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9
미디어문화와 디자인
130
떤 특별한 의도 없이 보통의 디자인 행위에 대한 연구로 수행되는 경향이 있다.
창의적 디자인을 연구하는 것은 문제가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데, 디자인 과정 동안에 창의 적인 ‘사건’이 일어날 것이라는 보장이 없을 수 있기 때문이며, 해결 아이디어를 ‘창의적’으로 설명하기 어렵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러나 각 디자인 프로젝트에서 창의성은 발견될 수 있다.
만약 뚜렷한 창의적 사건의 분명한 형태가 아니라면, 그때는 어느 정도 창의성이 진행되는 유일한 해결책의 평가로 발견된다.
Christiaans는 디자인에서의 창의성을 탐색하려는 특별한 의도를 가지고 산업디자인 학생 들을 연구하였다.136) 우리의 논문은 유사한 연구방법론을 경험있는 디자이너들에 대한 연구 로 확장함으로써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그 논문을 발전시킨다. 이 연구의 경험적 기초는 실험 실 상황에서 작은 디자인 과제를 수행하고 있는 9명의 숙련된 산업 디자이너들에 대한 프로 토콜 연구로 구성된다.137) 산업디자인 영역은 창의적 디자인의 연구를 위해 특히 흥미로운 데, 그 영역은 복잡하고, 다학제적인 문제들에 대해 새롭고, 통합된 해결책을 요구하기 때문 이다.
■ 프로토콜 연구
이 경험적 연구는 학생 디자이너들에 대한 연구에 기반을 둔 초기의 논문들로부터 발전했 는데, 그러한 연구는 인식된 창의성과 결과로 나온 디자인의 전반적인 ‘질’을 측정하기 위해 절차들을 포함하였다.138) 크리스티안스는 전문가 평가자들이 ‘창의성’에 대한 디자인을 등급 매기기를 요구받을 때, 아주 일관되었다는 것을 발견했다. 평가자들은 창의성의 정의에 대한 결론 없는 논의가 제안할 수 있는 것보다 디자인의 창의성을 인정하는 것에 대해 더 많이 동 의한다. 결과들은 창의적 디자인이 이러한 방식으로 믿음직하게 평가될 수 있다고 주장하는 것이 근거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 연구를 위해 우리가 동원한 참여자들은 전문적인 경험 이 5년 이상(최소 5년부터 최대 20년)인 9명의 산업디자이너들이다. 참여자들은 모두 디자인 컨설턴트에서 일하고 있었고, 과제가 디자인 컨설턴트 실천을 모델로 하기 때문에 이는 중요 하다.
136) Christiaans, H. (1992). Creativity in design. PhD Thesis, Delft University of Technology, The Netherlands.
137) Dorst, K. (1997). Describing design: a comparison of paradigms. PhD Thesis. Delft University of Technology. The Netherlands.
138) Christiaans, H. (1992). Creativity in design. PhD Thesis, Delft University of Technology, The Netherlands. ; Christiaans, H. & Dorst, K. (1992). An empirical study into design thinking. In N Cross, N Roozenburg and K Dorst (eds), Research in design thinking, Delft University Press. The Netherlands.
ⅩⅢ
디자인 관련 연구 및 적용 사례131
■ 결론
디자인의 ‘문제 해결’ 측면이 문제와 해결의 동반 진화라는 Mather의 모델의 의미에서 유 용하게 기술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기를 희망한다. 또한 디자인의 ‘창의적’ 측면이 ‘디폴 트’와 ‘서프라이스’ 문제/해결이라는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기술될 수 있기를 바란다. Schön 은 그의 창의적 디자인 이론에서 ‘서프라이즈’라는 개념을 사용했다. 그 이론에서 이 개념은 프레임과 재 프레임으로 이끄는 추동력이 되는 데 중요한 역할을 가진다. 서프라이즈는 디자 이너를 일상적인 행동으로부터 지켜주는 것이다. 문제나 해결의 ‘서프라이징’ 부분들은 디자 인 프로젝트 독창성을 추진시킨다.
자연 세계에서 진화의 과정은 점진적인 변화보다는 서프라이즈에 대한 반응(환경에서의 변 화)에 의해 추진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디자인 과정에서의 창의성은 그러한 ‘발전의 폭발들’
에 비교될 수 있다.
(참고자료: 디자인 관련 국제학술대회) (전남대 보도자료, 2015년 10월 16일)
2015 국제디자인학술대회, 17~18일 전남대 G&R허브 ・ 용지관서 열린다
2015년 국제디자인학술대회가 10월 17일(토)~18일(일) 이틀 동안 전남대학교 G&R 허브와 용지관 컨벤션홀에 서 열린다.
이 학술대회는 10월 17일부터 1주일 동안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와 국립 아시아문화전당에서 개최되는 ‘2015국 제디자인총회’의 학술 컨퍼런스 프로그램으로 마련됐으며, ‘이음(Eeum Design Connects)’을 주제로 다양한 학술토론이 진행된다.
한국디자인학회와 아시아 디지털예술 및 디자인협회(ADADA), Cumulus가 공동주최한 이 학술대회는 전남대학 교와 국제디자인학술대회 조직위원회, 국제디자인총회 조직위원회가 공동주관한다.
3개 학회, 12개국의 학자와 전문가들이 참가해 이틀 동안 디자인 발전을 위한 다양한 논문발표와 토론이 이어지 며, 용지관 컨벤션홀에서는 국제 디자인 초대전도 진행된다.
전남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과 남호정 교수는 “이번 학술대회는 여느해보다 많은 디자인 학자와 전문가들이 참가 했다.”면서 “이처럼 큰 행사를 전남대학교에서 개최함으로써 대학의 위상을 세계에 과시하는 효과도 기대된 다.”고 말했다.
미디어문화와 디자인
132
2. 적용 사례 : 미디어 디자인(커뮤니케이션 디자인, 웹 디자인)
디자인 관련 분과학문: Applied arts, Architecture, Automotive design, Benchmarking design, Communication design, Configuration design, Engineeringdesign, Environmental graphic design, Experiential graphic design, Fashion design, Game design, Graphic design, Information architecture, Industrial design, Instructional design, Interaction design, Interior design, Landscape architecture, Lighting design, Military design methodology, Modular design, Motion graphic design, Product design, Process design, Servicedesign, Software design, Sound design, Systems architecture, Systems design, Systems modeling, Transition design, Urban design, User experience design, Visual design, Web design, Biological design
■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의 주요 목적은 사람들의 지식, 태도, 행동에 영향을 주어 커뮤니케이 션 행위가 이루어진 후 무엇인가를 변화시키는 것이다.139) 디자인을 대개 물리적 생산물로만 생각하고 행위 자체를 간과하는 경우가 많다. 현대의 디자이너에게 있어서 디자인이란 의도 된 행위이다. 디자인하는 것은 인간과 기술의 요인들을 고안하고, 투사하고, 프로그래밍하고 코디하는 것이며, 가시적이지 않은 것을 가시적으로 만드는 것이다. 디자인하기는 판단력, 지 식의 실행, 새로운 지식의 생성, 훈련된 직관의 사용, 의사결정 등을 포함한다. 비주얼 커뮤니 케이션에서 디자인은 텍스트나 이미지와 같은 일련의 요소들을 구상하고, 기획하고, 투사하 고, 공조하고, 선별하고 조직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말하자면 비주얼 커뮤니케이션이라는 용 어는 디자인이라는 용어를 ‘특정 메시지들을 커뮤니케이션하는 데 목적을 두는 시각적 대상 물의 생산’에 연관시킨다.
비주얼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은 특정 메시지 전달을 목적으로 생각하고, 프로그래밍하고, 프 로젝트화하고, 비주얼 소통을 현실화하는 행위이며, 대중의 지식, 태도, 행동이 의도된 방향 으로 바뀌도록 영향을 끼치는 행위이다. 그래픽 디자인은 그러한 행동에 의해 만들어진 대상 물이다. 비주얼 커뮤니케이션 디자이너들은 메시지의 해석, 조직, 시각적 설명에 관한 일을 한다. 비주얼 커뮤니케이션 디자이너들은 메시지의 효율성, 적절성, 미, 경제성 등을 향상시 키기 위해 노력한다. 이 직업은 커뮤니케이션의 계획, 구조화, 생산, 평가 등과 관련이 있다.
139) Frascara, Jorge (2004). Communication Design: Principles, Methods, and Practice. Allworth Press.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