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ILO 협약 및 국제노동기준
3. 공무원직장협의회의 설립·가입 현황과 활동 실적
1) 공무원직장협의회 설립·가입 현황
행정안전부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0년 2월말 현재 전국적으로 136개 기관 에 공무원직협이 설립되어 있으며 총 23,949명이 가입된 상태이다. 헌법기관 중에는 헌법재판소에만 1개가 설립되어 있으며 63명이 가입되어 있다. 중앙행정기관에는 105개가 설립, 6,400명이 가입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에는 28개가 설립돼 17,240명 이 가입하였고, 교육청에는 2개 설립, 246명 가입 상태이다.
【표 12】 공무원직장협의회 설립 및 운영현황
[단위: 설립 수(개), 가입인원(명)]
자료: 행정안전부, 「공무원직장협의회길라잡이」, 2020, 107면을 참고, 2020년 2월 28일 기준.
지난 6년 동안의 공무원직협 설립·가입 추이는 아래의 표에 나타나 있다. 공무원직 협법 시행 후 가입인원이 급격하게 증가하여 2004년 가입인원이 16만 명에 도달하기 도 하였으나, 2006년 1월 28일 공무원노조법 시행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14년 에는 24,654명으로 최저점에 도달하였다. 공무원의 권익실현을 할 수 있는 기구가 공
149) 행정안전부, 「공무원직장협의회길라잡이」, 2020, 49면.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전체 직협 148 153 161 160 151 136
가입자 25,319 28,715 34,604 34,754 30,334 23,949
헌법기관 직협 1 0 0 1 1 1
가입자 150 0 0 47 57 63
중앙행정기관 직협 108 104 108 110 107 105
가입자 7,897 7,221 7,483 7,597 7,184 6,400
광역자치단체 직협 4 6 6 6 6 2
가입자 183 522 509 518 531 142
기초자치단체 직협 32 39 45 41 35 26
가입자 17,042 20,672 26,459 26,378 22,221 17,098
지방교육청 직협 3 4 2 2 2 2
가입자 47 300 153 214 341 246
무원노조로 변경되어 공무원직협의 활동과 기능이 좁아진 결과라고 볼 수 있겠다. 하 지만 그 이후 완만한 증가 추세로 2018년에는 34,754명이 공무원직협에 가입한 것으 로 집계되었다. 2019년부터는 다시 줄어들고 있는 상황임을 알 수 있다. 2018년 3월 26일 고용노동부가 전공노의 설립신고서를 다시 수리하여 전공노가 법외노조에서 합 법적인 노조로 전환한 영향이라고 보인다. 이로 인해 종전에는 공무원직협의 가입자 였던 공무원들이 공무원직협을 이탈하여 전공노 조합원이 되는 현상을 보인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겠다. 즉 전공노와 공무원직협의 조합원(회원) 자격을 중복으로 보유하였 던 상당수가 공무원직협의 지위를 포기하고 전공노 조합원 지위만 누리려고 했기 때 문일 것이다.
【표 13】 공무원직장협의회 가입 추이
[단위: 직협(수), 가입인원(명)]
자료: e-나라지표, 「공무원직장협의회 및 가입자」, 행정자치부 공무원단체과, 2020년 7월 23일 기준.
공무원직협과 기관장과의 협의현황을 살펴보면 총 136개 공무원직협 중 109개 곳 (78.6%)이 기관장과의 협의실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하지만, 27개 기관에서는 협 의실적이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관장과 협의실적이 있는 109개 공무원직협 인 경우에도 공무원직협법상 의무협의 횟수인 최소 연 2회를 시행한 곳은 57개(52%) 에 불과한 것으로 문제라 하겠다.
공무원직협과 기관장과의 합의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공무원직협과 기관장 이 합의한 사항(523건) 중 근무환경 개선 230건(43.9%), 업무능률 향상 107건 (20.4%), 고충처리 70건(13.4%), 기관발전 등 기타 116건(22.2%)으로 나타났다.
공무원직협 사무실 및 비품 지원현황을 살펴보면 총 136개 공무원직협 설치 기관 중 사무실 지원기관은 66개(48.5%)로서 자치단체의 경우 24개(85.7%) 기관이 사무실 을 지원하고 있는 반면, 중앙부처의 경우 65개(61.9%) 기관이 사무실을 지원하지 않 은 것으로 나타났다.
2) 공무원직장협의회의 활동실적
우선 공무원직협 운영의 좋은 예로 광주지방기상청 공무원직협150)의 경우를 살펴보 고자 한다. 이곳의 추진배경은 다음과 같다. 광주지방기상청 인사위원회 회의 때 간부 위주로 참석하여 의사결정이 이루어지고 결과만 공유한 게 문제였고, 이로 인한 인사 불만이 항상 존재하였다. 따라서 직원들이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 객관적인 제도 및 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하였다. 제도 개선의 주요 내용은 참관제도의 도입, 그리고 공무원직협을 통한 인사제도 개선 및 정기적인 소통창구를 마련한다는 것이었다. 직 원고충 해결을 위한 면담창구를 설치하고 소속기관 직원들의 소외감을 해소하고 유기 적인 소통을 위한 찾아가는 인사 도우미 제도를 공동 추진하였다. 도서·벽지 전보인사 원칙도 마련하고 준수하였다.
이와 같은 성공요인은 조직간 소통하고 공정하게 처우하는 문화를 조성해서 지속가 능한 환경을 추구한 데 있는 것으로 보인다. 설문조사와 함께 의견 수렴함 등 여러 소통 채널을 통해 회원들의 의견을 건의하고 그 결과를 공유하는 활발한 공무원직협 활동 분위기가 있었기 때문이다. 운영 성과로는 투명한 인사제도 운영으로 직원불만 이 감소하였고, 간부들의 안건 회의 진행에 대한 고충을 이해하고, 공무원직협 임원들 이 참관하여 위원회의 공정성과 신뢰성 향상에 기여하였다는 것을 들 수 있다.
물론 기관마다 활성화정도가 달라 광주지방기상청 공무원직협의 사례와 같이 우수 한 곳도 있고 부진한 곳도 있다. 하지만 공무원 사회에 새로운 혁신을 시도했다는 점 은 높이 평가해야할 것이다. 특히 소방공무원직협의 경우에는 위계질서와 상명하복의 소방조직 특성과 함께 관료주의적·권위주의적인 속성이 두드러지는데, 이를 탈피하여 직원의 의식개선, 조직의 민주화 발전을 기대할 수 있게 한다.
그동안 공무원직협의 주요활동 실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근무환경 개선 및 고 충처리부분에서는 노후화된 직원 휴게공간의 확장, 남·여직원 전용 휴게실 조성, 직원 휴식공간 마련, 체력단련실 헬스기구 설치, 치유(힐링)프로그램 운영, 당직실 근무환경 개선, 장기재직휴가 기간확대, 장애인 직원 맞춤형복지비 추가 지급 등이 있다
업무능률 향상 및 기관발전부분에서는 투명하고 공정한 전·출입 세부기준 마련, 국 내연수 내실화 및 국외연수 기회 확대, 행정종합배상공제가입, 참리더(베스트 간부)공 무원 선정, 여성공무원에 대한 보건휴가 및 육아시간을 적극 권장하는 등 적지 않은 활동실적을 쌓고 있다.
150) 행정안전부, 「공무원직장협의회길라잡이」, 2020, 126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