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한반도 안정을 더욱 선호하면서도 한반도 통일 실현 방식, 절차, 목 표 등에 대한 기본적인 입장을 표명하고 있고, 아울러 한반도 통일이 자주적, 평화적, 점진적인 방법에 의해 실현되어야 함을 표명하고 있다.
이와 같은 통일 입장을 지닌 중국의 남북한 실질통합을 위한 역할은 군사- 안보분야, 경제분야, 사회문화 등에서 전개될 수 있다.
1. 군사-안보 분야에서의 중국의 역할
그 동안 지속 유지되어 온 한반도 평화체제가 남북한 정치통합을 원활히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주한미군 존재 문제, 한/미 동맹 유지 문제, 동아시아 다자간 안보협력 기구 구성문제 등과 같은 중요한 문제들이 해결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대한 중국의 입장과 역할을 알아보고자 한다.
가. 한반도 평화체제와 중국의 역할
남북한이 성숙한 연합단계로 진입하면 할수록 중국의 대북 안보 공약은 축소 될 것이다. 중국은 남북 관계가 진전되고 미‧북 외교 관계가 실현됨으로써 미국 의 대북 위협이 감소되었다고 판단하고 대북 군사지원을 축소해 나갈 것이다. 중국은 남북연합이 성숙되었다 하드라도 주한미군의 존재와 한·미 동맹이 한반도 안정 유지에 기여하고 있으며 자국에 대해 직접적인 군사적 위협이 되지 않는다 는 입장에서 주한미군과 한‧미 동맹을 용인할 것이다. 다만 중국은 주한미군의
점진적 감축과 한·미 군사훈련 축소를 요구할 것이다. 중국은 남·북 평화협정 체 결과 동시에 북한의 요구인 유엔사 해체를 요구할 것이다.
나. 남북 안보협력 제도화 확대와 중국의 역할
중국은 한반도에서의 군사력 증강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에서 한반도비 핵화를 지지하고 한반도에서의 대량살상무기 개발을 적극적으로 반대할 것이 다. 한반도 비핵화를 지지하고 있는 중국으로서는 미·북간 긴장 갈등이 초래 할 경우 유엔 안보리에서 비토권을 발휘하기보다는 평화적 해결을 주장하면 서도 기권함으로써 미국의 입장을 묵인할 것이다. 중국은 기본적으로 남북한 간 신뢰구축 협상(Confidence-Building Measures, CBM)을 지지하나 내 정불간섭 차원에서 구체적인 제안을 하지 않을 것이다.
2. 경제분야에서의 중국의 역할
중국은 한국과 일본을 연계하여 동북아 경제공동체를 실현하고 이를
ASEAN 경제 공동체와 연결함으로써 아시아에서의 중국경제의 위상을 더욱
제고해 나간다는 장기적인 구상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중국의 아 시아 경제협력에 대한 구상에는 기본적으로 북한경제 재건이나 남북 경제공 동체 실현을 위한 방안은 주요한 위치를 차지하지 않고 있다.
중국의 구상에 남북 경제통합에 미치는 영향 중 가장 중요한 영향은 중국 이 동아시아 분업체계에 의한 북한의 자유무역지대 확대 지지이다. 중국은 실 시되고 있는 한·중·일 자유무역권에 북한을 포함시키고 북한의 자유무역지대에 대한 투자를 서서히 확대해 나갈 것이다.
중국은 자국이 경험하였던 점진적인 경제체제로의 이행을 북한이 할 수 있 도록 유도해 나갈 것이다. 북한경제가 자국이 주도하는 경제협력체와 긴밀히 연계되게 하여 북한의 대미 대일 경제 의존도를 축소시키는 경제협력이나 남 북경제공동체 실현을 적극 지지해 나갈 것이다.
3. 사회문화 분야에서의 중국의 역할 가. 경제문화적 차원
중국식 자본주의 경제문화가 북한의 경제문화 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우선 물질과 인센티브를 중시하는 사상이 만연하고 배금사상이 크게 펴질 것이다. 아울러 북한관리들의 부패도 만연할 가능성이 클 것이다. 중국은 북한에서 만 연되는 부패나 북한 주민들의 경제문화적 욕구가 중국내륙에 유입되지 않도
록 중·북 국경지역에서의 경계를 더욱 증대할 가능성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중국은 남북한과 자국이 참여하는 여러 방면의 문화활동을 적극 지지함으로 써 남북한이 자국의 입장을 더욱 이해할 수 있도록 추진해 나갈 것이다.
나. 정치문화적 차원
중국은 북한과 당대당, 정부대정부, 민간대민간 차원의 협력을 더욱 확대해 나갈 것이다. 중국과 북한은 자국과 북한이 실행하고 있는 사회주의 정치체제 가 한국과 미국이 실시하고 있는 민주주의 정치체제 보다 경제발전과 정치안 정을 위해 더욱 좋은 방안이라는 점을 홍보함으로써 남북한 정치통합 협상에 있어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자 할 것이다.
다. 사회문화적 차원
중국은 북한내 중국문화원을 신설하여 북한 주민들과의 접촉과 중국의 입 장을 크게 홍보하려 할 것이다. 이러한 북·중간 교류확대에 남한인들도 참여 함으로써 3국간 사회문화 교류는 자연스럽게 형성되고 증대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