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됨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동맹국들에게 이러한 규정을 적용하는 경우 가 매우 드물었다. 이런 맥락에서 미국은 무기와 관련된 신기술을 일본 에 이전하는 등 동맹국들과 기술 협력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었다.44)
위해서는 전자산업이 필수적일 것이라고 인식하고, 이를 육성하기 위한 적극적인 정책들을 펼치고 있었다.46)
한편 ‘일본의 발전과정에서 민간부문의 역할을 강조하는 학자들 도 첨단기술 산업만큼은 예외로 취급하여 국가의 주도적 역할을 인정한 다. 예를 들어 칼더(Calder)는 전반적으로 일본이 ’국가 주도형 경제‘보다
’산업 주도형 경제‘ 모델에 더 가깝다고 주장하면서도, 컴퓨터와 반도체 같은 첨단기술 산업에 대해서는 MITI가 산업을 육성하여 국제적 경쟁력 을 갖출 수 있도록 다스릴(reign)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 있으며, 국내적 투쟁 없이 그러한 전략적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 다.47) 국가 중심적인 설명을 비판하면서 '사회적 국가(societal state)', 혹은 ’네트워크 국가‘라는 개념을 제시하는 오키모토(Okimoto) 또한 첨 단기술 산업에 대한 일본의 산업정책을 고려했을 때에는 MITI가 가장 지배적인 행위자(dominant player)라고 주장한다..48) 또한 일부 학자들은 일본의 컴퓨터 하드웨어 산업의 발전과정에서 민간부문의 역할을 강조하 면서도 정부의 지원 정책이 중요했다는 점을 인정한다.49)
요컨대. 후발주자였던 일본은 첨단기술 산업에서 선발국을 따라 잡기 위해 적극적인 추격전략을 펼쳤다고 할 수 있다. 일본의 추격전략 은 컴퓨터, 반도체 등의 첨단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MITI가 개시했던 다 양한 프로젝트들에서도 확인해볼 수 있다. 예를 들어, 1962년에는 컴퓨터 산업의 기술개발을 위해 MITI는 2백만 달러 규모의 FONTAC 프로젝트
University Press); Johnson, Chalmers. 1989a. “MITI, MPT, and the Telecom Wars: How Japan Makes Policy for High Technology.” In Johnson Chalmers, Laura D'Andrea Tyson, and John Zysman (eds.). 1989. Politics and Productivity:
How Japan's Development Strategy Works. 177-240. (New York: HarperBusiness).
46) Yamamura, K. 1986. “Caveat Emptor: The Industrial Policy of Japan.” In Krugman, Paul R. (eds.). 1986. Strategic Trade Policy and the New International Economics. 169-209. (Cambridge: MIT Press).
47) Calder, Kent E. 1993. Strategic Capitalism: Private Business and Public Purpose in Japanese Industrial Finance. (Princeton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20, p. 247.
48) Okimoto, Daniel I. 1989. Between MITI and the Market: Japanese Industrial Policy for High Technology. (Stanford California: Stanford University Press). p.
226, pp. 229-238.
49) Levy. Jonah D. and Richard J. Samuels. 1992. Institutions and Innovation:
Research Collaboration As Technology Strategy in Japan. The MIT Japan Program:Science, Technology, Management. MITJSTP 98-02, p. 60.
를 개시하였다. 1966년에는 그 규모가 확장하여 6천4백50만 달러 규모의
‘고속 컴퓨터 프로젝트(High-Speed Computer Project)'가 실시되었다. 한 편 1976년에는 MITI 주도로 3억6천만 달러 규모의 ’초고밀도집적회로 프 로그램(VLSI: Very Large Scale Integrated Circuits Program)‘ 이 개시 되었다.50) MITI가 주도했던 첨단기술 산업 분야에서의 주요 연구개발프 로젝트들은 <표 2-1>에 정리되어 있다. 이러한 추격전략을 바탕으로 일 본의 첨단기술 산업은 성장하여 서서히 미국의 우위에 도전하게 되었다.
기간 프로젝트 지원 분야 예산
규모
1962-64
FONTAC 프로젝트
컴퓨터 571966-71
고속 컴퓨터 프로젝트
(High-Speed Computer) 컴퓨터 10
1967-72
일본 소프트웨어 회사 프로젝트
(Japan Software Company) 소프트웨어 3.0
1971-80
패턴 처리 정보 시스템
(Patter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소프트웨어 22 1972-76
뉴 시리즈 프로젝트
(New Series) 컴퓨터 57
1975-80
초고밀도집적회로(VLSI) 프로젝트
(Very Large Scale Integration) 반도체 29
1976-81
소프트웨어 생산 기술 개발 프로젝트
(Software Production Technology Development) 소프트웨어 6.5 1981-90
슈퍼컴퓨터 프로젝트
(Supercomputer) 컴퓨터 17.5
1982-93
5세대 컴퓨터 시스템 프로젝트
(Fifth Generation Computer Systems) 컴퓨터 54 1985-89
SIGMA 프로젝트
소프트웨어 12.5<표 2-1> 1960-80년대 MITI 주도 주요 연구개발 프로젝트
(단위: 10억 엔)
출처:
Fong, Glenn R, 1998. “Follower at the Frontier: International Competition and Japanese Industrial Policy."
International Studies Quarterly42(2), p. 341
을 참조하여 필자가 작성.50) MITI가 주도했던 다양한 기술개발 프로젝트의 목록 및 내용은 다음을 참조. Fong, Glenn R, 1998. “Follower at the Frontier: International Competition and Japanese Industrial Policy." International Studies Quarterly 42(2), p. 341-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