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93이미지는 어떻게 영향을 끼칠까?

미디어와 문화: 이미지학의 기초

93

미디어문화와 디자인

94

■ 이미지 기술의 실습을 위한 힌트

- 이미지 기술을 시작하기 전에 이미지에 대한 첫 번째 인상을 메모하라.

- 이러한 즉흥적인 기술은 이후 의미 해병에 유용한 교정수단일 수 있고, 해석에도 도움이 된다.

- 즉흥 기술에서 상세한 것과 인상을 메모해야 하는 반면에, 원래의 이미지 묘사를 위해서는 모든 상세한 것이 같은 정도로 중요하지는 않다.

- 본질적인 것에 집중하라: 형식, 모티브, 구성, 기술, 질

- 시각과 주목을 연결하고 설명되는 것의 관계들도 기술에서 포함될 수 있다.

- 지루한 기술은 삼가라. 이것은 요구하는 경우에 과제의 도입에 속한다. 곧바로 기술로 들어가라.

- ‘오른쪽’과 ‘왼쪽’의 이용에서 주의하라.

- 이미지가 이차원적 평면이면, 여러분의 시각에서 방향어를 이용하라.

- 신체부위를 기술할 때는 관찰자가 아니라 모사되는 사람의 시각을 이용하라.

- 대중의 이미지 표현에서는 대중의 시각에서 기술하고 대중에게도 보여주는 것만 기술하라. 자신 이 볼 가능성이 없는 이미지 기술은 지루할 뿐만 아니라 대부분 의미가 없기도 하다.

- 이미지 기술에서 가장 흔한 실수는 과대 해석이다. 그러므로 이미지 내용의 기술을 해석과 평가 와 구분하는 것에 주의하라. 기술에서 가능한 정확하도록 노력하고 분석과 해석에서도 쓸 수 있는 개념을 선택하라. 포괄적인 이미지 기술에 중심적인 것은 형식, 기술, 색, 이미지의 질 등 이다.

■ 이미지 기술의 사례

그림 15(56쪽)에 대한 이미지 기술

하늘을 배경으로 두 인물이 보인다. 이미지는 역동적인 대각선 및 원근법과 명암교차를 통 해 구성되어 있다. 좌측 상단 구석에는 삼각형 안에 그려진 눈이 있는데, 그 눈은 태양빛에 의해 감싸져 있다. 그 눈에서 빛이 발사되어 하늘의 눈 방향을 응시하고 있는 날아오르는 인 물의 가슴을 향하고 있다. 이 여성 인물은 넓고 하늘거리는 가운으로 감싸져 있고 머리에 두 개의 날개를 달고 있다. 팔이 가운 아래 돌출되어 있고 쭉 펴고 있다. 여성의 왼발은 커다란 공위에 놓여있고, 공은 장식된 띠로 치장되어 있다. 하늘에서 오는 광선은 여성의 가슴을 통 해 꺾어져 우측 상단에서 좌측 하단으로 석조의 주각에 서있는 남성 인물로 비추고 있다. 이 입상 같은 인물도 넓은 숄을 입고 있고 발은 맨발이다. 남성 인물은 수염이 있다. 그는 고개를

미디어와 문화: 이미지학의 기초

95

약간 숙이고 땅을 응시하고 있다. 고대를 기억하게 하는 여러 상징들이 있다. 왼쪽에는 날개 투구, 긴 지팡이, 저울, 돈 자루, 도끼, 칼이 있다. 그 뒤 오른쪽에는 기둥이 누워있고 그 위에

‘ABK’와 ABC’라 쓰인 칠판이 보인다. 그 위로 두 개의 독특한 도구가 모사되어 있다. 왼쪽에 남성의 숄에 약간 덮여있는 쟁기 혹은 노가 비스듬히 있다. 칠판 바로 뒤 지팡이 옆에는 닻이 있을 수 있다. 오른쪽 나무줄기를 암시하는 배경 앞 각진 주각 위에 뾰족한 뚜껑 달린 볼록한 그릇이 놓여 있다. 그림의 중심은 제단 비슷한 석조 마름돌이 차지하고 있는데, 그 위에는 김나는 물체를 가진 뿔이 있고, 작은 그릇과 깜박거리는 불이 그려져 있다. 그 바로 뒤에 검은 구름이 피어나고 있는데, 이 구름이 중심적인 그림 바탕을 이루고 있다. 다만, 하늘의 눈이 있는 좌측 상단 구석은 더 밝게 형상화되어 있다.

연습 1

이번에는 모사된 사람들이 아니라 두 개의 사진 설명이 있는 대상물로 연습해 보자.

(58-60)

■ 이미지를 어떻게 분석할 것인가?

이미지 분석은 본질적으로 의미 부여이다. 도구로서 이용되는 것은 문헌 출처, 유형사, ‘의 미감각’이다. 분석적 기술은 이미지의 본질적인 진술 및 관련 있는 특수성에 집중한다. 가능 한 한 객관적인 기술이 보기 훈련과 개념적인 도구들의 정교화를 위해 필요하고 유용하다.

학문적인 실천에서 이미지 기술이 분석적인 요소와 해석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다는 점은 피 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에 개념적으로 지나치게 예리하게 하거나 자신의 해석 결과 를 미리 선점하는 것을 조심해야 한다. 분석 차원에서 이미지 출처를 탐색하고 전범이나 유사 한 이미지 모티브를 찾고 해당 이미지의 선택된 형상 장르로 더 자세히 파악하는 것이 이미 시작된다. 그러나 우선은 새로운 이미지를 예로 들어 분석적인 기술을 연습해야 한다.

연습 2

그림 18을 기술하고 분석하시오. 본질적인 것에 주의하시오. 간단히 그러나 정확하게 설명 하시오. 복잡한 복합문을 피하시오. 이미지의 중요한 전기적 데이터를 탐색하고 그 정보를 기술에 포함하시오. 각 문헌 출처를 정확히 메모하는 일에 소홀하지 마시오. 신문 기사의 경

미디어문화와 디자인

96

우에는 신문명, 날짜와 페이지를 잊지 마시오. 인터넷 출처의 경우에 사이트 주소를 잊지 마 시오. 블로그나 웹사이트의 경우에는 마지막으로 접근한 정확한 날짜가 필요하다. 이러한 출 처들은 기술 자체에서는 언급되지 않는다. 그러나 해석 차원에서는 여러분의 주장에 근거를 대야 하고 그때 출처들이 필요하다. 그래서 이중의 수고를 하지 않아도 되고 처음부터 출처 정보를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5에 대한 분석의 사례 (Vico)

이 이미지는 두 부분으로 분류되어 있다. 한 부분은 비 물질적인 것들의 시각화이고, 다른 하나는 인간 생활의 물질적인 측면들을 시각화하고 있다. 여성 알레고리(비유)는 저자의 사고 방식에 전형적인 형이상학을 개념의 의미를 속담같이 변형한 시각적 메타퍼(은유)로 체현하 고 있다. 왜냐하면 그 여성은 자연적인 세계를 상징하는 지구본 위에 서 있기 때문이다. 여성 의 시선은 신의 눈에 의해 사로잡혀 있는데, 신은 광선에서 자신의 섭리를 생각하는 인간에게 내려 보내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들만이 형이상학의 형상에서 여성으로부터 이득을 얻는 것 이 아니다. 여성의 가슴부적 위에 형이상학이 볼록한 보석을 지니고 있는데, 그 보석은 섭리 를 지구로 반사하고 시적 지혜에 영감을 주고, 그림 왼쪽에 있는 그리스 시인 호머 조각상을 통해 구현한다. 호머는 땅을 바라보는데, 도구들 위로 자신의 발을 응시한다. 전령관 지팡이 는 평화협정에 의해 선포되고 종결되는 전쟁의 문명화를 위해 상징적으로 세워져 있다. 저울 은 민주적 공화국에서 정치적 평등을 구현하고, 자루는 돈으로 행해지는 무역을, 칼은 권력의 정당함을 구현한다.

그 뒤에 놓여 있는 상징들은 인간적인 문화, 즉 언어의 근원으로서 언어, 경작, 장례를 대변 한다. 제단 왼쪽에 있는 노는 배로 시작된 민족이동을 기억나게 한다. 그림 중앙에 있는 제단 은 어두운 배경을 시간적으로나 공간적으로 계몽되고 문명화된 전면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어 두운 구름은 작가에 의해 어두운 태고로 여겨지고 오른쪽의 숲은 사자를 굴복시킨 헤라클레 스가 지구 위의 별자리로 표현된 신화적인 야만성을 구현한다. 중앙에는 제물 표장인 횃불, 불, 물이 있는 제단이 배열되어 있다. 왜냐하면 작가에게 있어서 정치적인 세계는 종교에 의 해 시작되는 것으로 받아들여지기 때문이다. 비코는 그의 ‘신 학문’으로 태고의 어둠을 뚫고 특히 인간을 사회적인 존재로서 파악하고자 했다. 그의 말에 따르면, 형이상학은 자연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정치적-사회적인 세계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림에서 지구는 단지 제단의 구석에 서있다.

미디어와 문화: 이미지학의 기초

97

■ 이미지 분석과 이미지 해석

이 두 용어는 예술사의 전통에 뿌리를 둔다. 실제로 이미지라는 대상영역은 오랫동안 예술 사에서 학문적으로 다루었다. 전통적인 예술사에서는 이미지를 다룰 때 예술과 문화로 연구 하는 데 초점을 두었으며, 이미지 커뮤니케이션이라는 큰 영역은 염두에 두지 않은 편이었다.

말하자면 이전에는 작품들의 예술사적이고 미학적인 질에 인식의 관심이 있었고, 당대의 사 회적, 경제적, 정치적 차원들까지는 지향하지 않은 셈이다. 20세기 초에 예술사가이자 문화학 자인 아미 바부르크(1866-1929)는 모든 형태의 ‘이미지성’을 다루는 것을 이미지해석 (Ikonlogie)라는 용어로 지칭하고 있으며, 광고전단지, 우표, 언론사진 등과 같은 일상적인 시각화도 예술사적으로 고찰하는 것에 포함시켰다(Diers 1993; Warnke 1993; Plaga 1999; Müller 2007; Hensel 2011).

도상학이라는 용어로 알려진 Ikonografie105)와 Ikonologie106)라는 용어는 넓은 의미에 서 이미지로 소통하는 요소의 의미를 해독하고 재구성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 연구방법이라 할 수 있으며, 특히 미학적 가치나 예술적 가치와는 독립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협의에서의 도상학은 이미지 의미의 흔적을 찾는 연구방법이라고도 한다. 이 경우 도상학에서는 역사적인 것을 지향하고, 현상학적이고 수사학적인 방법들이 핵심을 이룬다.

이는 직관적으로 증거를 추적하는 범죄사건의 해결과 비교할 수 있는데, 다양한 이미지방식 을 여러 시각에서 원전 비평적으로 밝혀서 결국에는 설득력 있는 증거를 댄다는 점에서 그러 하다.

증거들은 이미지 재로 자체의 의미에 관한 어떤 것일 수도 있고 이미지들의 생성맥락과 수 용맥락에 관한 것이 될 수도 있다(Müller 2011, 29 ; Baxandall 1972; Warnke 1984, 2007; Müller 1997, Bredekamp 1999, 2003, 2007, 2010). 이때 이미지들은 역사적인 근원으로 이해되며, 역사적인 근원들을 통해 전체 사회적-정치적-문화적 생성 맥락의 도상학 적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역으로 말하자면, 이미지의 의미는 맥락구조에 근거를 두고 해 명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는 두 용어를 편의상 ‘이미지분석’과 ‘이미지해석’이라는 용어로 사용한다. 전자는 기술적인 방법이고, 후자는 해석적인 방법이기 때문이다. 또한 전자의 목표 는 특정 이미지 모티브나 특수한 이미지 다발의 체계적인 파악, 범주화, 유형화를 도상학적으

105) 이미지의 내용과 형식에 대한 학문, 협의로는 모티프학의 기술적인 형식 혹은 아이덴티티, 이미지 내용의 기술과 분류에 대 한 학문이라고도 함. Panofsky(1975) 참조.

106) 예술사의 연구방향과 방법이며, 함부르크 문화학 도서관 바부르크의 전통에서 발전되어 1920년대에 전성기를 이루었음.

Saxl(1943/44-1970/1992) 참조. 전통적인 형식분석과 양식분석의 기술방법을 보충하여, 더 복잡한 예술학적 관찰방식과 작품들의 맥락 관련 해석에 치중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