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은 미국의 경제정책들이 ‘수정’되어야 함을 역설하였다. 이들은 일본의 위협을 부각하면서 기존의 자유주의 담론에 도전하게 되었다. 다음에서 는 이러한 안보 담론의 구페적 내용을 경제적 측면과 군사적 측면으로 나누어 세부적으로 살펴본다.
본 정치경제 모델이 영미식 모델과 ‘다른’ 면을 인지하지 못했다고 비판 한다. 그리고 존슨은 일본의 ‘다른’ 정치경제 모델을 ‘자본주의 발전국가 모델(capitalist developmental state)'로 이론화하여 제시하고 있다.69) 따 라서 존슨은 미국의 대외경제정책이 일본의 이런 다른 점들을 명확히 인식하여 대응해야 한다고 역설하고 있다. 존슨이 한 언론사에 기고한 글은 일본에 대한 그의 인식을 쉽고 간단명료하게 제시하고 있다.
일본 경제모델은 미국과는 다른 산업화의 역사, 미국과는 다 른 경제에 대한 국가의 역할, … 등의 산물입니다. 일본을 대 하는 미국의 경제정책은 이러한 차이들을 전제로 수립되어야 합니다.
제 입장은 간단합니다. … 우리의 경제적 독립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일본이 자신들에게 유리하도록 우리와의 무역을 관 리했듯이, 우리도 일본과의 무역을 관리하고, 미국에서 만든 상품들이 미국의 소비자들의 눈길을 끌 수 있도록 산업정책 을 실시하는 것 말고는 다른 선택지가 없다는 것입니다.70)
통상 전문가이자 ‘4인방’의 한 사람인 프레스토비츠도 일본 모델
69) 일본의 ‘발전국가’모델 논의에 대한 존슨의 대표적인 저작으로 다음이 있다 . Johnson, Chalmers. 1982. MITI and the Japanese Miracle: The Growth of Industrial Policy, 1925-75. (California: Standford University Press); Johnson, Chalmers. 1995. Japan: Who Governs? The Rise of the Developmental State.
(New York: W. W. Norton).
70) Johnson, Chalmers. 1992. "The "revisionist" stance on trade with Japan."
Washington Post. August 1992.
https://www.washingtonpost.com/archive/opinions/1992/08/11/the-revisionist-stance- on-trade-with-japan/91418395-49b3-4672-bb77-8fb929afca26/ (검색일: 2019. 6. 2).
필자번역. 원문은 아래와 같다.
“The Japanese economy is the product of a different history of industrialization from that of the United States, of a different role for the state in economic affairs, … .American economic policy toward Japan should be premised on these differences.
My position is simple. … In order to maintain our economic independence, we have no alternative than to manage our trade with Japan -- as the Japanese have always managed their trade with us to their advantage -- and to implement an industrial policy to ensure that U.S. manufactured goods are attractive to American consumers.”
에 대해서 존슨과 유사한 인식을 보여주고 있다.71) 그는 1988년에 출판 한 저작에서 미국의 관료들이 일본의 본질을 잘 알지 못한 상태에서 경 제정책을 펼치는 실수를 저지르고 있다고 신랄하게 비판하고 있다.72) 즉 일본의 경제는 서양의 신고전파 경제모델과 매우 다른 원칙, 목표, 구조, 그리고 관행에 기초하고 있다는 것이다.73)
수정주의자들이 보기에 미국의 자본주의 모델과 다른 일본의 산 업정책과 경제의 관행은 공정하지 못한 것이었다. 존슨은 한 편집서 속 의 글에서 일본 정부의 발전국가적 산업정책의 특징과 공정하지 못한 관 행을 구체적으로 밝히고 있다. 우선 가격 결정 메커니즘 차원에서 일본 은 인위적으로 상품가격을 설정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즉 일본 내 상품 가격 보다 미국 내 일본 상품의 가격이 더 비싸다는 것이다. 존슨은 이 러한 일본 기업들의 가격책정 행태가 실질적으로는 보조금을 받는 것과 유사한 것이라고 본다. 둘째, 특허정책의 차원에서 일본은 미국의 지적재 산권을 빈번히 침해하여 이익을 취하는 반면, 일본에서 활동하는 미국 기업들에게는 부당하게 엄격한 지적재산권이 설정된다고 주장한다. 셋째, 규제정책의 측면에서 일본은 민주주의 국가 중에서도 행정절차가 매우 불투명한 축에 속한다고 주장한다. 넷째, 정부조달의 측면에서도 자국 기 업에게 유리한 낙찰가격을 설정하는 등 불공정 행위가 만연하며, 일본의 공정거래위원회는 이런 관행에 대하여 적극적인 제재를 가하지 않고 있 다고 비판한다. 이외에도 일본 기업문화와 계열기업의 문제, 유통구조의 비합리성 등을 지적하면서 미국 기업들이 일본 내에서 공정하게 경쟁하 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한다.74)
71) 프레스토비츠는 1983년-86년의 기간 동안 레이건 행정부에서 일본 문제에 대한 미 상무부 장관의 자문관으로 재직하였는데, 자리에서 물러난 이후 공직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수정주의적 주장을 펼쳐나갔다.
72) Prestowitz, Clyde. V. 1988. Trading Places: How We Allowed Japan to Take the Lead. (New York: Basic Books).
73) Prestowitz, Clyde. V. 1993. "Japan and the United States: Twins of Opposites?"
In Aspen Strategy Group (eds.) Harness the Rising Sun: An American Strategy for Managing Japan's Rise as a Global Power, 75-98. (Lanham: University Press of America), p. 75.
74) Johnson, Chalmers. 1990. “Trade, Revolutionism, and the Future of Japanese-American Relations.” In Kozo Yamamura. (eds.), Japan's Economic Structure: Should it Change? (Seattle: Society for Japanese Studies), pp. 105-123.
(2) 경쟁력 하락과 자유주의 질서에 대한 위협
둘째, 수정주의자들은 영미와는 ‘다른’ 일본의 경제모델 자체가 미국에게 경제적 위협으로 작용한다고 주장하였다. 즉 수정주의자들은 일본이 중상주의적 발전전략을 활용하여 발전할 경우, 세계 경제를 석권 하여 궁극적으로 미국 산업의 경쟁력 하락으로 이어질 것을 우려하였다.
예를 들어, 당시 경영학의 저명한 인사였던 피터 드러커(Peter Drucker) 는 일본의 발전모델을 ‘적대적 무역(adversarial trade)’으로 규정하며, 영 미식 ‘경쟁적 무역(competitive trade)’과 대비시키고 있다. 드러커에 따르 면 적대적 무역은 재화를 수입하는 국가의 사회적 혼란을 초래하기 때문 에 공정한 경쟁 행위가 아닌 상대방을 약탈하는 행위이다. 이렇게 되면 미국의 국내산업이 부당하게 시장에서 퇴출당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 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대규모 실업을 유발할 수 있다. 이는 곧 미국의 산업 공동화를 초래하는 경제적 위협이었다.75)
수정주의자들이 보기에 전통적인 제조업 부문의 경쟁력이 떨어지 고, 일본으로 대표되는 외국의 산업들이 이를 대체해나가고 있다는 사실 자체가 굉장한 위협이었다. 미국과 같은 선진국들은 첨단기술 산업에 집중 하고, 후발 도전국들이 전통적인 제조업을 이어받아 발전한다는 모델이 당 시에는 일반적인 인식이었으나, 수정주의자들은 이러한 인식 자체가 미국 의 미래 경쟁력을 위협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즉 이들에 따르면 산업 간의 연계성을 무시할 수 없으므로 제조업이 성장하여 수요를 창출해야 이것이 첨단기술 산업도 함께 발전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시각에 따르면 제 조업 분야가 쇠퇴한다고 해서 이것이 다른 부문의 성장으로 대체될 수 있 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미국의 제조업 산업이 공동화되는 것은 미래 미국 경제의 지속적인 번영에 대한 근본적인 위협으로 작용할 수 있었다.76)
75) Drucker, Peter F. 1986. "Drucker on Management: Japan and Adversarial Trade."
Wall Street Journal. April 01.
76) Borrus, Michael and John Zysman. 1992. "Industrial Competitiveness and American National Security" In Sandholtz, Wayne, Michael Borrus, John Zysman, Ken, Conca, Jay Stowsky, Steven Vogel, & Steve, Weber (eds.) The Highest Stakes: The Economic Foundations of the Next Security System, 7-52.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p. 12-13. 철강, 컬러 티비, 섬유 등 전통적인 제조 업 부문에서의 경제적 위기와 관련된 수정주의자들의 인식은 다음의 연구에서 구체 적으로 나타나 있다. Zysman, John, Laura D’Andrea Tyson (eds). 1983. American
그러나 수정주의자들이 보기에 더욱 심각한 문제는 일본의 불공 정한 관행에 의해 미국의 최첨단 기술 산업이 심각한 위기에 처했다는 점이었다. 즉 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첨단기술 산업에서의 패배는 미국 미래 성장의 원동력이 붕괴하는 것을 의미했다. 예를 들어, 일본에 반도 체 시장을 내주는 상황, 즉 ‘전자 칩에 대해서 지는(losing the chips)’ 상 황은 텔레비전과 자동차 산업 등 제조업 부문에서의 미국의 패배와 같이 미래 미국의 경제에 치명적 위협으로 작용할 수 있었다. 이들이 보기에 전자산업과 같은 첨단기술 산업에서의 미국이 고전하는 것은 시장에서의 공정한 경쟁의 결과가 아니었기 때문에 더욱 문제가 되었다. 즉 통산성 (MITI: Ministry of International Trade and Industry) 등 일본의 주요 정 부 기관들이 선도부문의 육성을 위해 조직적으로 개입하고 있었기 때문 에 이대로 놔두었다가는 미국의 기업들이 공정하지 못한 경쟁에 의해 일 본 기업들에게 패배할 수 있다는 것이 수정주의자들의 핵심 주장이었다.77)
또한 수정주의자들이 보기에 일본의 경제모델은 미국이 구축하 였던 국제적인 자유주의 질서 자체에 대한 중대한 위협으로 간주되었다.
특히, 다른 동아시아 국가들이 일본식 발전국가 모델을 모방함으로써 궁 극적으로 자유무역을 추구하는 미국이 큰 경제적 손해를 입을 수 있다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대표적으로 '4인방‘ 중 한명인 팔로우스는 Atlantic Monday에 기고했던 ’Containing Japan'이라는 글에서 이러한 문제를 제 기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궁극적으로 미국이 소련에 그랬듯이 일본을
‘봉쇄(contain)’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일본을 봉쇄하지 않는다면, 미국에 중요한 몇 가지 사항이 위험에 처하게 될 것입니다. 그 중요한 사항이란 미 국이 외교정책을 집행하고 그 이상을 발전시킬 수 있는 미국 자신의 권위,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기업들의 힘으로 실현하 고자 하는 미국 시민들 미래의 전망. 그리고 제2차 세계대전
Industry in International Competition: Government Policies and Corporate Strategies.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77) Prestowitz, Clyde. V. 1988. pp. 26-70.; Fallows, James. 1994. Looking at the Sun:
The Rise of the New East Asian Economic and Political System. (New York:
Pantheon Books), pp. 21-71.
이래로 미국이 지속적으로 유지해왔던 자유무역 체제입니다.
국제적 자유무역질서에 대한 주요 위협은 미국의 보호주의로 부터 오는 것이 아닙니다. 자유무역질서에 대한 위협은 일본 이 설정한 본보기로부터 비롯됩니다. 일본, 그리고 대만과 한국 과 같이 일본 모델을 추종하는 국가들은 자유무역 사회들과
‘자본주의 발전국가’들과의 정면 대결에서 자유무역주의자들이 궁극적으로 패배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78)
한편 분석적 차원의 비판을 넘어서 일부 전문가들은 일본이 부 당하게 미국 사회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일본에 대한 감 정적 비난의 수위를 높여나갔다. 예를 들어, 초아트(Pat Choate)는 일본 이 미국의 지적에 제대로 대응하지 않고, 미국의 비난을 무마시키기 위 해 ‘변명’을 일삼고 있으며, 교묘한 수법을 활용하여 이러한 일본의 주장 을 미국 내에 전파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다시 말해, 일본인들은 우수 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각종 로비활동, 선전 활동, 심지어 정치인 매수 활 동 등을 통해 미국 사회에 부당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것이다. 초 이트가 보기에 일본의 이러한 활동은 미국 사회를 심하게 부패시키고 있 으며, 미국인들의 기본적 가치관을 크게 훼손시킬 수 있었다.79)
요컨대, 수정주의자들은 일본의 성장이 가져올 경제적 위협을 강 조하고 있었다. 이들은 일본이 미국과는 ‘다른’ 경제모델을 운영하고 있 다고 지적하면서 일본 문제가 단순히 무역적자 등 지표상의 문제가 아닌 근본적인 경제체제의 문제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일본의 모델은
78) Fallows, James. 1989. "Containing Japan." The Atlantic Monthly 263(5), p. 53. 필 자 번역. 원문은 다음과 같다.
“Unless Japan is contained, therefore, several things that matter to America will be jeopardized: America's own authority to carry out its foreign policy and advance its ideals, American citizens' future prospects within the world's most powerful business firms, and also the very system of free trade that America has helped sustain since the Second World War. The major threat to the free-trade system does not come from American protection. It comes from the example set by Japan. Japan and its acolytes, such as Taiwan and Korea, have demonstrated that in head-on industrial competition between free-trading societies and 'capitalist development states'. the free traders will eventually lose.”
79) Choate, Pat. 1990. “Political Advantage: Japan’s Campaign for America.” Harvard Business Review. September-October 1990 Iss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