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37새로운 지식을 만들어내는가에 대한 이슈를 미디어아트, 디자인, 과학과 기술의 역사적인 뿌

리에 중심적이기 때문이다.

■ 재창조: 미디어아트, 과학, 기술의 역사에서 연구 창조의 이론, 방법, 실천 (1) 이론적인 흐름: 감각, 동물, 종말이 어떻게 연구 창조 실천에 정보를 제공하는가? (2) 사이트: 라틴아메리카, 동유럽, 일본, 스웨덴, 토착 문화들에서 진화된 연구와 실천의

사이트들은 어떻게 진화해 왔는가?

(3) 스튜디오 랩의 역사: 오스트리아, 영국, 캐나다, 미국 예술가들은 학문, 산업, 예술에서 역사적으로 어떻게 활동해왔는가?

(4) 새 방법들: 공동생산(STS), 구체음악, 상호부문성 이론, 비평적 인종학, 고등교육에서의

‘실천 전환’에 대한 논쟁들은 실천의 역사적이고 비평적인 자리매김에 무엇을 제공할 수 있는가?

(5) 디지털 인문학과 비평적 실천: 분과 횡단적 공조의 도전과 미래는 무엇인가? 미디어 고 고학은 인문학과 현대 학술문화를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가?

(6) 큐레이터의 행동과 실천: 철학, 산업 창조, 페미니즘, 사운드, ‘이미지성’은 역사적으로 어떻게 큐레이터의 실천에 들어갔는가?

3. 창의도시 광주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및 연구 방향

■ 개발팀의 구상

- 성격: 유네스코 창의도시 광주의 위상을 제고하기 위해 지역의 공공기관과 대학을 연계하 여 교육과 연구 주도, 필요할 경우 학위과정 개설하여 후속 세대 양성

- 역할: 문화에서 미디어의 중요성이 증가하는 시점에서, 미디어아트와 미디어리터러시를 위한 컨퍼런스와 포럼을 개최하고 학제적이고 상호문화적인 교육과 연구 기반 제공 - 방향: 인간과 기술, 삶과 미디어, 미디어아트와 기술, 미디어아트 작품의 예술성과 기술성 - 예시: 디지털 인문학과 비평 실습 (학문 횡단형 협력의 도전과 미래는 무엇인가? 미디어

고고학이 인문학과 현대의 학술문화를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가? 등)

미디어문화와 디자인

38

가칭: 광주 미디어연구교육원 (미디어리터러시, 창의적 미디어 제작, 생산적 미디어 수용, 이미지 디자인,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비주얼 디자인, 그래픽 디자인, 이미지 기술 및 분석, 미디어 분석및 해석, 미디어아트 창작 체험, 미디어아트 감상 및 향유, 미디어 아트 창작 지원, 미디어아트 전문인력 교육, 미디어아트 대상별 교육, 창의성 연구 및 교육, 상상력 체험 현장 제공, 미디어아트 작품 아카이브 구축 등등)

■ 국내 미디어아트 연구 사례: 미디어아트, 기술, 인간60) - 미디어아트와 기술의 관계

- 인간과 기술의 지향성 구조 - 기술과 인간의 자기 이해

- 미디어아트 작품에서의 기술과 예술성의 사례

오늘날 기술은 빠른 속도로 발전을 거듭하며 예술, 문화, 정치, 경제 등 인간 사회의 다양한 분야에서 다층적 차원으로 흡수 재조합되어 가며, 그 가치와 함께 기술 세계에 둘러싸인 인간 존재의 의미를 새롭게 규정해 나가고 있다. 미디어 및 공학기술을 활용하거나 이를 매체적으 로 접근하는 미디어아트 역시 이러한 기술의 발전과 그 속성의 변화와 함께 다양하게 창조되 거나 소비, 활용됨으로써 새로운 문화적 가치를 부여받고 있다. 이러한 미디어아트 다변화는 작가들에게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지만 동시에 예술과 기술의 균형 관계에 대한 질문과 더불 어 미디어아트의 예술성에 대한 지적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예술과 기술 사이의 상호 균형적 관계를 모색하며 인간과 기술에 대한 심도 있는 성찰을 꾀하는 미디어아트 작업으로서 기술에 대한 바람직한 접근 방향성에 대해 고찰 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인간 사회에서 기술에 대한 철학적 고찰을 시도하는 기술철학에 대하여 살펴보고, 특히 돈 아이디의 기술철학적 논의 중 인간과 기술의 지향성에 따른 체현관 계, 해석학적 관계, 그리고 배경관계에 대하여 살펴보고 기술과 인간의 자기이해 과정을 모색 해 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인간과 기술의 지향적 관계들이 <De-viewr>, <Listening Post>, <Immaterials> 등의 미디어아트 작품들에서 어떻게 접근되고 있는지 분석하여 하이 테크놀로지 시대의 훌륭한 미디어아트 작품이 형성될 수 있는 미학적 지점을 모색해 본다.

<활동: 유네스크 미디어아트 창의도시 광주의 과제에 대한 아이디어 교환>

60) 오한나ㆍ이현진 (2012). 돈 아이디의 기술철학을 통해 바라본 미디어아트에서의 기술에 대한 접근과 고찰. 319-328.

미디어와 문화: 미디어학의 기초

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