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과학으로서의 미디어학
커뮤니케이션학, 사회학, 경제학 등과 같은 사회과학 전통에서의 미디어학은 일차적으로 대 중매체에 중점을 두며, 대중매체의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역할 및 매체 내용의 생산 과 분배가 대중에 끼치는 영향 등을 주로 다룬다. 정신과학적 미디어학과도 일부는 사회과학 적인 커뮤니케이션학에 기대기도 하고 혹은 원래 사회과학적 미디어학에 전형적인 경험적 방 법들을 일부 사용하기도 한다. 미디어학 내의 중요한 사회과학적인 문제제기는 성적인 정체 성을 위해 매체들이 어떤 의미를 부여하는가이다. 성 불평등, 성에 따른 불평등한 참여기회, 사회의 상징적 자원 등을 주로 다룬다.
■ 중심 연구영역
미디어학의 세 중심적인 연구영역은 미디어분석, 미디어역사, 미디어이론이다. 이러한 분류 는 1960년대에 이미 이루어졌고 미디어학자들 사이에 대체로 합의가 이루어졌다.63) 오늘날 에는 경계가 불분명해지고 연구는 추가의 관점들에 의해 보완된다. 많은 경우에 다른 학문영 역과 중첩되는 부분 분과학문이 등장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매체인류학, 매체교육학, 매체철 학, 매체법 등이 있다. 독일어권에는 미디어학회(Gesellschaft für Medienwissenschaft; GfM)가 있다.
유럽의 여러 대학에서 미디어학 연구, 예술적이고-창의적인 특성 때문에 예술 전문대학에 개설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독일의 트리어 대학, 콘스탄츠 대학 등이 있다. 이 전공은 선호도 가 높아서 적성검사나 선발시험을 치르기도 한다. 특히 외국어 능력이 중요하다. 미디어학과 들은 직업 실습을 위해 교육하기도 하고 순수 학문적인 요구를 수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학문적 접근을 위한 과목으로는 미디어학 입문, 미디어사, 미디어이론, 미디어분석, 문화학, 미디어교육학, 미디어사회학, 미디어경제학, 미디어경영, 미디어정책, 미디어법 등을 들 수 있다. 직업 실습을 위한 과목에는 미디어기술, 미디어제작기술, 미디어제작형상, 미디어학 프 로젝트, 미디어실습 등이 포함될 수 있다.64)
63) Knut Hickethier: Einführung in die Medienwissenschaft. Stuttgart: Metzler, 2003. 332.
64) Bundesagentur für Arbeit (2012). Berufsinformationen einfach finden: Medienwissenschaftler/in. 5-6.
미디어문화와 디자인
46
■ 미디어 문화학65)
문화학에서의 문화: 정신적ㆍ신체적 성숙 사전상의 정의: Kluge, Adelung, 그림 사전 대립어: 자연(루소), 문명(칸트)
1900년경: 문화가 학문적 유행어가 됨, 문화학의 선구자(Georg Simmel, 사회학, 문화이론) 1990년대: Jacob Burckhard, Clifford Geertz(미국, 인류학, 오늘날 문화학 개념에 영 향, 1960-70년대에 의미와 해석의 복잡한 조직 파악 위해 자바와 아랍 문화 연구, 한 민족의 전체 문화를 텍스트들의 앙상블로 파악, 문화는 기호 다발, 텍 스트는 기호조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모든 것, 기호다발인 텍스트는 문자형식의 텍스트뿐 아니라 모든 종류의 문화적 대상물, 이미지, 의례, 건물, 영화, 역사, 특정 지역의 닭싸움 포함)
■ 대학에서의 제도화
1964년: Richard Hoggart, 영국 Birmingham 현대문화연구소
1970년대: Raymond Williams(텔레비전: 기술과 문화적 형식, 1975 ; 마르크시즘과 문 학, 1977 ; 문화와 유물론에서의 문제들, 1980), 미국에서 다양한 주제의 문화 연구
1980-90년대: 대중문화, John Fiske(대중문화의 이해, 1989) (문화산업; 매스미디어 생산 을 통한 헤게모니 이데올로기 전달, 문화적 담론에서 수용자들이 생산적이 고 창의적으로 대처하는 것, 독자적인 독해 방식)
■ 미디어문화학
미디어는 어느 분과학문에 해당하고 수많은 미디어 관련 직업을 찾고자 할 때 어느 전공을 공부해야 하는가에 대한 질문은 직접적으로 답변될 수 없다. 왜냐하면 미디어라는 용어에 대 해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매우 복잡하게 얽혀있기 때문이다.
65) Liebrand, C., Schneider, I., Bohnenkamp, B., Frahm, L. (Hrsg.) (2005). Ein- frührung in die Medienkulturwissenschaft.
Einführungen Kulturwissenschaft Bd. 1. LIT Verlag, Münster. 23-33.
Ⅴ
미디어와 문화: 미디어학의 기초47
■ 미디어란 무엇인가?
Harry Pross: 1970년대 초에 1차, 2차, 3차 미디어 구분을 도입하였는데, 이는 알려진 대중매체인 신문, 영화, 라디오, 텔레비전을 미디어로 표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늘날 관 찰될 수 있는 경향을 주목하기 위해서였다(Pross 1970, 129). (일차적인 방향성만 제공)
1차 미디어: 인간의 목소리, 제스처, 흉내, 기술적 장치 없이 커뮤니케이션 가능 2차 미디어: 문자, 전달의 측면에서 기술적인 보조 필요
3차 미디어: 전축, 전화, 라디오, 텔레비전, 송신자와 수신자 혹은 생산자와 수용자 모두 장치 필요
미디어학은 이러한 다양한 미디어만을 대상으로 삼는 것은 아니며, 이 대상에 대한 새로운 문제제기들을 대상으로 삼을 수 있다. 20세기에 미디어의 급속한 발전으로, 미디어 이용에 여러 영역에서 관심을 보이고 있다. 말하자면 미디어의 영향에 대한 문제가 더 큰 역할을 차 지하게 되었다. 미디어 발전은 정치문화, 미학적 발전, 글로벌화의 과정뿐만 아니라 미디어 발전의 결과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이다.
■ 사회과학과 미디어
미디어를 테마로 삼는 분과학문들이 늘어나게 되었다. 예를 들어 심리학은 20세기 초에 미 디어의 영향의 문제를 다루었다. 사회학은 미디어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문제를 주제로 삼는 다. 정치학은 미디어 커뮤니케이션의 정치적 영향을 연구한다. 2차 대전 후에 커뮤니케이션학 이 등장하여 신문학의 전통을 유지하면서도 거리를 둔다. 신문학과 달리 커뮤니케이션학은 경험적 사회과학으로 이해되었는데, 양적 방법, 실험, 모델들을 바탕으로 인식을 얻고자 하고 자연과학처럼 결과를 지향한다(Maletzke 1998, 14ff, 175ff).
■ 정신과학과 미디어
1970년대부터 미디어의 발전은 사회의 문화적 양상을 근본적으로 바꾸어 놓았으며, 이러 한 변화를 정신과학에서도 주목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발전은 특히 세 영역에서 알 수 있는
미디어문화와 디자인
48
데, 미디어 텍스트, 미디어 이론, 미디어 역사로 나눌 수 있다.
■ 미디어 이론
1975: 문학 개념의 확장
1980-90년대: 영화학과 텔레비전학의 강좌와 연구 (기술), 20세기 초반 Walter Benjamin 의 저작들 논의, 프랑크푸르트학파의 영향 -> 비평적 문화이론
미디어의 역사: 20세기 초부터 시작, 1994년(기억 연구, Jan Assmann), 문화적이고 소통 적인 기억의 미디어에 관심
정신과학은 1970년대부터 시작하여 1980년대에 다음과 같은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룬다.
말하자면 정신과학의 대상을 어떻게 확장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뿐만 아니라 급속한 문화적이 고 미디어적인 발전을 테마와 문제로 어떻게 파악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에 봉착한 것이다.
여기서 미디어가 문화적 커뮤니케이션의 중요한 요소로 문제시되고, 미디어 문화적 교육 및 연구 과제가 시작되었다. 그리하여 다양한 명칭의 강좌들이 시도되었고 커뮤니케이션학과의 긴장이 야기되기도 하였다.
■ 커뮤니케이션학과 미디어학의 차이
Gudrun Schäfer는 이 양 분과학문을 커뮤니케이션학과 미디어학으로 구분하고 두 자매 분과로 기술하였다(Schäfer 2000, 24f). 커뮤니케이션학은 많은 양의 텍스트를 연구하는 데 강점이 있는 반면에, 미디어 문화학은 개별 텍스트들의 근본적인 분석을 지향한다 (Hickethier 1988, 52).
■ Schmidt의 미디어문화학
양 분과학문을 결합하여 각 장점을 어떻게 보완할 수 있을까? 하나의 가능성이 시스템 이론 적이고 구성주의적인 발상에서 제시된다. 특히 Siegfried J. Schmidt는 198-90년대에 양 분과학문을 결합하고자 했으며, 미디어문화학이라는 개념을 쓰고 있다.
Schmidt에 따르면 사유는 차이의 관리를 거쳐 정돈된다(Schmidt 1992, 425ff). 예를 들
Ⅴ
미디어와 문화: 미디어학의 기초49
어 안/밖, 유용/유해, 사랑/증오, 남/여 등과 같은 개념들의 차이는 네트워크를 형성하는데, 그는 이를 영향모델로 종합하였다. 실재로 구성되는 것은 서로 관련된 아주 많은 차이들에서 생겨난다. 이때 문화와 미디어 개념은 아주 특별한 역할을 한다. 그는 문화를 한 사회의 영향 모델의 소통적 주제화의 종합 프로그램으로 이해한다. 실재에 대해 소통할 때, 예를 들어 말 하고 쓰고 노래할 때, 문화가 관찰된다. 그는 미디어를 실재 구성의 일상적 도구로 규정한다.이로써 문화는 오늘날 항상 미디어문화라는 것이다. 한 사회의 실재모델을 연구하고자 하는 사람은 (미디어)문화를 다루어야 하고 미디어문화학을 바탕으로 탐구해야 한다. 그는 미디어 를 4개 요소로 분류한다(Schmidt 1996, 83).
1) 커뮤니케이션 수단: 재료를 사용할 수 있는 기호로서 2) 미디어 제공물을 생성하기 위한 도구와 기술
3) 미디어 제공물의 생성과 전파를 위한 조직
4) 미디어 제공물: 커뮤니케이션 수단들을 사용한 결과들
이러한 미디어 개념은 미디어문화학의 대상을 어떻게 전문화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미 디어 문화학은 기호, 기술, 사회 측면의 미디어를 다룰 수 있다. 또한 미디어 문화학은 미디어 제공물 자체를 수업의 대상으로 삼을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