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11월
Ⅵ.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 활동의 전망
1 2 3
4
5
6
7
8
에리트리아 방문시에는, 방문 수단 정부 측 인사뿐 아니라, 반군의 주 요세력인 수단해방군(Sudan Liberation Movement/Army)과 정의평 등운동(Justice and Equality Movement)의 수장들과도 접촉하였 다.113 아울러, 조사위원회는 에티오피아를 방문하여 다르푸르 사태에 대한 아프리카연합의 평가를 들을 수 있었는데, 아프리카 연합(AU) 지도부와 조사위원회의 활동에 협조할 수 있는 방법과 양상에 대하여 논의하였다.114
수단정부는 업무 담당자를 카르툼에 배치하여 조사위원회가 요청한 정부관계자들과 만날 수 있도록 협력하였으며, 내무부는 조사위원회와 협력할 특별 위원회를 개설하는 등 적극적으로 조사위원회와 협조하 였다. 2004년 11월 12일에 개최된 다르푸르 공동이행제도 회의(Joint
Implementation Mechanism Meeting)에서 법무장관은 조사위원회
에게 정부의 협조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확약을 하였다:115“1) 정부는 조사위원회의 보고를 조사 결과와 무관하게 받아들 인다. 2) 조사에 동참하는 목격자들은 정부에게서 적합한 대우 를 받는다. 3) 모든 정부 당국자들은 대통령의 지시를 엄격히 따 르며, 위원회의 조사에 협조적인 자세를 보인다.”
레바논 조사위원회는 레바논을 방문하여 대통령과 총리 및 그 외 정 부관리들을 만났고, 결의 S-2/1에 명시된 사건들과 지역들을 중점으로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조사 중 다른 기관들의 의견도 검토하였다.116 조사위원회는 관련 지역을 방문하며 개인, 지방 자치제, 그리고 지역
113_Ibid., para. 23.
114_Ibid., para. 23.
115_Ibid., para. 31.
116_UN Human Rights Council, 레바논 보고서, para. 23.
1 2 3
4 5 6 7 8
사회들에게서 직접 조사와 관련된 정보들을 수집하였다.117또한 비블 로스(Byblos) 지역을 방문하여 사건으로 인해 훼손된 고유적지와 관 련된 문제들 또한 검토하였다.118
리비아 조사위원회의 경우는, 리비아에서 무력 분쟁이 계속되고 있 었기 때문에 접근이 제한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리비아 사태가 일어 난 지역 중 일부에 대한 현장방문이 조사위원회에 허가되었다. 이에 따라 조사위원회는 리비아에서는 벵가지, 알바이다, 토브루크, 트리폴 리, 아즈자위야, 이집트에서는 카이로, 마르사마트루흐, 아스살룸, 튀니 지에서는 튀니스, 제르바섬, 라스 아지르, 스팍스, 수스, 타타윈, 자르지 스를 각각 방문할 수 있었다.119 조사위원회는 리비아 당국, 리비아 국 가과도위원회, 리비아 시민사회 대표들, 리비아 도처에 있는 인사들과 직접적으로 접촉하고, 다수의 리비아, 이집트, 튀니지의 정부관리, 리 비아 국가과도위원회의 대표, 그리고 유엔사무총장의 리비아 특사인 아베데리아 알카티브 등 유엔 당국자와 만남을 가졌다.120 조사위원회 는 리비아 사태에 대한 일차적인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리비아, 제네 바, 이집트, 튀니지 각지에서 희생자, 지역사회대표, 지방당국, 비정부 기구의 구성원, 전문가, 정부관리, 유엔관리 등 350명 이상의 인사들을 접촉하여 인터뷰를 수행하였다.121
물론, 정부 및 관련기관의 불협조로 인해 임무 수행에 있어 일부 차 질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예를 들어, 다르푸르 조사위원회의 경우에는, 조사지역의 안보위원회 회의내용에 접근하지 못하였고, 반군들과 시민
117_Ibid.
118_Ibid.
119_UN Human Rights Council, 리비아 1차보고서, para. 7.
120_Ibid., para. 8.
121_Ibid.
들을 대상으로 한 정부기관의 정책들에 대해 검토하고자 그와 관련된 원본 자료들을 요청했지만 열람할 수 없는 등의 문제가 존재했다.122 다르푸르 주 정부들은 원본 자료들이 없다고 하였고, 수단정부는 일반 적인 이슈들에 대해 내린 최종 정책결정들 중 일부만 조사위원회에 공 개하였다. 또한 조사위원회는 2003년 이후 다르푸르에 배치된 군항공 기 및 무장 헬리콥터와 관련된 기록을 요청하였지만, 국방부장관과 고 위 관료들은 자료를 공개하지 않았다. 아울러, 조사위원회는 현지 정부 관료들이 일부 증인들에게 압력을 가한 경우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고 하였다.123
레바논 조사위원회는 레바논과 이스라엘 정부 양측에 조사에 협조 할 것을 요청하였으나, 레바논 정부와 달리 이스라엘 정부는 협조를 거 부하였다.124 이에 따라 조사위원회는 이스라엘에 관해서는 정부 및 방위군(Israel Defense Force)이 공식적으로 배포한 자료들을 참고하 는 방식으로 조사를 진행할 수밖에 없었다.125
북한인권 조사위원회의 경우 가장 큰 문제는 그간 유엔 인권메커니 즘을 부정해온 전력에 비추어볼 때, 북한정부가 유엔 조사위원회에 협 조할 가능성이 매우 낮다는 점이다.126 그러나 이것이 조사위원회가 업무를 수행하는 것 자체를 막지는 못한다.
122_ICC, 다르푸르 보고서, paras. 33~34.
123_Ibid., para. 35.
124_UN Human Rights Council, 레바논 보고서, para. 19.
125_Ibid., para. 24.
126_7월 5일에 제네바에서 열린 북한인권 조사위원회의 첫 기자회견에서 커비 위원장은
제네바주재 북한대사관에 서한을 보내 방북 조사 등 협력을 요청하였지만, 북한 측은 협조를 거절하였다고 밝혔다. 커비 위원장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8월 중에 북한을 방문할 수 있도록 북한 정부에 요청할 것이라고 하였다. UNTV CH, Geneva/DPRK, 5 July 2013, <http://www.unmultimedia.org/tv/unifeed/2013/07/geneva-dprk-2/>
(검색일: 2013.7.15).
1 2 3
4 5 6 7 8
앞선 사례들이 조사활동에 있어 현장접근성의 중요성을 보여준다면, 리비아와 시리아의 경우는 조사위원회의 현장접근이 제한적이거나 전 면적으로 차단된 상황에서 조사를 수행하고 결과를 도출해내는 데 있 어 북한인권 조사위원회 활동에 대한 함의를 찾을 수 있다.
리비아는 조사위원회에 대한 현장접근이 허용되기는 하였지만 매우 제한적이었기 때문에, 반정부 시위의 물결이 거세지기 시작한 2월 이 후로는 폭증한 언론의 사건보도가 조사위원회가 활용할 수 있는 자료 를 보충하였다.127 상당수의 영상 및 사진 자료가 개인, 비정부기구, 정 부, 국가과도위원회 등을 통하여 조사위원회로 전달되었다. 결국 조사 위원회의 주된 정보수집 방법은 영상 및 사진 자료를 분석하는 등 다 양한 언론매체에서 얻은 자료를 검토하는 것이 되었다. 수많은 영상 및 사진자료의 진위를 확인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지만, 상당수의 자료 들은 담고 있는 내용 그 자체로 국제인권법과 국제인도법이 위반되었 다는 점을 명백히 입증하였다.128 또한, 조사위원회는 관련된 모든 인 권침해사례를 검토하기 위하여
5,000쪽이 넘는 관련문서, 600개에 달
하는 영상, 2,000장 이상의 사진 등 방대한 양의 자료를 검토하였다.129 시리아 조사위원회는 시리아의 인권침해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방법 으로 주로 목격자 진술에 의존하였다.130 시리아 자체의 접근이 불가 능하고 정부관리나 군·보안세력과의 접촉이 제한되었기 때문에, 조사 위원회는 시리아 내부에 있는 희생자들과 목격자들, 특히 반정부 무장 세력에 의해 직접적으로 인권이 침해당한 피해자들을 대상으로 인터127_UN Human Rights Council, 리비아 1차보고서, para. 239.
128_Ibid., para. 3.
129_Ibid., para. 5.
130_UN Human Rights Council, 시리아 4차보고서, para. 7.
뷰를 수행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131 조사위원회는 2012년 6월 22일 에 바샤르 알아사드(Bashar al-Assad) 시리아 대통령에게 시리아 내 에서의 조사를 수행하기 위한 출입허가를 요청하였지만 아무런 답신 을 받지 못하였다. 마찬가지로 주유엔 시리아대표부에 반복적으로 만 남을 요청하였으나, 면담이 성사되지는 않았다.132 이에 따라 시리아 조사위원회의 구성원들은 난민들의 진술을 수집하기 위해 시리아가 아닌 다른 지역에서 활동을 수행하였다.133 보고서는 희생자 그리고 시리아 내부에 있는 목격자와 인터넷전화 및 유선전화를 통해 제네바 와 시리아 지역 내에서 수행된
445건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작성되었
고, 위원회는 총 1,391개의 인터뷰를 진행하였다.134 아울러 조사위원 회는 사진, 비디오 녹화, 위성사진, 법의학적·의학적 기록과 같은 다양 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조사위원회는 정부 및 비정부 기구의 보고서와 학술자료, 유엔보고서 등도 중요하게 조사하였다.135이처럼 조사대상국 정부의 비협조로 인해 입국 자체가 거부되는 등 직접 조사 수행의 장애가 있는 경우에도,136 유엔 기관이 설립한 조사 위원회들은 다양한 조사방법을 동원하여 사실조사를 효과적으로 수행 해 왔다고 평가된다.137
131_Ibid., para. 5.
132_Ibid., para. 6.
133_Ibid., para. 8.
134_Ibid., para. 1.
135_Ibid., para. 2.
136_이금순·한동호, “최근 국제사회의 북한인권 논의동향,” 통일정세분석 2012-05
(서울: 통일연구원, 2012), p. 24.
137_예를 들어, Human Rights Watch, “Q & A on a United Nations Commission of Inquiry on North Korea,” 21 January 2013, p. 6, <http://www.hrw.org/sites/
default/files/related_material/2013_North_Korea_English%20Language%20Q&
A%20DPRK%20UN%20COI%20for%20Governments.pdf> (검색일: 2013.7.15).
1 2 3
4 5 6 7 8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도 주로 탈북자(피해자의 가족 및 기타 증 인 포함), 변경 지역방문, 그리고 언론 등 간접적인 조사방법을 통해서 다양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조사위원회가 성공적으로 임무를 완수하기 위해서는 현장 접근성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므로, 관련국 및 국제사회 협조가 필수적이라는 점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 이다.138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르완다 조사위원회의 경우 내전에 관 한 관련국들의 정책 변화로 인해 현장 조사 및 접견에 큰 난항을 겪은 바 있으며,139 성공사례로 꼽히는 다르푸르 조사위원회의 경우 현지 방문 조사를 심도 있게 수행하는 등 현장접근성이 높았으며, 인력 지원 도 더 많았기 때문에 양적으로 방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포괄적이고 체 계적인 조사와 분석을 수행한바 있다. 결국 북한인권 조사위원회는 북 한 정권이 비협조적인 태도를 고수한다고 하더라도, 그 임기동안 꾸준 히 북한 정부와 접촉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조사대상국의 협력 여부는 국제법상 가해자들의 형사적 책 임을 묻는다는 측면에서도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심각한 국제범죄 가 발생한 국가는 대부분의 경우 가해자들의 국적국이기 때문에, 이들 국가는 심각한 인권 침해 행위의 책임자들을 조사하고 기소해야 할 의 무가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조사위원회의 활동은 심각한 국제범죄에 대해 기소를 할 개별 국가의 의지 및 능력 여부를 가늠할 수 있는 예비 평가의 역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138_Ibid., Note 39, p. 4; 이에 따라 유엔인권이사회 2013년 북한인권결의는 특별보고관 및 조사위원회가 위임권한을 이행할 시에 이들과 정기적으로 대화하고 협력할 것을 유엔기관들에 장려(encourage)하였다. UN Human Rights Council, 유엔인권이 사회 2013년 북한인권결의, para. 8.
139_Ibid., paras. 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