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한편 수정주의적 이념이 단순히 일본의 부상이 가져오는 경제적 위협만을 강조한 것은 아니었다. 첨단기술 산업에서 일본의 약진이 두드 러지고 미국의 상대적 쇠퇴가 가시화되자, 미국 내에서는 민군겸용기술 의 일본에 대한 의존이 가져올 군사적 안보 위협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표면으로 부상하게 되었다. 즉 수정주의자들은 일본 문제를 군사 안보 문제로 규정하여 기술의 문제를 안보화 하였다.

(1) 기술 의존성과 안보 위협에 대한 인식

미국은 2차 세계대전 이후부터 우월한 첨단기술을 바탕으로 자 급자족 할 수 있는 산업 기반을 다지고 있었다. 이처럼 미국의 패권적 위치가 공고할 때에는 기술의 문제가 특별히 군사 안보 문제로 확대되지 는 않았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 일본이 세계 첨단기술 시장에 점차 영 향력을 넓혀 나가게 되면서 군 관료, 의회, 학계 등 주요 행위자들은 선 도부문에서 미국의 경쟁력 하락이 곧 미국의 미래 군사 작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았다.81)

미 의회의 군사위원회(House Armed Services Committee)가

80) Kunkel, John. 2003, pp. 140-143; Morris, Narrelle. 2011, pp. 51-63.

81) Tansey, Kevin, and Rosa Johnson. 1992. “The Pentagon’s Dependence on Foreign Sources.” GAO Journal 14, pp. 28-33.

1980년에 낸 보고서는 미국의 기술 의존성이 가져올 안보 위협을 단적으 로 보여주고 있다. 동 보고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리고 있다.

본 패널은 국가의 방위 산업 역량이 심각하게 하락했으며, 이것이 우리의 국가 안보를 심각한 위험에 빠뜨리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중요한 산업적 요소들의 놀라운 침식, 그리고 필수적인 물질들에 대한 해외 의존성의 급격한 증가 는 함께 작용하여 우리의 방위의 근간을 근본적으로 훼손하 고 있습니다.82)

동 보고서는 이전과는 달리 미국 방위 산업의 기초가 심각하게 흔들리고 있다는 우려를 인지한 초창기의 공식적인 문서라는 점에서 의 미가 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미국의 방위 산업에 대한 위협 인식은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첫째, 미국의 방위 산업이 심각한 위기에 처하고 있으며, 미래에도 이러한 경향이 지속될 것이라는 우려이다. 둘째, 미 국 방부(Department of Defense) 및 의회 등 미국의 정책 결정자들이 이 문제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하고 있으며, 오히려 상황을 악화시켜 근본적 으로는 미국의 국가 안보가 심각하게 위협받는다는 것이다. 셋째, 특히 군용품에 필수적인 부품의 부족, 그리고 이러한 부품들을 미국의 통제 밖에 있는 외국에 의존하게 되는 상황은 민간 경제뿐 아니라 국가안보에 심각한 위협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83)

1980년에 등장한 이 보고서를 필두로 미국 정부는 기술 문제가 가져오는 안보적 함의를 연구하는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지원하였고, 이 러한 연구들은 미국 내 기술 안보 담론을 형성하는데 기여하였다. 예컨

82) U.S. Congress, House Committee on Armed Services. 1980. The Ailing Defense Industrial Base: Unready for Crisis. Defense Industrial Base Panel Report. 96th Congress, 2d Session. (Washington D.C.: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p. Ⅲ.

Letter of Transmittal. 필자 번역. 원문은 아래와 같다.

“The panel finds that there has been a serious decline in the nation’s defense industrial capability that places our national security in jeopardy. An alarming erosion of crucial industrial elements, coupled with a mushrooming dependence on foreign sources for critical materials, is endangering our defense posture at its very foundation.”

83) U.S. Congress, House Committee on Armed Services. 1980, p. 1.

대 국방부, 공군, 합동참모본부(Joint Chiefs of Staff), 주일미군병참본부 (Japan Logistical Command), 고등국방연구기획국(DARPA: Defense 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 등 군 관련 정부기관들이 산업계 와 랜드(Rand)와 같은 싱크탱크들과 함께 미국의 군사적 안보 위협을 집중적으로 연구하였다.84)

이 프로그램들의 연구 동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자. 1980년대 초 반 직접적으로 군사 안보와 관련된 미 정부 기관들은 미국의 기술 수준 하락과 기술 의존성 증대가 가져올 수 있는 잠재적 위협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하였다. 1983년과 1985년 기간 동안 미국 국방과 관련된 주요 연구기관들은 자국의 산업시설들이 탱크, 무장차량, 전투기 엔진, 어뢰, 정밀유도무기(precision guided munitions) 등의 전투 장비들을 생 산할 역량이 어느 정도인지를 평가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들은 완성된 형태의 무기를 생산하는 산업뿐 아니라 완제품에 들어가는 여러 부품 생산자들까지 포함하여 과연 미국의 방위 산업이 미국의 국가 안보 를 지탱할 만큼의 역량이 되는지 검토하였다. 그리고 무기 완제품의 생 산 보다는 그 완제품에 들어갈 하위 부품들과 관련하여 미국이 외국의 저렴한 첨단기술 장비들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것은 국가 안보를 중대하 게 위협할 잠재력이 있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85)

이러한 위협인식은 직접적으로 군사 작전을 수행해야 하는 입장 에 있던 현직 군인들에게서 더욱 명확히 나타났다. 이들은 자신들이 운 용하는 주요 무기체계가 외국의 부품에 의존하는 것에 대해서 심각하게 우려하고 있었다. 예를 들어, 1987년의 한 인터뷰에서 당시 태평양에서 해군 지휘관으로 근무하고 있었던 제임스 라이온스(James Lyons) 제독 은 다음과 같이 말하기도 하였다. “우리의 현대 무기체계라고 할 수 있 는 F-16과 F/A 18 전투기들, 그리고 우리의 M-1 탱크들, 그리고 군사

84) 주요 연구 목록은 다음을 참조. Friedberg, Aaron L. 1989, p. 414.

85) 이 시기에 이뤄졌던 연구 프로젝트의 기원과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에 잘 정리되어 있다. Libicki, Martin C., Jack Nunn, and Bill Tayler. 1987. U.S. Industrial Base Dependence/Vulnerability: Phase -Analysis. Mobilization Concepts Development Center. (Washington D.C.: National Defense University), pp. 16-24; Vawter, Roderick L... 1986. U.S. Industrial Base Dependence/Vulnerability: Phase -Survey of Literature. Mobilization Concepts Development Center. (Washington D.C.: National Defense University), pp. 3-34.

적 목적으로 활용하는 컴퓨터 등에 들어가는 핵심적인 부품들은 모두 동 아시아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저는 가까운 미래에 이러한 추세가 바뀔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언젠가 우리는 이 문제를 아주 심각 하게 바라보게 될 것이고, 그렇게 해야만 할 것입니다.”86)

미국의 주요 행위자들이 어떻게 기술의 문제에 위협을 느꼈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크게 4가지로 정리해볼 수 있다. 우선 일군의 전문 가들은 군사적 차원의 물품 조달에 대한 안보 위협을 강조했다. 이들은 미국의 주요 무기체계가 외국의 기술과 공급원에 의존할 경우 위기가 발 생했을 때 과연 미국이 필수적인 부품들과 장비들을 필요한 만큼 제때 받을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 둘째, 외국 기업에 대한 통제권 의 문제를 제시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즉 외국의 기업들이 첨단기술을 통제할 경우 과연 이들이 미국의 안보적 이익에 부합하게 행동할 것인가 에 대해서 의문을 품는 사람들도 많이 있었다. 셋째. 기술적인 측면의 장 기적인 위협에 주목한 사람들도 있었는데, 이들은 미국 시장과 세계시장 에서 외국, 특히 일본 기업들의 약진이 계속될 경우, 미국의 산업 기반 자체가 붕괴하여 기술적 우위를 완전히 빼앗길 것을 우려했다. 즉 이들 은 미래에 미국의 군사 기술이 외국에 완전히 종속되는 것을 경계하였 다. 마지막으로 기술 의존, 그리고 미래의 기술적 종속이 가져오는 정치 적 위협을 강조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이들은 일본과 같이 첨단기술 산 업에서 부상하는 국가들과 기업들이 기술에 대한 통제권을 가질 경우, 이들이 이를 활용하여 미국의 정치적 결정에 영향력을 행사할 것을 우려 하였다.

(2) 무기체계의 부품 조달의 문제

우선 미국의 국방부 등 군사 전략 전문가들은 위기 시 군사력의 동원을 안보의 핵심으로 파악하였다. 위기 상황에서 군사적 필요에 맞춰 충분한 양의 무기체계를 적재적소에 생산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외국의 기술 우위가 계속되어 미국의 국내적

86) U.S. Naval Institute Proceedings. 1987. “Interview with James A. Lyons, Jr.”

https://www.usni.org/magazines/proceedings/1987/july/interview-admiral-james-l yons-jr-usn(검색일: 2019. 5. 22).

생산기반이 무너질 경우, 우수한 무기체계 및 장비를 제대로 생산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또한 무기의 생산이 외국의 기술과 공급 원에 지나치게 의존하게 되면 예상치 못하는 경제적 정치적 급변 사태가 발생할 경우, 미국이 여기에 자율적으로 대처하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었다.87)

당시 주요 전문가들은 미국의 주요 무기체계를 구성하는 부품들 은 상당 부분 외국의 생산에 의존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었다. 미 공군 과 해군에서 발행한 한 보고서는 “외국칩이 아니면 선택권이 없다(no choice but foreign chips)”라고 표현하며 외국 기업에 의존하는 주요 무 기체계를 열거하고 있다. 예를 들어, Global Positioning System, Integrated Underwater Surveillance system, Defense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F-16 Fighting Falcon, APG-63 Airborne Rader, M1 ABRAMS Tank 등의 무기체계를 구성하는 반도체 부품들은 오직 외국, 특히 일본 기업들의 기술력과 생산에 의존하고 있었다. 미국 합동참모본부에서 실시한 한 조 사에 의하면 만약 외국의 공급원과의 관계가 단절되어 미국의 무기 생산 자들이 국내 부품 생산업체들에게만 납품 받아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면, 이러한 무기체계의 생산은 대략 6-14개월 정도 지연될 수 있었다. 그리 고 이는 미국에 중대한 안보 위협으로 작용할 수 있었다.88)

이러한 위협인식은 다른 정부기관의 기술보고서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도체 산업을 분석한 1987년 국방과학위원회의 보 고서는 구체적 수치는 특정하기 어렵지만, 미국의 최신 무기체계에 사용 되고 있는 집적회로들의 상당 부분이 외국에서 생산되고 있다고 결론을 내리고 있다. 그리고 국내의 공급원을 확보하거나 재고를 충분히 확충하 지 못한다면 미국은 전쟁 시 군사적으로 필수적인 장비들을 활용하지 못 할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국방과학위원회는 이처럼 미국의 안보가 외 국의 첨단기술에 의존하는 상황을 “받아들일 수 없는(unacceptable)” 상 황이라고 표현하고 있다.89)

87) Friedberg, Aaron L. 1989, p. 414.

88) Air Force Association and the U.S. Naval Institute Database. 1988. Lifeline in Danger: An Assessment of the United States Defense Industrial Base. (Arlington, Va: Aerospace Education Foundation), pp. 16-17.

89) U.S. Defense Science Board. 1987. Report of the Defense Science Board Task Force on Defense Semiconductor Dependency. (Washington D.C.: Department 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