.955으로써 설문조사의 내적 일관성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각 요인의 평균값을 비교해보면, 운항관리요인이 4.149로써 가장 중요한 프로세스요인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선원 관리가 4.129, 선박관리가 4.070, 육상직원관리는 4.023 그리고 경영책임이 4.001로 나타나고 있다. 모든 프로세스 모두 5점척도에서 4점이상을 보이고 있어 5개 유형의 프로세스 모두가 해운기업에서 중요한 활동으로 인식되고 있 다.

또한 요인내의 변수를 비교해 보면, 경영책임 요인에서는 경영방침 목표달성 에 필요한 운영시스템이 문서화, CEO의 적극적인 지원 및 명확한 목표 수립 이 모두 중요한 변수로 인식되고 있다.

육상직원관리요인은 선박관리비용감소와 운항효율에 기여도여부가 우선순위 를 보이고 있으며, 선원관리에서는 선박별 직급별 교육과 자격과 안전운항의 중요성 인식이 보다 중요한 변수로 인식되고 있다.

한편, 선박관리에서는 예방시스템의 운영과 적절한 육상직원의 지원여부가 우선순위를 보이고 있고 운항관리에서는 적절한 안전관리, 오염방지 및 비상대 응 규정 준수, 안전운항 및 적절한 화물관리가 보다 중요한 변수로 인식되고 있다.

요인

변수명 평균 표준

편차 평균

순위 순위 신뢰성

계수

경영 책임

경영방침이 경영목적에 적합성 4.0449 .68505 15.85 19

0.900

명확한 목표 수립 4.0980 .76728 16.69 13

경영방침 목표달성에 필요한 운영시스템이 문서

4.1959 .78038 17.82 7

CEO의 적극적 지원 4.1143 .80673 16.83 12

조직구조의 적합성 3.6122 .87348 11.28 31

권한과 책임의 명확성 3.7429 .86080 12.54 29

4.001 육상

직원 관리

적절한 능력과 자격기준설정 3.8857 .77565 13.77 27

0.837

직원선발의 적격성 3.8898 .78934 13.88 26

선원관리에 영향 인식도 4.0408 .78300 16.00 18

선박관리비용감소와 운항효율에 유용성 4.1429 .75205 16.86 11 4.023

선원 관리

선박별 직급별 교육과 자격 4.2898 .70253 19.11 1

0.842

직무능력의 충분성 3.7837 .78285 12.22 30

안전운항 중요성 인식도 4.2612 .73351 18.45 4

환경보호 중요성 인식도 4.1265 .74953 16.57 14

적절한 교육훈련 시행여부 4.0653 .71562 16.06 17

4.129

선박 관리

예방정비시스템 운영 4.2490 .70074 18.53 2

0.913 선종항로선령을 고려하여 표준보유수량 설정 4.0082 .80466 15.35 22

적절한 육상지원 4.2082 .74213 18.06 6

손상에 대한 적절한 원인분석 4.1347 .73148 17.13 10

적절한 연료소모량분석 4.0245 .80433 15.63 21

기부속사용의 적정성분석 3.9224 .80349 13.96 25

수리보급공급업체선정의 적절성 3.8980 .78524 13.74 28

주기적인 관리와 개선의 적절성 3.9755 .74617 15.00 24 연료구매시 지역 기간별 유가정보활용 4.0857 .84737 16.08 16

4.070

운항 관리

운항실적분석의 적절성 3.9714 .77035 15.02 23

0.903

항차지시서의 적기 전달 4.0204 .73244 15.80 20

적절한 운항통제 4.0939 .71529 16.55 15

적절한 항해계획 수립 4.1714 .67387 17.28 8

안전운항여부 4.2327 .63935 18.13 5

적절한 화물관리 4.1551 .60769 17.27 9

적절한 안전관리 오염방지 비상대응 규정 4.2449 .64435 18.51 3 4.149

전체 4.055 0.75 0.955

<표5-13> 프로세스요인의 신뢰성분석과 순위검정결과

주: * 순위검정에서 Kendall의 W(일치계수)는 .07, 카이제곱=588.882, 자유도=30, 근사 유의 확률=.000으로써 적합함.

2.

2.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