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I. ILO 협약 및 국제노동기준

3. 소방공무원의 안전실태

우리나라 소방공무원의 안전실태는 우선 화재·구조·구급 등 재난현장에서 순직129) 및 공상130) 소방공무원 현황을 통해서 알 수 있다.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최근 10 년간 순직소방공무원의 현황을 살펴보면 화재·구조·구급 등 재난활동 중 연평균 5.4명

125) 소방공무원 근무규칙 제2조 제4항, 제5항에 따라 “당번” 이란 교대제 근무자가 일정한 계획에 따라 근무하는 날 또는 일정한 시간을 말하며, 주간근무와 야간근무를 포함한다. “비번”이란 교대제근무자 가 일정한 계획에 따라 다음 근무시작 전까지 자유롭게 쉬는 것을 말한다. 또한 동규칙 별표 2에 따 라 “주간” 근무는 08:40~18:00이며 “야간” 근무는 18:00~익일 08:40 까지 근무하는 것을 말한다.

126) 박기환, “소방공무원 사기진작을 위한 근무여건 개선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2011, 63면.

127) 한국노동연구원, 「교대제와 노동시간」, 2013, 13면.

128) 심희선, “소방대원의 근무교대방식이 현장대응능력에 미치는 영향”, 강원대학교 산업과학대학원논 문, 2017, 13면.

129)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4조 제1항 제5호에 “군인이나 경찰·소방 공무원으로 서 국가의 수호·안전보장 또는 국민의 생명·재산 보호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직무수행이나 교육훈 련 중 사망한 사람(질병으로 사망한 사람을 포함한다)”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130)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4조 제1항 제6호에 “군인이나 경찰·소방 공무원으로 서 국가의 수호·안전보장 또는 국민의 생명·재산 보호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직무수행이나 교육훈 련 중 상이(질병을 포함한다)를 입고 전역하거나 퇴직한 사람 또는 6개월 이내에 전역이나 퇴직하는 사람으로서 그 상이정도가 국가보훈처장이 실시하는 신체검사에서 상이등급으로 판정된 사람”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연도별 합 계

순 직 공 상

소계 화재 구조 구급 교육 훈련 기타

131) 소계 화재 구조 구급 교육

훈련 기타

132)

2010 348 8 - 3 1 - 4 340 90 38 78 - 134

2011 363 8 3 2 1 - 2 355 72 29 88 - 166

2012 292 7 4 3 - - - 285 60 21 61 - 143

2013 294 3 2 1 - - - 291 62 23 67 4 135

2014 332 7 1 5 - - 1 325 68 38 80 4 135

2015 382 2 1 - - 1 - 380 72 50 94 3 161

2016 476 2 - 2 - - - 474 88 44 118 6 218

2017 609 2 2 - - - - 607 119 47 127 16 298 2018 795 7 - 2 1 3 1 788 193 58 176 18 343 2019 705 8 1 - 5 1 1 697 164 45 138 23 327 의 공무수행 중 순직자가 발생하였다. 이중 구조가 18명(33.3%)으로 가장 많았고 다 음으로 화재진압이 14명(25.9%), 기타 9명(16.6%), 구급 8명(14.8%), 교육훈련 5명 (9.2%) 순이다.

또한 최근 10년간 공상 소방공무원의 현황을 살펴보면 화재·구조·구급 등 재난활동 중 연평균 454.2명의 공무수행 중 순직자가 발생하였다. 이중 지원활동, 예방활동, 체 력단련 등 기타가 전체 2060명(45.4%)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구급 859명(22.6%), 화재진압 783명(21.8%), 구조 373명(8.7%), 교육훈련 74명 (1.6%) 순이다.

【표 9】 연도별 소방공무원 순직·공상자 현황

(단위: 명)

자료: 소방청, 「2020 소방청 통계연보」, 2020, 31면 참고.

위의 통계표에 따르면 재난현장에서 순직 및 공상 소방공무원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올해 계곡서 피서객을 구하다 급류에 휩쓸려 순직한 구조대 원, 작년 독도 소방헬기 추락사고로 순직한 항공대원 등 소방공무원은 각종 재난현장 에서 위험한 상황이나 긴박한 현장에 즉각적으로 대응해야 하는 직업이다. 소방공무 원 본인의 안전을 보장받지 못한 채 우리 삶의 가장 밀접한 곳에서 애쓰고 있다.

2) 소방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소방공무원은 내근직과 외근직을 불문하고 타 직렬에 비해 PTSD 질환을 갖고 있는 비율이 높다. 열악한 소방 활동 환경을 비롯하여 24시간 사고현장에 노출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출동대비에 대한 강박감과 긴장감 속에서 소방공무원의 PTSD는 더욱

131) 지원활동, 예방활동, 체력단련, 출퇴근 등.

132) 지원활동, 예방활동, 체력단련, 출퇴근 등.

구분 내용

전문치료병원 (군) 19개 병원, (경찰) 경찰병원, (소방) 경찰병원 위탁 치료 수련원 (군) 9개, (경찰) 8개, (해경)3개, (소방) 미설치

가중되고 있다. 또한 유사직군인 경찰이나 군인과 비교하여도 재난 현장에서 겪게 되 는 사건들뿐만 아니라 구조·구급활동 중에도 사지가 절단되었거나 목을 맨 시체 등 일반인이 보기 어려운 많은 참혹한 현장을 보곤 한다. 이렇듯 소방공무원과 PTSD는 24시간 함께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지만 PTSD에 대한 인식 및 해결책의 제시가 시 작된 것은 불과 몇 년이 채 되지 않는다. 최근 들어 PTSD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각 종 대응책이 제시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소방공무원들이 그 대응책을 피부로 실감하 고 있지는 못하고 있다. 하물며 소방공무원의 PTSD에 대한 문제는 이전에는 개인의 문제에 불과하여 개인이 감정조절과 의식개선을 하지 못하여 그러한 질환을 앓는다고 여겨져 왔으나 이제는 개인이 해결해야 할 문제가 아니라 집단 모두의 문제가 되어 함께 해결해야 할 문제이다. 또한 소방공무원의 PTSD는 소방공무원 자신뿐만 아니라 가족 및 주변인들에게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따라서 지금보다 한발 앞선 체계적인 PTSD 환자에 대한 관리와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를 전담하는 부서가 필요하 다.133)

4. 문제점 및 시사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방공무원의 처우 개선이 시급하다. 스트레스·고위험 등 소 방공무원은 열악한 근무환경에 처해있고, 유사직종에 비해 사기가 낮다는 여론이 항 상 제기되어 왔다. 그 예로 순직 및 공상 공무원의 증가, 참혹한 현장에 항상 노출되 어 이에 따른 PTSD유발 등이 있다. 이와 같이 정신적 장애와 직무에 종사하다 화상 을 입는 등 부상에 대한 전문적 치료시설도 부족한 실정이다. 소방공무원의 경우 처 참한 현장에 대한 노출경험이 1인당 연 7.8회, 우울증 등 유병률이 일반인에 비해 4~10배임에도 전문치료시설은 미흡하다. 경찰병원이나 군병원은 존재하지만 정작 소 방공무원을 위한 소방병원은 없다는 것이 현실이다.

【표 10】 전문치료병원 현황

앞서 말한바와 같이 소방공무원은 화재를 예방·경계하거나 진압하고 화재, 재난·재 해, 그 밖의 위급한 상황에서의 구조·구급 활동 등을 통하여 국민의 생명·신체 및 재 산을 보호함으로써 공공의 안녕 및 질서유지와 복리증진에 이바지 한다.134) 이처럼 소방공무원은 국가의 구성요소인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해 불철주야 자신의

133) 고민수, “소방공무원 직무특성과 복지기본법 분석을 통한 보건·안전 및 복지시스템 개선방안 연구:

제주도소방공무원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16면.

134) 「소방기본법」 제1조.

목숨을 내놓고 직무에 종사하고 있다. 따라서 소방공무원이 직무 중 희생을 하거나 부상을 당하였다면 근무여건개선을 통해 소방공무원에 대한 영예로운 생활이 보장되 도록 실질적 보상이 이루어져야 한다.

소방공무원의 노동기본권은 그들의 생존권과 행복추구권의 보장을 위해서는 반드시 요구되어야 하며 없어서는 안 되는 요소이므로 소방공무원이 국민전체의 봉사자란 이 유로써 노동기본권의 허용을 제한할 사유가 될 수 없으며, 따라서 소방공무원에게도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소방공무원은 근무여건이 일반 공무원들에 비하여 열악한 점이 많고, 대부분 하위 직급자들로 이루어져 있어 근로조건의 향상을 위한 노동3권 보장의 필요성이 다른 직 역의 공무원들보다 높다. 주요 외국의 입법례나 국제노동기구의 권고를 보도라도 소 방공무원에 대하여 최소한 단결권을 보장하고 있고, 각종 법령에 징계제도, 처벌규정 등이 구비되어 있어 단결권이나 단체교섭권 부여 시 업무중단으로 인한 공공의 위험 도 그리 크지 않다. 따라서 심판대상조항이 직급이나 직무에 상관없이 직종만을 이유 로 전체 소방공무원에 대하여 노동3권 일체를 박탈한 것은 기본권 최대존중 및 최소 제한의 원칙에 위반하여 소방공무원의 노동3권을 제한하는 것으로서 헌법에 위반된 다.135)

제2절 공무원직장협의회와 소방공무원직장협의회 제도

Ⅰ. 공무원직장협의회 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