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2013년 11월

Ⅰ. 서론

1 2

3

4

5

6

7

8

Annan)

전 유엔사무총장은 “안보리가 대규모 인권침해와 반인도범죄 에 대항하는 목적을 위해 단합할 수 없다면…우리들은 유엔의 창설에 영감을 준 바로 그 이념(ideals)을 배반하게 될 것이다”라고 단언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유엔이 가지고 있는 권한과 역량, 그리고 변화하는 국제 사회의 변화에 맞추어 그동안 진화되어온 유엔의 제도와 관행은 유엔 안보리의 역할을 강화하는 데 이바지하였다. 즉, 유엔 안보리는 강제적 혹은 비강제적 조처 등 다양한 방법과 활동을 통하여 분쟁에 관여하여, 그 해결과 더불어 관련된 인권침해 사태를 다루게 되었다. 가령, 안보 리는 평시 혹은 유사 사태 시, 사안에 따라 평화적 접근(사실조사, 협 상, 중재, 주선 등)을 통한 예방외교 및 평화조성, 평화유지(PKO), 제 재, 평화강제, 평화구축 등의 이른바 평화활동(peace operations)의 부 분으로서, 그리고 인도적 개입 및 보호책임(RtoP), 혹은 국제형사법

(임시적 국제법정 설치,

혹은

ICC

회부) 적용의 여러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

유엔 안보리는 국제인권에 관한 헌장의 해석과 적용, 위반에 대한 제재, 그리고 결의문이나 선언 등을 통한 국제 인권 규범의 준수, 창설 혹은 진화에 기여한다. 이러한 안보리의 다양한 수 단과 활동은 탈냉전 후의 각종 분쟁에서 실행되어 국제사회에 직접 기 여하고 있다.

유엔 안보리는 모든 회원국을 대신하여 법적 구속력 있는 결정을 내 리며, 특히 헌장 제7장하에서 이루어지는 강제력의 발동은 유엔의 원 칙인 국내문제불간섭의 규범을 넘어 국가정책이나 안보에 직접 영향 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유엔 안보리는 ‘국제평화 및 안보의 유지’를 위 한 유엔의 최고기관으로서, 그 목적을 달성하는 데 있어서 유엔헌장하 에서 광범위한 권한과 역할을 갖고 있다. 안보리는 국제평화 및 안보

1 2

3 4 5 6 7 8

의 문제로서 인권문제에서도 유엔의 인권메커니즘으로서 직접 혹은 간접으로 관여할 수 있는 합법성과 정통성을 가지고 있으며, 실제로 다 양한 인권문제에서 여러 가지 방법과 수단으로 관여하여 왔다. 그리고 안보리는 유엔 내의 인권 관련기관 및 기구들은 물론, 유엔사무총장이 나 회원국들, 그리고 비정부기구(NGO)와 협력하고 있다.

북한정권의 독재성과 폐쇄성은 세계에서 가장 심각한 인권문제를 야기하고 있으며, 북한인권의 개선문제는 남북한 관계에서뿐만 아니라 국제적 의제에서도 주요의제로 부각되었다. 유엔이 갖는 전반적인 정 치적 귄위, 그리고 안보리가 행사할 수 있는 특별한 권한과 역할에 비 추어 과연 유엔은 북한정권에 의한 기존의 인권침해사례 그리고 향후 발생할지 모르는 인권유린에 관하여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는지를 살 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유엔 안보리는 세계에서 가장 열악한 상태의 북한인권에 대하여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그 개선을 위한 정 치적 혹은 법률적 측면에서 여러 가지 강제적 혹은 비강제적 수단과 방법을 구사할 수 있는 여지가 많다.

본 연구는 유엔 안보리가 갖는 권한과 역할에 비추어 국제인권문제 에 관하여 현재 관여하거나 혹은 잠재적으로 관여할 수 있는 역할을 보다 체계적, 심층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북한인권문제 개선 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과 시사점을 파악하는 데 중점이 있다. 따라 서 본 연구에서는 우선, 국제평화 및 국제인권의 개념과 국제사회의 이 해의 진화를 살펴보고, 둘째, 국제인권에 관련된 유엔 체제의 기구 및 조직, 권한, 특히 안보리의 권한 및 활동, 그리고 역할을 파악하고, 셋 째, 유엔이 실제로 국제인권보호를 위해서 활동한 실제 사례와 그 기여 및 역할의 내용과 의미를 평가하고, 나아가서 그 제약과 가능성을 분석 한 다음, 이를 바탕으로 넷째, 안보리의 역할이 북한인권 사태에 적용

될 수 있는 가능성과 그 함의를 파악하며, 끝으로 결론을 내리는 것으 로 전개한다.

Ⅱ. 국제안보와 국제인권보호의 발전과 유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