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89수용되거나 반대로 상업적으로 만들어진 이미지들이 예술적으로 수용된다. 게다가 4개의 서

로 다른 수용 방식이 동시에 한꺼번에 나타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독일 녹색당의 선거 포스 터는 적어도 5개의 수용 차원을 가질 수 있는데, 예술작품, 광고, 인쇄에서의 재생산, 예술학 적 담론의 일부, 정치적 커뮤니케이션 등이 있다. 여기에다가 이미지의 형식이나 형상, 생산 이나 생성 맥락, 수용이나 영향 맥락 등 3개의 상이한 맥락 차원들이 있다. 뿐만 아니라 사회 문화적이고 정치적인 측면들이 생산 과정과 수용 과정에서 여러 영향 요인과 통합된다.

이미지와 관련된 이러한 요소들을 종합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이미지 개념 : 물질적 이미지(모사) 및 정신적 이미지(사유) - 이미지 맥락: 형식, 생산, 수용

형식: 건축, 조각, 회화, 그래픽, 사진, 영화, 텔레비전, 비디오, 인터넷 생산: 예술적, 상업적, 언론적, 학문적, 정치적, 개인적, 종교적

수용: 7 맥락의 조합(예: 예술-예술, 예술-상업, 예술-언론, 예술-학문, 예술-정치, 예술-종교)

모든 모사이미지는 자동적으로 상응하는 사유이미지를 생성한다. 이에 반해 모든 사유이미 지가 자동적으로 물질적 형식을 취하는 것은 아니다. 정신적 이미지에는 언어적 은유, 판박 이, 시각적 표현 등이 포함되고, 대개 물질적 형태를 취하지 않는다. 모사이미지는 주어진 시 간에 특정 사회와 문화의 의식구조를 위한 역사적 근원이다. 따라서 모사이미지를 분석하는 일이 선행되어야 사유이미지를 분석하는 일이 가능하다. 파놉스키는 이미지 생산의 도상학적 분석을 위해 이미지의 형식을 도상학적으로 먼저 기술하고 도상학적 분석 후 이미지 수용을 해석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95)

이에 따르면, 이미지 형태와 관련하여 이미지 모티브, 물질성, 매체성 맥락을 기술한다. 이 미지 생산에 관해서는 이미지의 생성 조건, 관습, 이미지 형상의 선택기준과 제약, 출판과 분 배 등을 도상학적으로 분석한다. 이미지 수용에 대해서는 개인적, 사회적, 문화적, 정치적, 경제적 조건, 이미지 인식의 관습, 제약, 의미 할당과 정서적 반응 등을 도상학적으로 해석한 다. 이미지 연구는 구체적인 모사의 기술, 분석, 해석에서 출발하여 사유상의 기술, 분석, 해 석에 이르는 광범위한 영역을 다룬다.

95) Panofsky, E. (1975). Sinn und Deutung in der bildenden Kunst. Köln: Cumont.

미디어문화와 디자인

90

■ 비주얼 능력이란 무엇인가?

시각적으로 전달되는 정보와 커뮤니케이션의 의미는 기술의 변화, 커뮤니케이션 조류의 글 로벌화, 커뮤니케이션 유형과 내용의 혼종화의 과정에서 많이 변했다. 커뮤니케이션 형식들 의 다중 방식96)은 서로 다른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융합하게 한다.97) 그러나 텍스트 기반, 소리 기반, 이미지 기반 커뮤니케이션 형식들은 각각의 논리와 기능원리에서 구분된다. 커뮤 니케이션 방식들의 혼합을 통해 하이브리드 이미지들이 생겨나는데, 이러한 이미지들은 다차 원적이다. 이러한 다차원성은 혼종 이미지들이 상이한 형식맥락, 생산맥락, 수용맥락에서 서 로 다른 메시지와 의미를 전달할 수 있게 한다. 비주얼 코뮤니케이션의 역할 사이의 상호관계 의 이해에 중심이 되는 비주얼 능력을 상세히 알아볼 필요가 있다.

텍스트 커뮤니케이션, 이미지 커뮤니케이션, 청각 커뮤니케이션은 대개 혼합 생산물로 존재 한다. ‘인간 커뮤니케이션의 보통 경우로 다중 방식을 간주해야 한다면, 여러 커뮤니케이션 방식들의 ’오케스트라화‘를 미디어 맥락에서 분석하는 것은 미디어 내용의 이해를 위한 열쇠 이고,98) 비주얼 커뮤니케이션 연구가 미리에 더 헌신해야 하는 과제이기도 하다.99)

비주얼 커뮤니케이션은 텍스트 커뮤니케이션과 다른 분석능력과 해석능력을 요구한다. 예 를 들어 언론 사진이나 정치적 만화와 같은 이미지는 언어적 제약을 받지 않는다. 이러한 이 미지들은 세계적으로 전파되고, 지각되고, 해독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이미지들이 부여하는 해독된 의미들은 이미지들이 만들어지고 지각되는 지리적, 민족적, 정치적, 사회문화적 맥락 에 따라 각기 매우 다를 수 있다.

96) Kress, G. R. & van Leeusen, T. (2002). Multimodal Discourse: the modes and media of contemporary communication. London: Edward Arnold. ; Bateman, J. A. (2008). Multimodality and Genre: A Foundation for the Systematic Analysis of Multimodal Documents. London: Palgrave Macmillan. ; Bucher, H.-J. (2010).

Multimodalität –eine Universalie des Medienwandesl: Problemstellungen und Theorien der Multimodalitätsforschung. In H.-J. Bucher, T.Gloningen & K. Lehnen (Hrsg.), Neue Medien –Neue Formate.

Ausdifferenzierung und Konvergenz in der Medienkommunikation. (41-79). Frankfurt a. M., New York:

Campus. ; Bucher, H.-J. (2013). Online-Diskurse als multimodale Netzwerk-Kommunikation. Ein Plädoyer für eine Paradigmenerweiterung. In C. Fraas, S.Meier & C.Pentzold (Hrsg.), Online-Diskurse. Theorien und Methoden transmedialer Online-Diskursforschung (57-101). Köln: von Halem. ; Hosanova, J. (2012). New Methods for Studying Visual Communication and Multimodal Integration. Visual Communication, 11(3), 251-257.

97) Müller, Marion G. & Stephanie Geise (2015). Grundlagen der visuellen Kommunikation. Theorieansätze und Analysemethoden. 2., völlig überarbeitete Auflage. UVK: Konstanz. 177-182.

98) Bucher, H.-J. (2013). Online-Diskurse als multimodale Netzwerk- Kommunikation. Ein Plädoyer für eine Paradigmenerweiterung. In C. Fraas, S.Meier & C.Pentzold (Hrsg.), Online-Diskurse. Theorien und Methoden transmedialer Online-Diskursforschung (57-101). Köln: von Halem. 64.

99) Geise, S., & Baden, C. (2015). Putting the Image back into the Frame: Modling the Linkage between Visual Commication and Frame Processing Theory. Communication Theory.

미디어와 문화: 이미지학의 기초

91

‘이미지능력’과 ‘비주얼능력’이라는 개념은 세기 전환기에 미디어교육학100)과 일반 이미지 학101)에서 이미지에 대한 강력한 이론적 관심의 과정에서 처음으로 독일어 저서의 제목에서 나타난다. 영미권에서는 1990년대에 주로 기호학과 언어학에서 나온 미디어리터러시, 비주 얼리터러시, 비주얼문화, 비주얼연구 등의 개념들이 대중화되었다.102) 리터러시라는 개념은 언어에 연결되어 있어서 특수한 비주얼 커뮤니케이션 논리에서는 제한적으로만 전용될 수 있 다. 이는 문화나 연구라는 개념도 유사하다. 이처럼 이미지 능력에 순수 이론적으로 접근하는 것은 경험 지향적인 미디어학과 커뮤니케이션학을 위해 작동되기 어렵다.

비주얼 능력은 분과를 넘나드는 경험적이고 과정적인 비주얼 커뮤니케이션의 이해에 대한 접근이 필요하다. 비주얼 능력 연구와 연관된 분과학문들은 이미지와 연관된 과정들의 이해 에 관심이 있다. 다시 말해, 개인, 집단, 사회의 비주얼 능력이 어떻게 습득되고, 전달되고, 수용되는가? 이 경우에 능력은 상위 범주로 이해되고, 이는 이미지와 결부된 4개 능력을 통합 한다. 여기에는 시각적 생산능력(생산), 시각적 인식능력(인식), 시각적 해석능력(해석), 시각 적 수용능력(수용) 등이 포함된다. 이 4개의 이미지능력들은 지속적으로 상호작용하고 서로 분리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위분류하는 것은 시각적인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여러 요소고 구분하기 위해서이다. 인식은 이미지를 지각하는 것이고, 해석은 이미지 처리에 대해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고, 이미지 인상을 인지적-정서적으로 받아들이고 처리하는 것이며, 새 로운 이미지나 이미지 논평을 만들어내는 것이 생산이다.

이로부터 비주얼능력 순환에 대한 설명이 가능한데, 순환이라는 표현을 쓰는 이유는 한편 으로 지속적인 과정이기도 하고 구체적인 시작과 끝을 결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비주얼 능력 순환의 중심에는 문화학자 바부르크의 이미지 개념, 즉 사유이미지와 모사이미지 사이의 상 호적인 과정을 설명하는 개념이 있다. 이를 토대로 비주얼 능력의 4개 차원인 이미지의 생산, 인식, 해석, 수용 혹은 영향이 다음과 같이 순환된다.

100) Doelker, C. (1997). Ein Bild ist mehr als ein Bild. Visuelle Kompetenz in der Multimedia-Gessellschaft.

Stuttgart: Klett-Cotta.

101) Huber, H.-D., Lockermann, B., & Scheibel, M. (2002). Bild, Medien, Wissen. Visuelle Kompetenz im Medienzeitalter. München: Kopäd. ; Sachs-Hombach, K. (2003). Das Bild als kommunicatives Medium.

Elemente einer allgemeinen Bildwissenschaft. Köln: von Halem.

102) Hobbs, R. (1994). The Seven Great Debates in the Media Literacy Movement. Journal of Communication, 48(2), 9-29. ; Messaris, P. (1994). Visual Literacy. Image, Mind and Reality. Boulder: Westview. ; Elkins, J. (2003). Visual Studies. A Skeptical Introduction. New York. ; Griffin, M. (2008). Visual Competence and Media Literacy: Can One Exist without the Other? Visual Studies, 23(2), 113-129.

미디어문화와 디자인

92

인식 → 해석: 의미 부여

해석 → 수용: 정서적/인지적 반응 수용 → 생산: 물리적 행위/반응 생산 → 인식: 출판/분배

비주얼 능력이라는 개념은 비주얼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복잡한 문제제기를 구조화하기 위 한 사유 모델이다. 비주얼 능력 순환도는 비주얼 커뮤니케이션의 과정성을 다루는 연구에 이 론적으로나 경험적-방법론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 이미지 이용, 이미지 수용, 이미지 영향

이미지 이용 연구에서는 양적이고 질적인 의미에서 어떻게 왜 어떤 수용 집단이 어떤 시각 적 제공물을 이용할까를 조사한다.103) 이미지 수용 연구에서는 인간이 어떻게 시각 매체들과 그것들의 이미지들을 지각할까 및 인간은 그것들을 어떻게 수용하고 처리할까를 연구한다.

이미지 영향 연구는 시각 매체와 그것들의 이미지는 인간과 더불어 무엇을 할까 및 시각 매체 와 그것들의 이미지는 상이한 차원에서 어떤 직간접 영향과 결부되어 있을까를 연구한다.

■ 이미지는 어떻게 수용될까?

이미지 우월성 효과 (Bildüberlegenheitseffekt/Picture Superiority Effect) 이미지 수용에서의 이미지 우월성 효과

- 이미지는 특히 초기 수용 단계에서 더 강하게 활성화하고 더 높은 시각적 주목을 생성한다.

- 이미지들에는 보는 과정과 수용 과정을 조절하는 기능이 부여된다.

- 이미지는 지각 과정에서 덜 선택적으로 지각된다.

- 이미지는 거의 자동적으로, 즉 큰 정신적 노력 없이, 더 적은 인지적 통제로 수용된다.

- 이미지는 본질적으로 더 빨리 감각적으로 파악된다.

- 이미지는 본질적으로 더 빨리 정신적으로 처리된다.

- 이미지는 수용 과정에서 시각적으로 재현된 이미지 내용의 감각적 직접성의 인상을 형성한다.

103) Müller, Marion G. & Stephanie Geise (2015). Grundlagen der visuellen Kommunikation. Theorieansätze und Analysemethoden. 2., völlig überarbeitete Auflage. UVK: Konstanz. 77-99.

미디어와 문화: 이미지학의 기초

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