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해를 선정하였고91) 세계자연보전연맹 세계보호구역위원회(IUCN-WCPA)와 해양보호 생물학연구소(Marine Conservation Biology Institute: MCBI)는 합 동으로 이 내용을 알렸다.92)

특별구역 채택일 발효일 적용일 Annex 1: Oil

Mediterranean Sea

area 2 Nov 1973 2 Oct 1983 2 Oct 1983 Baltic Sea area 2 Nov 1973 2 Oct 1983 2 Oct 1983 Black Sea area 2 Nov 1973 2 Oct 1983 2 Oct 1983 와 이원의 모든 선박 폐기물에 대해서 규정하고 있다. 또한, 더 엄격한 배출 물 규정이 적용되는 기름, 유해액체물질 및 해양쓰레기에 관한 ‘특별 구역 (special area)’을 지정95)하여 규정하고 있다(표 3-2 참조).

MARPOL 73/78 협약의 제1부속서에 따른 기름오염에 관한 특별구역으로 는 지중해(Mediterranean), 발트해(Baltic), 흑해(Black sea), 남극해 (Antarctic)가 있다. 제2부속서에 따른 유독성 액체 물질 선적 화물에 관한 오염에 대한 특별구역으로는 발트해와 흑해가 있으며, 제5부속서에 따른 쓰 레기 오염에 관한 특별구역은 발트해, 북해, 남극해, 카리브해가 있다.

1991년 국제해사기구에 의해서 기피구역으로 선정된 곳은 26개 구역으로 서, 항해 안전의 이유로 지정된 기피구역도 있고, 환경오염과 피해의 위험을 피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설정된 곳으로 선박의 항해가 통제되는 구역이다.

이 구역들은 the Rochebonne shelf(프랑스), Cape Terpeniya(사할린, 구 소 련), the North-west Hawaiian Islands, the Great Barrier Reef, the Bermuda Islands, Grassholme Island(웨일스), Aldabra and Mahe Islands(세 이셸), California and Florida Coasts(미국), Fasht Buldani(사우디아라비아), Three Kings Island(뉴질랜드), Voriai Sporadhes(그리스)부근에 있다. 그러 나 기피구역들은 조약을 바탕으로 한 게 아니기 때문에 권고적 지위만 갖고 있고 법적인 구속력은 없다.

<표 3-2> 특별구역 설정현황(2007. 7월 기준)

95) 2001년 11월에 국제해사기구 제22회 총회 결의 A.927(22) Annex I에서 MARPOL 73/78의 특별 구역을 지정하기 위한 국제해사기구 지침을 만들었다.

Red Sea area 2 Nov 1973 2 Oct 1983 * Gulfs area 2 Nov 1973 2 Oct 1983 * Gulf of Aden area 1 Dec 1987 1 April 1989 *

Antarctic area 16 Nov 1990 17 Mar 1992 17 Mar 1992 North West

European waters 25 Sept 1997 1 Feb 1999 1 Aug 1999 Oman area of the

Arabian Sea 15 Oct 2004 1 Jan 2007 * Southern South

African Waters 13 Oct 2006 1 March 2008**

Annex Ⅱ: Noxious liquid Substances

Antarctic area 30 Oct 1992 1 July 1994 1 July 1994 Annex Ⅴ: Garbage

Mediterranean Sea

area 2 Nov 1973 31 Dec 1988 * Baltic Sea area 2 Nov 1973 31 Dec 1988 1 Oct 1989 Black Sea area 2 Nov 1973 31 Dec 1988 *

Red Sea area 2 Nov 1973 31 Dec 1988 * Gulfs area 2 Nov 1973 31 Dec 1988 * North Sea area 17 Oct 1989 18 Feb 1991 18 Feb 1991

Antarctic area 16 Nov 1990 17 Mar 1992 17 Mar 1992 Wider Caribbean

Region 4 July 1991 4 April 1993 * Annex Ⅵ: Prevention of air pollution by ships(SOx Emission control areas) Baltic Sea area 26 Sept 1997 19 May 2005 19 May 2006 North Sea area 22 July 2005 22 Nov 2006 22 Nov 2007

*: 표시구역은 미적용 구역 (출처: IMO 홈페이지)

그리고 국제해사기구는 특별구역에 추가하여 ‘특별민감해역(Particularly Sensitive Sea Areas: PSSAs)’ 지정을 규정하는 결의를 채택하였는바96)

96) 2001년 11월에 국제해사기구 제22회 총회 결의 A.927(22) Annex II에서 MARPOL 73/78의 특별

별민감해역97)은 ‘국제해사기구가 생태적, 사회경제적,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 로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그것이 해상 활동을 통해 손상을 입기 쉽다고 판단 될 때 특별보호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는 구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즉, 선박 에 의한 오염의 취약성 때문에 특별민감해역을 지정한 것이다.98) 이는 MARPOL 73/78의 특별해역이 오염물 배출만을 규제하는 것으로 한정되고 있어 연안국들은 더 강화된 해역의 보호를 위한 조치를 국제해사기구에 요청 하였고, 이의 조치로서 국제해사기구는 특별민감해역 제도를 도입하게 되었 다.

특별민감해역의 개념은 현재 해양보호구역보다 더 구체화되고 있다. 이는 Agenda 21의 제17장이나 생물다양성협약에서도 잘 드러나는 개념이다.

Agenda 21의 제17장 제17.30항은 국제해사기구에 의해 확인된 특별민감해역 에서 선박에 의한 오염을 평가하고 국제 규제에 부합되는 적용 가능한 조치 를 시행할 것을 국가들에게 요구한다.

특별민감해역같은 지정을 통하여 국제해운공동체는 해운이 해양환경에 미 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제한할 의무를 인정하고 있다. 국제해사기구의 당사국 또는 단체 회원국들이 어느 구역에 대한 특별민감해역의 지정을 제안할 수 있다. 이 신청을 해운이 해양환경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제한하기 위한 조치를 검토하는 국제해사기구의 한 기구인 해양환경보호위원회(Marine Environment Protection Committee: MEPC)에서 검토한다.

따라서 특별민감해역은 특별 보호가 필요한 구역을 보호하기 위하여 일부 이용을 제한하는 국제 사회의 의지를 보여준 또 다른 예이다

현재까지 12개의 특별민감해역이 지정99)되어 있다. 특별민감해역은 국가관

민감해역을 지정하기 위한 국제해사기구 지침을 만들었다.

97) 유엔해양법협약 제211조 제6항. 특별민감해역의 개념은 국제해사기구가 국가관할권 이내와 이원의 환경적으로 민감한 해역에 대해 국제 선박 운항 활동의 해로운 영향으로부터 보호를 하기 위해 생각 해낸 soft law 개념이다.

98) 특별민감해역 지정은 MARPOL 73/78에서 규정하고 있는 특별해역이 오염물 배출만 규제하고 있는 단점을 보강하기 위하여 도입된 제도이기도 하다.

99) 호주 Great Barrier Reef(1990), 쿠바 Sabana-Camaguey Archipelago(1997), 콜롬비아 Malpelo Island(2002), 미국 Florida Keys(2002), 덴마크,독일,네덜란드의 Wadden Sea(2002), 페루 Paracas National Reserve(2003), Western European Waters(2004), Great Barrier Reef와 Torres 해협사이(2005), 스페인 Canary Islands(2005), 에콰도르 Galapagos Archipelago(2005),

할권 이원의 특별한 해역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포함하고 있으나 그런 해 역에 대한 개별적인 협약은 없다. 다만 특별민감해역은 지정된 구역의 가치 에 대한 국제적 인식, 국제해사기구의 협약 및 유엔해양법협약의 보호 규정 과 결합되어 있다.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