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2013년 11월

Ⅶ. 맺음말

인권이사회는

2006년 설립 이후부터 지금까지 인권의 보장과 개선

을 위해 부단히 노력해왔다. 2007년에는 제도구축 결의를 통해 주요 제도를 마련하고 2011년에는 재검토 결의를 통해 이를 공고화시켰다.

비록 2011년 재검토 결의가 인권이사회의 제도 개선과 개혁의 기대에 는 미치지 못했지만, 재검토 과정을 통해 그동안의 인권이사회의 임무 수행을 총체적으로 평가하고, 문제점과 한계를 밝히며 좀 더 실효적이 고 효율적인 임무 수행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인권이사회가 국제적 인권보호의 중심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해나가기 위해서는 보편적정례검토, 특별절차, 진정절차 등의 주 요 제도가 2006년 설립 당시 기획한 바대로 운영되고 있는지에 대해 지속적으로 평가하고 인권이사회 및 국가의 이행을 도모하기 위한 제 도 개선의 노력을 계속해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2012년부터 시 작된 제2주기 보편적정례검토에서는 제1주기의 권고사항에 대한 이행 여부를 함께 검토하고 있어, 이 제도가 국내 및 국제 인권상황을 얼마 만큼 개선했는지를 평가할 수 있게 되었다. 북한 역시 제2주기 검토가

2014년 4〜5월에 예정되어 있어 제1주기 검토에서 지적되었던 권고

사항들의 이행과 개선 여부에 관심이 쏠릴 것이다. 북한이 북한인권특 별보고관이나 북한인권 조사위원회 등에 대해 강한 거부감을 보이는 반면 비교적 보편적정례검토 제도의 참여에 대해서는 긍정적 태도를 보이고 있어 제2주기 검토는 북한의 인권 개선 의지를 평가하는 중요 한 기회가 될 것이다. 특별절차의 경우는 인권 문제를 조사, 감시하는 데 있어 현장방문이나 정보의 제고 등 관련 국가의 협조가 절대적이다.

유엔회원국의 절반 정도가 특별절차수임자에 대해

‘상시초청권’을 발

부하고 있지만, 북한을 비롯한 주요 인권 문제국가들은 현장방문과 정 보의 제공을 거부하고 있다. 특별절차의 협조 유무는 보편적정례검토 과정에서도 자주 다루어지는 주제인 만큼 다른 국가의 발언이나 인권 이사회의 권고를 통해 관련 국가의 협조를 도모할 수 있다.

인권이사회의 역할과 운영을 통해 국제적 인권보호를 향상하기 위 해서는 적절한 제도의 마련이 기초가 되어야 하겠지만, 더 중요한 것은 제도의 실효적 운영을 통해 제도의 목적과 원칙을 실현하는 것이며 이 것은 국가의 인권 의지에 달려 있다. 국가들은 인권 문제를 다룸에 있 어 정치적 집단행동을 자제하고, 인권이사회 및 국가간 협력을 지속적 으로 강화해 나가야 할 것이다.

1 2 3 4 5 6 7 8 참고문헌

1. 단행본

국가인권위원회.

󰡔유엔 국가별 정례인권검토(UPR)에 대한 북한의 국가

인권보고서 및 우리정부, NGO, INGO 관련 자료집󰡕. 서울

:

국가 인권위원회 인권정책과, 2010.

Müller, Amrei and Frauke Seidensticker (박진아 역). 󰡔국가인권기구

의 유엔조약 감시기구 내 역할󰡕

.

서울: 국가인권위원회, 2008.

Sen, Purna (ed.). Universal Periodic Review: Lessons, Hopes and Expectations. London: Commonwealth Secretariat, 2011.

2. 논문

박병도. “유엔인권이사회의 보편적정례검토제도―한국의 실행과 평가 를 중심으로―.”

󰡔법조󰡕. Vol. 635(법조협회), 2009.8.

신각수. “인권이사회 설립과 국제인권 발전.”

󰡔서울국제법연구 󰡕.

제13권 제1호(서울국제법연구원), 2006.

우종길. “유엔인권이사회의 새로운 국제인권보호제도인 보편적정기검토 에 관한 소고.”

󰡔서울국제법연구󰡕 .

제15권 제1호(서울국제법연 구원), 2008.

조형석. “UN 인권체제의 변화.”

󰡔국제법 동향과 실무󰡕 .

통권 제14호(외교 부), 2009.

Alson, Philip. “Hobbling the Monitors: Should U.N. Human Rights Monitors be Accountable?” Harvard International Law Journal. Vol. 52, 2011.

Hafner-Burton, Emilie M. “Sticks and Stones: Naming and

Shaming the Human Rights Enforcement Problem.”

International Organization. Vol. 62, 2008.

Smith, Rhona K.M. “More of the Same or Something Different?

Preliminary Observations on the Contribution of Universal Periodic Review with Reference to the Chinese Experience.” Chinese Journal of International Law. Vol. 10, 2011.

3. 기타

조정현·김수암·한동호

.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 설립:

의의 및 과제.”

통일연구원

Online Series CO 13-09, 2013.3.26. <http://

www.kinu.or.kr/upload/neoboard/DATA01/co13-09.pdf>.

검색일: 2013.8.1.

McMahon, Edward R. “Herding Cats and Sheep: Assessing State and Regional Behavior in the Universal Periodic Review Mechanism of the United Nations Human Rights Council.”

UPR-Info Geneva. <http://www.upr-info. org/IMG/pdf/

McMahon_Herding_Cats_and_Sheeps_July_2010.pdf>.

검색일: 2012.11.18.

Rathgerber, Theodor. “New Prospects for Human Rights-The Human Rights Council between the Review Process and the Arab Spring.” Fridrich-Ebert-Stiftung, 2012. <http://

library.fes.de/pdf-files/iez/global/08961.pdf>.

검색일: 2012.

11.18.

UNHRC. Summary Prepared by the Office of the High Commissioner

for Human Rights in Accordance with Paragraph 15 (C)

1 2 3 4 5 6 7 8

of the Annex to Human Rights Council Resolution 5/1 ―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UN Doc.

A/HRC/WG.6/6/PPK/3, 28 August 2009.

UNGA Res. 60/251. Human Rights Council. 15 March 2006. UN Doc. A/RES/60/251, 3 April 2006.

UNGA Res. 65/281. Review of the Human Rights Council. 17 June 2011. UN Doc. A/RES/65/281, 20 July 2011.

UNGA. Report of the Secretary-General. In Larger Freedom:

towards development, security and human rights for all.

UN Doc. A/59/2005, 21 March 2005.

UNHRC Decision 17/119. Follow-up to the Human Rights Council resolution 16/21 with regard to the universal periodic review. 17 June 2011. UN Doc. A/HRC/DEC/17/119, 19 July 2011.

UNHRC Decision 6/102. Follow-up to Human Rights council resolution 5/1. 27 September 2007. UN Doc. A/HRC/6/22, 14 April 2008.

UNHRC Res S-19/1. The deteriorating situation of human rights in the Syrian Arab Republic, and the recent killings in El-Houleh. 1 June 2012. UN Doc. A/HRC/RES/S-19/1, 4 June 2012.

UNHRC Res. Situation of human rights in the Syrian Arab Republic. 23 March 2012. UN Doc. A/HRC/REs/19/22, 10 April 2012.

UNHRC Res. 15/21. The rights to freedom of peaceful assembly and of association. 30 September 2010. UN Doc. A/HRC/

RES/15/21, 6 October 2010.

UNHRC Res. 16/21. Review of the work and functioning of the Human Rights Council. 25 March 2011. UN Doc.

A/HRC/RES/16/21, 12 April 2011.

UNHRC Res. 16/9. Situation of human rights in the Islamic Republic of Iran. 24 March 2011. UN Doc. A/HRC/RES/16/9, 8 April 2011.

UNHRC Res. 19/1. The escalating grave human rights violations and the deteriorating humanitarian situation in the Syrian Arab Republic. 1 March 2012. UN Doc. A/HRC/19/1, 10 April 2012.

UNHRC Res. 5/1. Institution-building of the United Nations Human Rights Council. 18 June 2007. UN Doc. A/HRC/21, 7 August 2007.

UNHRC. Compilation of state proposals, Open-Ended Intergovernmental Working Group on the Review of the Work and Functioning of the Human Rights Council, 1st session. Geneva. 25~29 October 2010. UN Doc. A/HRC/ WG.8/1/CRP.1/Rev.1, 29 October 2010.

UNHRC. Compilation Prepared by the Office of the High Commssioner for Human Rights in Accordance with Paragraph 15 (B) of the Annex to Human Rights Council Resolution 5/1 ―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UN Doc. A/HRC/WG.6/6/PPK/2, 18 September 2009.

UNHRC. Draft report of the Working Group on the Universal Periodic Review -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UN Doc. A/HRC/WG.6/6/L.12, 23 December 2009.

UNHRC. National Report Submitted in Accordance with Paragraph

1 2 3 4 5 6 7 8

15 (A) of the Annex to Human Rights Council Resolution 5/1 ―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UN Doc.

A/HRC/WG.6/6/PPK/1, 27 August 2009.

Ⅰ. 서론

Ⅱ. 국제안보와 국제인권보호의 발전과 유엔 1 . 국제안보 개념 및 의제의 변화와 유엔 2. 인권규범과 유엔의 국제인권보호체제의 발전 3. 유엔 안보리의 주요 권한 및 역할

Ⅲ. 국제인권보호와 안보리의 역할: 실제, 추세 및 평가 1 . 주요 분쟁 및 관련 사태에 대한 안보리의 역할 2. 안보리의 인권보호 역할과 추세 및 의미 3. 인권보호와 안보리의 역할 평가: 제약과 가능성

Ⅳ. 북한인권과 유엔 안보리의 역할: 가능성과 시사점 1 . 북한급변사태 등 한반도 유사상황과 안보리 2. 평시의 북한의 전반적 인권상황과 안보리

Ⅴ. 결론 참고문헌

2

유엔 안보리의 역할과 인권

북한에 대한 시사점

박흥순(선문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1 2

3

4

5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