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1948년 설립된 세계자연보전연맹은 현재 140개 국가의 111개 정부기관 및 870개 이상의 NGO가 가입되어 있으며, 11,000여명의 전문가 그룹이 6개 위 원회에서 활동하고 있다. 세계자연보전연맹은 여러 활동 중 보호구역에 대해 크게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세계보호구역회의(World Parks Congres s)88)는 1962년 이래로 10년마다 한 번씩 개최하였다.

세계자연보전연맹은 산하에 ‘세계보호구역위원회(World Commission on Protected Area: WCPA)’를 설치하여 전 세계의 육지 및 해양의 보호구역에 관한 대표적인 네트워크 설립 및 보호구역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임무를 수 행하고 있다.89)

세계보호구역위원회가 세계 여러 나라의 해양보호구역 지정과 관리 사례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마련한 지침에는 해양보호구역의 지정과 관리, 평가과 정이 다음 표와 같이 나타난다.

<표 3-1> IUCN의 해양보호구역 지정 및 관리 과정

88) 회의의 권고안은 구속력은 없지만 각국 정부들과 정책가들에게 자연보존에 대한 안내지침을 제공하 고 있다.

89) http://www.iucn.org/about/union/commissions/wcpa/wcpa_overview/wcpa_about/ (검색일자 : 2009.12.12)

2단계 법적인 제도 마

정부나 지역사회의 보호구역 수립 활동의 기반

3단계

관련 이해당사자 파악과 협의 시

해양보호구역의 설정에 이해관계가 걸린 각종 부문과의 협의(관광, 어업활동, 양식업, 연안개발, 농업, 임업, 산 업, 국방, 과학 등)

4단계

이해당사자 지역사회와 협력 관계 증진

관련 이해당사자 또는 지역사회의 해양보호구역에 대해 이해를 증진시키고 다양한 의견을 청취함으로써 협력관 계 형성

5단계 해양보호구역 선

보존과 지역주민의 요구사항의 조화가 필요하며, 보호구 역 외곽의 오염물 유입 등을 고려하여 구역 선정

6단계 계획과 관리 지역주민의 이해에 융통성, 적응성 있는 운영 필요

7단계 구역(Zone) 설정 다양한 이용에 따른 구역 설정(핵심구역, 다목적 이용구 역 등 설정)

8단계 재정적 지원 계

재원확보에 관한 구체적인 계획이 해양보호구역 설정과 성공적인 관리에 중요한 요인

9단계 조사, 모니터링,

평가, 검토 조사와 모니터링의 결과에 따라 관리방법을 재검토 (출처: IUCN, Guidelines for Marine Protected Area, 1999)

첫 번째 단계는 보호구역 정책을 펼 수 있는 정책기반을 조사하는 단계로, 해양보호구역으로 가능한 대상 해역과 육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해역이용 활동과 적용되는 관련 정책ㆍ법률, 국제협약 등을 조사한다. 즉, 이 단계는 해양에 영향을 미치는 인간 활동을 종합적으로 조사하여 해양보호구역의 지 정과 관리여건을 파악하는 단계이다.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이 가능한 해역 을 파악한 후에는 해양보호구역을 지정할 수 있는 법적 기반을 확보하는 것

이 중요하다. 법률적 기반의 확보는 정부나 지역사회가 해양보호구역을 설정 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시행할 수 있는 근거이자 시발점이 되기 때문이다.

세계자연보전연맹은 해양보호구역 지정 및 관리과정에서 이해당사자와 협 력관계 증진을 최우선 과제로 꼽는다. 해양보호구역의 지정은 다양한 부문의 이해당사자에게 때로는 이익을, 때로는 손해를 미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들 사이에 보호구역 설정 여부를 두고 첨예한 대립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 다. 더욱이 정확한 정보의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발생하는 오해와 불 신은 이들 간의 갈등과 대립을 더욱 심각하게 만든다. 따라서 해양보호구역 의 수립과정에서 보호구역 관리자 또는 조정자가 갖추어야 할 가장 기본적이 며, 중요한 덕목으로 높은 신뢰성이 요구된다.

그리고 세계자연보전연맹은 해양보호구역의 설정에 관한 의사결정을 진행 하는 과정에서 모든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보호구역 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보고 있다.

이와 더불어 해양보호구역의 지정에는 상당한 시간 소요가 불가피하다는 점을 주지할 필요가 있다. 즉, 대립된 이해당사자들을 조정하는 과정으로 인 해 보호구역 지정 과정에는 예상 밖으로 오랜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따라 서 다양한 이해당사자에게 해양보호구역에 관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고 때 로는 교육이나 캠페인을 통해 이해당사자의 지지와 협조를 끌어내야 한다.

해양보호구역이 지정되고 관리계획이 수립되어 실질적인 관리가 이루어진 다고 해서 모든 절차가 종료된 것은 아니다. 세계자연보전연맹의 해양보호구 역 지정 및 관리과정의 제8단계에서 나타나듯이 해양보호구역을 관리하는 데 소요되는 재원을 지속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현실성 있는 계획이 필요하다.

많은 해양보호구역이 구역 지정 이후 지속적인 재원투자가 이루어지지 않아 지역주민이나 관련 이해당사자로부터 지지를 얻지 못한 상황이 나타났다. 심 지어 해양보호구역 설정 자체를 반대하게 만드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세계자연보전연맹의 해양보호구역 수립의 마지막인 제9단계는 보호구역 환 경에 대한 조사와 모니터링을 통한 평가와 검토로 이루어진다. 세계자연보전 연맹의 해양보호구역 지정과 관리는 일종의 적응(adaptive) 관리체계를 지향 하고 있는데, 이는 이미 시행되고 있는 관리방식도 새로운 문제가 발생하였

거나 기존 관리방식이 효과적이지 않을 경우보다 개선된 방식으로 관리정책 의 변화를 모색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변화의 지렛대 역할을 하는 것이 바 로 조사와 모니터링, 평가 부문이다. 이를 통해 해양보호구역의 환경변화 내 지 관리여건의 변화를 감지하여 관리정책이나 계획에 능동적으로 반영한다.

즉, 해양보호구역 관리는 관리의 실효성을 끊임없이 유지하는 적응적 관리체 계를 형성하게 된다.

위의 해양보호구역 단계별 추진전략을 다시 요약을 해보면, 전체 9단계로 구성되어 있고, 각 단계별로 제시된 추진전략은 각국이 합리적이고 계획적으 로 해양보호구역을 지정ㆍ관리할 수 있도록 권유하는 지침이라고 할 수 있 다. 그리고 9단계를 크게 두 단계로 분류해 보면 우선 1~4단계는 해양보호 구역을 선정하기 전에 해양보호구역의 관리기반 파악과 법적인 제도 마련, 이해관계자 및 지역사회와의 협력관계를 증진하는 단계로 기반과 주변 분위 기를 조성하는 토대작업단계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5~9단계는 실제적 행동계획으로 오염물 유입 등을 고려하여 구역을 선정하고, 계획과 관리를 통해 지역주민의 이해를 이끌어낸다. 또한, 융통성과 적용 가능한 운영, 용도 별 지구설정, 재정적 지원계획 수립, 해양보호구역에 대한 조사, 모니터링, 평 가, 검토 등의 관리를 실시한다.

해양보호구역의 지정은 합리성과 객관성을 가질 수 있는 기준을 선정해야 한다. 세계자연보전연맹은 해양보호구역을 지정할 때 사용할 9개의 기준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생물지리학적 기준(biogeographic criteria), 생태학 적 기준(ecological criteria), 자연성(naturalness), 경제적 중요성(economic importance), 사회적 중요성(social importance), 과학적 중요성(scientific importance), 국제적 또는 국가적 중요성(international or national significance), 실행가능성(practicality or feasibility), 대체가능성(duality or replication) 그리고 Salm et al.(2000)은 해양보호구역을 지정할 때 5개 분야 31개 항목을 평가할 것을 제안하였다.90)

최근 2008년 10월, 세계자연보전총회는 10개의 보호 가치가 있는 중요 공

90) Social Criteria, Economic Criteria, Ecological Criteria, Regional Criteria, Pragmatic Criteria.

Salm, R.V., J. Clark and E. Siirila, Marine and Coastal Protected Areas: A guide for planners and managers (IUCN, Washington DC., 2000), pp.87-95.

해를 선정하였고91) 세계자연보전연맹 세계보호구역위원회(IUCN-WCPA)와 해양보호 생물학연구소(Marine Conservation Biology Institute: MCBI)는 합 동으로 이 내용을 알렸다.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