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적정 기본지원금 단가 산정의 주안점 검토
○ 타 신재생에너지와 구분되는 조력발전의 특성 고려
- 신재생에너지는 발전원에 따라 발전원리 및 평균이용률이 상이하므로 신재생 에너지에 대한 획일적인 기준 적용은 곤란하며, 신재생에너지 개별 특성에 부 합하는 종합적인 검토를 통해 기본지원금 단가기준이 정비되어야 한다.
-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는 대부분 소규모이지만, 조력발전은 수백MW급 이상 의 대규모 설비가 가능하므로 조력발전에 대해서는 신재생에너지와 구분하여 별도의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조력발전은 신재생에너지 중에서 해양에너지로 구분되며, 해양에너지에는 조 류발전, 파력발전 등도 포함된다. 향후 조류발전과 파력발전의 상용화가 이루 어지는 경우 이에 대한 형평성도 고려해야 하므로 해양에너지의 범주에서 다 루어질 필요도 있다.
○ 수력발전 및 양수발전과의 유사점과 차이점 고려
- 조력발전은 해양에너지로서 신재생에너지로 구분되지만, 발전원이나 발전원리 측면에서는 물을 이용한 발전이므로 오히려 수력발전 및 양수발전과 발전원이 동일하며, 그 발전원리도 유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 조력발전이 주변지역에 미치는 영향은 수력발전과 비교하면 그 영향의 심각성 이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며, 주민들의 기피정도도 수력발전에 비해서는 크 지 않다.
○ 신재생에너지 개발의 국가적 시급성 인식
- 신재생에너지의 개발은 시급한 국가적 과제로 인식되고 있으며, 신재생에너지 개발에 정부에서 앞장서고 있는 실정이다. 2012년까지 신재생에너지 설비용량 을 1,715 MW 이상 확보해야 하는 등 국가적으로 신재생에너지의 개발을 추 진하고 있다.
- 우리나라 신재생에너지 보급률은 <표 5.24>에 제시된 바와 같이 선진국에 비 해 매우 저조하다. 정부는 제3차 국가 에너지기본계획(안)을 수립하고 2030년 까지 신재생에너지 보급률 11% 달성을 목표로 설정하고 신재생에너지 보급 촉진을 위해 노력중이다.
- 신재생에너지원 중 대규모 설비가 가능한 발전원은 조력발전뿐이지만, 현재의 단가계산방식을 그대로 적용할 경우 기본지원사업비는 용량 대비 매우 미미한 수준이므로 지역주민들의 기대감에 미치지 못할 것이며, 주변지역 지원의 효 과 또한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 신재생에너지 개발을 추진하는데 발전소 주변지역 지원사업이 효과적인 역할 을 하기 위해서는 신재생에너지에 대해서도 발전소 주변지역 지원사업이 실질 적인 혜택이 주어지는 방향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다.
구 분 한국 미국 독일 일본 영국 프랑스 덴마크
공급비중(%) 2.24
(0.5) 4.4 4.6 3.0 1.6 5.7 15.1
* 한국은 ‘06년 (괄호안은 2005년 IEA 기준), 외국은 ’05년 실적임 (IEA 기준)
<표 5.24> 주요국가의 신․재생에너지 보급률
○ 조력발전소 주변지역의 범위 고려
- 현행 기준에 따른 주변지역의 범위는 발전기 반경 5km 이내 지역으로 규정되 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조력발전소에 대해 방조제의 건설 유무를 고려하여 발전기 반경 5km 이내 지역 이외에 조지 내측의 해안선에 접하는 읍․면․동 지역이 추가로 포함되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 주변지역의 범위가 넓어지면 주변지역에 포함되는 해당 지자체는 2배 이상 증 가되고, 주변지역에 속하는 인구 또한 2배 이상 증가됨을 앞서 제시한 바 있 다.
- 따라서, 주변지역의 범위가 넓어지는 것만으로도 현재의 기본지원금 단가 기 준이 상향조정되어야 할 필요성이 생기게 된다.
○ 특별지원사업에 의한 지원금의 규모 고려
- 특별지원사업은 발전소가 건설중인 지자체에 발전소 건설비의 1.5%를 지원하 는 사업이다.
- 조력발전소의 경우 해상공사를 수반하여 공사비 규모가 크기 때문에 <표 5.25>에 제시된 바와 같이 타발전원에 비해 시설용량에 대비 특별지원사업비 규모도 크다. 예를 들면, 설비용량이 520MW인 가로림 조력발전소의 경우 특 별지원사업비 규모가 149억원 정도에 이른다.
- 따라서, 발전소 가동중에 지원되는 연간 기본지원금의 규모는 크지 않지만, 특 별지원사업의 지원금이 있으므로 무조건적인 연간 기본지원금 단가의 인상보다 는 특별지원사업에 의한 지원금이 지급된다는 점도 연계하여 고려해야 한다.
○ 전력산업기반기금의 규모 고려
- 발전소 주변지역 지원사업에 많은 지원금이 배정되면 주변지역 지원사업에 효 과적일 수 있으나, 전력산업기반기금의 규모는 한정되어 있으므로 이를 고려 해야 한다.
- 즉, 주변지역 지원사업에 많은 예산이 소요되면 전력산업기반기금에 무리가 될 수 있으며, 향후 전기요금의 인상으로 이어질 수 밖에 없으므로 무조건적 인 단가인상보다는 합리적인 수준에서 지원금 단가가 결정되어야 한다.
발전원명 발전소명 지원금 한도
(백만원) 비고
원자력
신고리#1,2 70,386 한수원
신고리#3,4 114,661 한수원
영광원자력 55,584 한수원
월성원자력 15,604 한수원
신월성원전 69,708 한수원
울진원자력 64,762 한수원
신울진#1,2 124,506 한수원
유연탄
보령#7,8 16,091 중부발전
태안#7,8 16,346 서부발전
하동#1~6 25,970 남부발전
하동#7,8 16,685 남부발전
당진#1~6 37,906 동서발전
당진#7,8 16,477 동서발전
영흥#1,2 25,858 남동발전
영흥#3,4 29,042 남동발전
무연탄 동해화력 6,069 동서발전
중유
남제주화력 5,064 남부발전
제주내연 1,042 중부발전
제주내연#2 1,291 중부발전
LNG
인천복합 4,473 중부발전
인천복합#2 4,606 중부발전
부곡복합#2 4,190 GS EPS
광양복합 9,750 K-Power
군산복합 7,500 서부발전
영월복합 9,345 남부발전
지역난방화성 3,086 지역난방
지역난방파주 4,284 지역난방
지역난방판교 1,739 지역난방
포스코#5,6 12,816 민간발전
송도열병합 1,455 민간발전
서울복합#1,2 11,887 중부발전
수력 청평수력#4 1,165 한수원
양수
산청양수 4,452 동서발전
양양양수 7,480 중부발전
청송양수 5,946 서부발전
예천양수 11,156 남동발전
*자료: 지식경제부 전력기반조성사업센터 “발전소 주변지역 지원사업 교육자료”(2008.12)
<표 5.25> 특별지원사업비 내역
발전원명 발전소명 지원금 한도
(백만원) 비고
신재생 에너지
태양광
영광솔라파크 350 한수원
삼랑진태양광 360 서부발전
진도태양광 294 민간발전
백양솔라텍 335 민간발전
영암태양광 283 민간발전
별교태양광 350 민간발전
풍력
양구풍력 690 중부발전
덕천풍력 1,173 중부발전
강원풍력 1,180 강원풍력
제주난산 450 유니슨
한경풍력2단계 413 남부발전
성산풍력 606 남부발전
태백풍력 652 남부발전
태기산풍력 1,230 민간발전
소수력
보령소수력 323 중부발전
태안소수력 90 서부발전
영흥소수력 138 남동발전
부생가스 현대그린파워 7,900 민간발전
조력 가로림조력 14,928 서부발전
합계 843,627
*자료: 지식경제부 전력기반조성사업센터 “발전소 주변지역 지원사업 교육자료”(2008.12)
<표 5.25> 특별지원사업비 내역 (계속)
○ 설비용량 단가 적용 필요성 검토
- 조력발전을 추진중인 발전자회사에서는 조력발전의 이용률이 낮기 때문에 수 력발전이나 양수발전에 적용되는 설비용량 단가의 도입을 건의한 바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설비용량 단가를 적용하지 않는 경우와 양수발전의 설비용량단 가인 50만원/MW부터 수력발전의 설비용량 단가인 500만원/MW까지의 총 18
케이스에 대해 검토하였다. 가로림 조력발전을 비롯하여 국내에서 추진 중인 조력발전에 적용하여 산정되는 연간 기본지원금 예상액을 <표 5.26>에 제시 하였다.
- 조력발전의 기본지원금을 발전자회사가 요청하는 수력발전 기준을 적용하게 되면, <표 5.26>에서 알 수 있듯이 시화조력은 13.8억원, 가로림조력의 경우 27.9억원, 인천만조력의 경우 76.4억원, 강화조력의 경우 43.71억원으로 산정되 어 기본지원금 규모는 연간 160억원 규모가 된다. 이는 현재 연간 기본지원금 규모가 1000억원 정도인 수준에서 조력발전소의 기본지원금이 16%에 육박하 게 되므로 전력산업기반기금의 운용에 무리가 따르게 될 것으로 판단되며, 향 후 기금조성을 위한 전기요금의 인상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 수력발전이나 양수발전에 설비용량 단가를 추가로 적용하는 것은 수력발전이 나 양수발전이 주변지역에 미치는 영향 정도가 타발전원에 비하여 크기 때문 에 지역주민의 기피도가 심하여 이를 해소하여 지역 수용성을 높이기 위한 차원에서 지원규모가 커야 함에도 불구하고 수력발전이나 양수발전의 이용률 이 낮기 때문에 기본지원금이 작게 책정되는 것을 보존해주기 위한 성격이 많다.
- 조력발전의 경우 주변지역에 미치는 영향 자체가 수력발전에 비해 부정적인 영향 인자가 많지 않으므로 수력발전이나 양수발전과 동일하게 설비용량 기 준을 추가로 적용하는 데에는 무리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또한, 해상공사를 수반하는 조력발전의 경우 건설공사비에 비례하는 특별지원 사업이 수력발전이나 양수발전에 비해 많은 편이라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Case
기본지원금 단가 기준
비고
기본지원금 산정액 (백만원) 발전량
단가 (원/kWh)
설비용량 단가 (만원/MW)
가로림 조력발전
시화 조력발전
인천만
조력발전 강화
조력발전 계 1
0.1
0 신재생에너
지 기준 95 55 227 153 530
2 50 - 355 182 947 560 2,044
3 100 - 615 309 1,667 966 3,557
4 150 - 875 436 2,387 1,372 5,070
5 200 - 1,135 563 3,107 1,779 6,584 6 250 - 1,395 690 3,827 2,185 8,097 7 300 - 1,655 817 4,547 2,592 9,611 8 400 - 2,175 1,071 5,987 3,404 12,637 9 500 - 2,695 1,325 7,427 4,217 15,664 10
0.2
0 - 190 110 454 307 1,061
11 50 양수발전
기준 450 237 1,174 713 2,574
12 100 - 710 364 1,894 1,120 4,088
13 150 - 970 491 2,614 1,526 5,601
14 200 - 1,230 618 3,334 1,932 7,114 15 250 - 1,490 745 4,054 2,339 8,628 16 300 - 1,750 872 4,774 2,745 10,141 17 400 - 2,270 1,126 6,214 3,558 13,168
18 500 수력발전
기준 2,790 1,380 7,654 4,371 16,195
<표 5.26> 기본지원금 적용단가에 따른 조력발전소 주변지역 기본지원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