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프랑스의 발전소 주변지역 지원제도 내용
프랑스의 경우 발전소 주변지역의 지원제도에 관련된 법령은 없지만 지방자치단 체와 전력회사가 공동으로 지역경제 활성화 계획을 수립하여 추진하며, 지방자치단 체의 소요재원을 국책은행으로부터 차입할 경우 전력회사가 융자를 주선하거나 일 부를 부담하는 형태로 지원을 수행한다. 한국과 같이 지원대상이 되는 지역의 범위, 지원규모, 대상기업, 지원방법 등은 법률에 구체적으로 기술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지원한다는 대원칙만이 있을 뿐이다. 따라서 프랑스에서는 우리나라의 특별지원 사 업비 같은 시설물의 입지 시 지원되는 지원금이 지역지원사업의 핵심이 되며, 시설 물의 가동 중에 지원금을 지원하는 제도는 없다. 발전소 주변지역의 지원사업 형태 로는 「대규모 현지화 제도」를 시행하고 있으며, 그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이 가능토록 하기 위해 필요한 인프라를 우선하여 정비할 것
2. 가능한 발전소 입지주변 지역주민들을 많이 고용하기 위해 인재육성을 목적으로 한 시설정비를 행할 것
3. 종합적인 지역개발의 촉진을 도모할 것
인프라 정비에 있어서는 그 계획을 상, 하위 자치단체와 전력회사가 함께 검토하 며 이러한 검토를 기초로 하여 사업을 추진하게 된다.
프랑스 정부는 각종 발전시설에 대한 거부감을 상쇄시키기 위해 발전시설이 들 어섬에 따른 지방세수의 증가와 이를 통한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발전사업자가 납부하는 조세의 일정부분을 지방자치단체가 고정된 세율 로 징수하도록 하며, 발전사업자가 발전시설에 대한 안전성 검사비용 및 수자원의 양적, 질적보호를 위한 비용을 지불하도록 하고 있다(최택관, 2007; 김선원, 2003).
※ 프랑스의 지역지원사업
○ ‘사업세’에 의한 지역지원사업 - 과세표준 : 고정자산, 급여의 20%
- 배분 : 입지 행정지역 40~60%, 나머지는 인근지역 배분
○ 대규모 공공사업현장 지원
- 도로, 주민고용, 지역업체 참여 등 계획 수립 추진(토목공사, 전기공사 등)
○ 공공시설투자 일부부담 또는 후원
○ 특별추가 지역세
- 사업세와 별도로 지역에 납부하는 추가세
○ 전기요금 지원
- 원전지역 전기요금 할인(kWh 당 0.03~0.05 프랑, 2003년 기준)
○ 기타 지역융화제도 : 직원1호 주택 권장제도, 건설 중 외부노동자 분산제도
나. 랑스 조력발전소의 주변지역 지원 사례
○ 지방세 납부를 통한 지역 경제 기여
- 프랑스 랑스조력발전소는 조력발전을 통해 생산되는 전력의 판매를 바탕으
로 지방세를 납부하기 때문에 이를 통해 지역경제에 기여하는 것으로 생각 한다. 즉, 발전소가 위치한 지역의 지방자치단체와 정부 및 브리타니 지역에 매년 14,000,000프랑의 지방세를 납부하여 지역 경제에 이바지하고 있다.
○ 지역주민 고용
- 프랑스 랑스조력발전소에서는 지역주민의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는 것을 가장 직접적인 지역지원사업으로 보고 있다. 1966년 1월 준공된 이후 지역주민의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였으며, 1996년 시행된 사회복귀일터(rehabilitation work site)를 바탕으로 추가로 지역주민 58명을 정규직으로 고용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30개의 새로운 일자리 창출해 오고 있다.
○ 교통편익 제공
- 방조제 댐의 마루(crest)를 이용 Saint-Malo에서 Dinard 지역까지 2차선 도 로가 개통되어 기존 45km거리를 15km로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이 방 조제의 도로를 통해 하루 26,000명에 달하는 운전자들이 이용하고 있는 것 으로 보고되고 있다. 즉, 이 지역에 교량을 건설할 비용을 조력발전소의 방 조제 건설비용로 대체하였기 때문에 이 지역의 지방재정의 효율화에 기여하 였다고 보고 있으며, 이 도로를 통해 지역 경제 발전에도 이바지할 수 있었 다고 홍보한다.
○ 레크레이션 장 제공
- 22km2에 달하는 발전소 강어귀(estuary)가 방조제 건설로 인해 항상 정온상 태를 유지하는 상황을 이용하여 1년 내내 수상스포츠 팬들에게 장(場)을 제 공하는 등 레크리에이션 활동의 빠른 발전을 촉진하여 현재 연간 300,000~
400,000명의 방문객이 찾는 프랑스 산업관광지의 선두가 되었으며, 이를 바 탕으로 조력발전소의 주변지역 경제발전에 이바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 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