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 선
1. 자료수집과 자료수집과 자료수집과 자료수집과 분석방법 분석방법 분석방법 분석방법
본 연구의 가설을 검정하기 위한 자료수집 방법으로 설문조사와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문항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서 사전조사를 실시한 후 설문문항을 수정하여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표본대상은 우리나 라 외항선사중에서 ISM CODE에 의한 안전경영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는 81 개 선사의 임원과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지 배포와 유효설문지 회수현황은 <표5-1>과 같다.
연구 가설을 검정하기 위해 사용된 분석방법은 프로세스요인 그리고 성과요 인 간의 관련성 유무는 통합분석모형인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132), 변수들의 신뢰성과 타당성 검정은 크 론바하 알파(α) 검정방법과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요인 간의 상관관계유무는 피어슨 상관관계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132) Hair J. F., Tatham R. L., R. E. Anderson and W. Black, Multivariate Data Analysis, 5th Prentice -Hall, 1998, pp. 577-652.
조 사 대 상 ISM CODE를 운영중인 81개 국적외항선사
설문지 배포 수 650 매
유효 설문지 회수 수 281 매
유효회수율 45 %
조사기간 2006년 9월 1일- 10월 15일
<표5-1> 설문지 배포와 회수현황
2. 2.
2. 2. 설문문항의 설문문항의 설문문항의 설문문항의 구성 구성 구성 구성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설문지는 일반문항, 5개 유형의 해운경영프로세 스요인 그리고 성과요인 등 크게 3개 부분으로 구분되어 있다.
응답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대한 질문은 응답기업명, 직책, 기업의 비전 및 목표를 가장 잘 이해하고 있는 직급 등으로 구성되었다.
요인 변수 구성 척도
경영 책임
경영방침이 경영목적에 적합성 a1
5점 척도
명확한 목표 수립 a2
경영방침 목표달성에 필요한 운영시스템이 문서화 a3
CEO의 적극적 지원 a4
조직구조의 적합성 a5
권한과 책임의 명확성 a6
육상 직원 관리
적절한 능력과 자격기준설정 b1
직원선발의 적격성 b2
선원관리에 영향 인식도 b3
선박관리비용감소와 운항효율에 유용성 b4
직무능력의 충분성 b5
고객만족 중요성 인식도 b6
안전운항 중요성 인식도 b7
환경보호 중요성 인식도 b8
적절한 교육훈련 시행여부 b9
선원 관리
적절한 능력과 자격기준설정 c1
선박관리비용감소와 운항효율에 유용성 c2
직급별 면접기준 수립과 운영 c3
선박별 직급별 교육과 자격 c4
직무능력의 충분성 c5
안전운항 중요성 인식도 c6
환경보호 중요성 인식도 c7
적절한 교육훈련 시행여부 c8
선원자질미흡으로 운항지연 c9
<표5-2> 프로세스 설문문항의 구성Ⅰ
요인 변수 구성 척도
선박관 리
선박확보시 운항비 검토 c1
5점 척도 적절한 선박관리는 운항효율 향상에 유용성 c2
자본비와 내용년수 고려 c3
예방정비시스템 운영 c4
선종 항로 선령을 고려하여 표준보유수량 설정 c5
적절한 기부속 재고관리 c6
국제협약 기국정부 선급요구사항 반영 c7
적절한 육상지원 c8
손상에 대한 적절한 원인분석 c9
선급검사 조치의 적절성 c10
적절한 연료소모량분석 c11
기부속사용의 적정성분석 c12
수리보급공급업체선정의 적절성 c13
주기적인 관리와 개선의 적절성 c14
연료구매시 지역 기간별 유가정보활용 c15
선박 기기문제로 운항지연 c16
운항관 리
선박특성을 고려하여 계약체결 d1
C/B H/B 고려하여 계약체결 d2
운항실적분석의 적절성 d3
항차지시서의 적기 전달 d4
적절한 운항통제 d5
적절한 항해계획 수립 d6
안전운항여부 d7
적절한 화물관리 d8
적절한 안전관리 오염방지 비상대응 규정 d9
정시운항 준수 d10
<표5-3> 프로세스 설문문항의 구성Ⅱ
요인 변수 구성 척도
비용효과 사고발생율 p1
척도5점
선박보험료 p2
운항비용 p3
서비스개선 및 수익증대효과
선박가동율 p4
정시운항율 p5
고객만족도 p6
매출액증대 p7
순이익증대 p8
<표5-4> 성과변수 응답문항의 구성Ⅲ
3. 3.
3. 3. 응답자 응답자 응답자 응답자 일반사항 일반사항 일반사항 일반사항
응답자 281명 중 65.1.2%인 183명이 과장이상의 임직원으로 가장 높은 비 중을 차지하였으며, 임원이상 응답자 또한 10.3%로 29명에 달했다. 아울러, 4 년 이상 근속한 응답자는 250명으로서 89%를 차지하고 있으며 10년 이상 장 기 근속한 응답자도 135명으로 전체 응답자의 48.0%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품질경영시스템, 환경경영시스템,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의 도입현황에 대한 응답 중 무응답의 상당수는 현재 해당경영 시스템을 도입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다.
구 분 임원이상 부장 차장 과장 대리 평사원 무응답 계
인 원 29 43 42 69 75 19 4 281
구성원비율 10.3% 15.3% 14.9% 24.6% 26.7% 6.8% 1.4% 100.0%
<표5-5> 조사대상의 직책
구 분 1년미만 1-3년 4-6년 7-10년 10년이상 무응답 계
근무년수 6 24 58 57 135 1 281
구성원 비율 2.1% 8.5% 20.6% 20.3% 48.0% 0.4% 100.0%
<표5-6> 조사대상의 근무년수
응답 선사의 주로 이용하는 항로는 한중일항로가 32.5%로 가장 높은 비율 을 차지하고 있고 그 다음으로 미주항로, 동남아 항로순이며 상기 모든 항로를 운항하는 응답비율도 15.0%를 차지하고 있다.
구 분 미주 한중일 유럽 동남아 호주 남미 전체 기타 계
이용
항로 69 91 11 40 10 1 42 16 280
비율 24.6% 32.5% 3.9% 14.3% 3.6% 0.4% 15.0% 5.7% 100.0%
<표5-7> 응답자 소속기업의 이용항로
응답자의 소속기업의 안전경영시스템 도입실태를 살펴보면, 1년 미만인 기 업은 하나도 없고 3년 미만인 기업이 9.3%이고 4년 이상인 기업은 전체의 85%이며 10년 이상인 기업도 40.9%에 달하고 있어 안전경영시스템은 우리 나라 외항선사에 정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구 분 1년미만 1-3년 4-6년 7-10년 10년이상 무응답 계
이용년수 0 26 51 73 115 16 281
구성비율 0% 9.3% 18.1% 26.0% 40.9% 5.7% 100.0%
<표5-8> 응답자 소속기업의 안전경영시스템
응답자의 소속기업의 품질경영시스템 도입실태를 살펴보면 66.7%가 도입하 고 있다고 하였으며 도입기간은 1년 미만인 기업은 1.1%이고 1년 이상 3년 미만인 기업이 6.0%이며 4년 이상인 기업은 전체의 60%에 달하고 있다. 그 리고 10년 이상인 기업도 26.0%에 달하고 있어 품질경영시스템도 우리나라 외항선사에 비교적 잘 정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구 분 1년미만 1-3년 4-6년 7-10년 10년이상 무응답 계
이용년수 3 17 22 73 73 93 281
구성비율 1.1% 6.0% 7.8% 26.0% 26.0% 33.1% 100.0%
<표5-9> 응답자 소속기업의 품질경영시스템
응답자의 소속기업의 환경경영시스템 도입실태는 43.1%가 도입하고 있다고 하였으며, 도입기간은 1년 미만인 기업은 15.7%이고 1년 이상 3년 미만인 기 업이 39.7%이며 4년 이상인 기업은 전체의 44.6%로 절반에도 못 미치고 있 다. 이러한 결과는 환경경영시스템은 아직도 우리나라 해운기업에 걸음마단계 에 머물고 있음을 보여 주는 결과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구 분 1년미만 1-3년 4-6년 7-10년 10년이상 무응답 계
이용년수 19 48 21 17 16 160 281
구성비율 6.8% 17.1% 7.5% 6.0% 5.7% 56.9% 100.0%
무응답을 제외한 유효비율
15.7% 39.7% 17.4% 14.0% 13.2% - 100.0%
<표5-10> 응답자 소속기업의 환경경영시스템
응답자의 소속기업의 안전보건경영시스템 도입실태는 35.6%가 도입하고 있 다고 하였으며, 도입기간은 1년 미만인 기업은 16.0%이고 1년 이상 3년 미만 인 기업은 절반이상인 52.0%이며 4년 이상인 기업은 전체의 32.0%로 절반에
도 훨씬 못 미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라 해운기업에 있어서 환경경영 시스템보다도 더욱더 초보적인 단계에 머물고 있음을 보여 주는 결과라고 보 아야 할 것이다.
구 분 1년미만 1-3년 4-6년 7-10년 10년이상 무응답 계
이용년수 16 52 22 7 3 181 281
구성비율 5.7% 18.5% 7.8% 2.5% 1.1% 64.4% 100.0%
무응답을 제외한 유효비율
16.0% 52.0% 22.0% 7.0% 3.0% - 100.0%
<표5-11> 응답자 소속기업의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제 제 제
제3 3 3 3절 절 절 절 분석결과와 분석결과와 분석결과와 분석결과와 해석 해석 해석 해석
상기에서 설정된 연구가설을 검정하기 위한 분석과정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련요인의 신뢰성분석과 주성분 분석에 의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 하여 관련요인들의 응답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정하였으며, 둘째, AMOS 4.0에 의한 구조방정식모형과 다변량 회귀분석에 의거하여 관련요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통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연구가설을 검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