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민간기업의 활동

Dalam dokumen 통일인프라 구축 및 개선 방안 (Halaman 66-70)

참여정부 하에서 남한의 민간기업들은 상업적 매매거래나 위탁가공, 즉 거래성교역을 통해 북한과 인적, 물적 교류를 활발히 하고 있다. 현대아산 이 추진하고 있는 금강산 관광사업이 일시적 어려움을 극복하고 활성화되 고 있다. 대북 경제협력사업과 관련해서는 2003년 4건의 경제협력사업자 승인과 2건의 협력사업 승인이 있었고, 2004년 1~7월 중 4건의 경제협력 사업자 승인과 4건의 협력사업 승인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목적외 사업이 라는 이유로 기존사업의 1건이 승인취소 되었다.

2002년 10월 발발된 제2차 북핵위기에도 불구하고 참여정부가 출범한

2003년 우리 나라 기업들의 대북 교역은 2002년에 비해 증가하였고 2004 년에도 증가추세에 있다. <표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남북거래성교역은

2002년 3억 4,296만 달러에서 2003년 4억 867만 달러로 19.2% 증가했으

며 2004년 상반기만 3억 2,554만 달러에 달하고 있다. 남북거래성교역에서

46 조선일보, 20047월 4일.

47 조선일보, 20046월 10일.

48 조선일보, 20046월 30일.

특징적인 점은 2002년과 2003년에는 상업적 거래와 위탁가공의 비중이 대 략 1대 1이었으나 2004년 상반기에는 약 4대 1로 상업적 거래가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남한기업의 대북한 상업성 거래의 증가는 남한이 일본과 중국을 제치고 남북교역 사상 처음으로 2003년 북 한의 최대 수출시장이 되는데 기여하였다. 이러한 남북교역에는 2002년 432업체가 572 품목에서 거래한 반면, 2003년에는 481업체가 586 품목에 서 거래하였다.49 남북거래성교역에는 반입과 반출 모두 농수산품과 섬유 류 및 화학공업제품이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표 10> 남북거래성교역 현황

(단위: 천달러)

2002년 2003년 2004년 상반기

반입 반출 반입 반출 반입 반출

상업적

거래 167,400 4,382 171,782 177,441 46,220 223,661 78,502 183,766 262,267 위탁

가공 102,789 68,388 171,177 111,639 73,370 185,009 37,710 25,565 63,276 총계 270,189 72,770 342,959 289,080 119,590 408,670 116,212 209,331 325,543 출처: 통일부 교류협력국, 「월간 남북교류협력 및 인도적 사업 동향」, 156호(2004.

6.1~6.30); 통일부, 통일백서 2004 , p. 170.

현대아산이 추진하여 1998년 11월 관광선을 첫 출항시킨 금강산 관광사 업은 자금난, 북한측의 관광활성화 조치이행 지연으로 관광객이 월 1,000 명까지 감소하는 등 중단위기에 직면하였다. 이에 따라서 국민의 정부는 2001년 6월 금강산 관광사업에 참여한 한국관광공사에 남북협력기금 900 억원을 대출하는 한편, 2002년 1월에는 금강산 관광사업 지원방침을 발표 하고 학생, 교사, 이산가족, 국가유공자, 장애인, 통일교육강사 등의 관광경 비 일부를 남북협력기금에서 지원하였다. 이러한 조치로 관광객이 증가하 였으나 국회가 북핵문제에 진전이 있을 때에 경비지원을 검토한다는 조건

49<http://www.unikorea.go.kr/kr/unipds/unistatistics>.

하에 예산을 삭감하면서 경비지원이 2003년 1월부터 중단되었다. 이후 금 강산 관광사업은 관광객 감소, 사업자의 자금난, 4~6월 사스(SARS)로 인 한 북한측의 일시적 관광 중단, 8월 정몽헌 회장의 사망 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03년에는 육로관광의 개시와 특구개발에 필 요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었다. 금강산 육로관광은 2월 5~6일 사전답사 와 2월 14~16일 시범관광에 이어 일반인 대상 육로관광이 3차례 실시되 어 2003년 말까지 총 34,432명에 달했다.50 금강산 관광사업은 2004년 2/4 분기부터 관광객이 월 15,000명을 상회, 자금수지(수입-지출)기준 자금 과 부족이 없는 상태이다. 따라서 육로관광 정례화 및 당일관광 등 신규상품 개발, 숙박시설 확충 등에 맞춰 단계적으로 수익성 제고가 이루어질 것으 로 전망된다.

이러한 금강산 관광사업은 남북관광교류 활성화에 새로운 계기를 마련 하는 한편, 남북간의 군사적 긴장완화와 협력 증진에도 기여해 오고 있다.

그러나 육로관광ㆍ특구개발 본격화 시에도 북한측이 당초 합의한 9억 4,200만 달러의 대가지급을 요구할 경우 수익성 확보가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금강산여관」 개장으로 숙박난은 완화될 전망이나, 단 체 숙박시설 위주로 일반인 대상 고급 숙박시설이 부족한 상태이다. 휴게 소, 식당, 매점 등 관광 편의시설 혼잡도 더욱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개 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2003년 4건의 경제협력사업자 승인과 2건의 협력사업 승인이 있었

고, 2004년 1~7월 중 4건의 경제협력사업자 승인과 4건의 협력사업 승인

이 이루어졌다. 2003년에는 첫째, 3월 현대아산㈜이 개성 관광사업 협력사 업자로 승인되었는데, 이는 현대아산이 1월 18일 북측 조선아시아태평양 평화위원회와 경의선 철도ㆍ도로를 통한 개성 육로관광 실시에 대해 원칙 적인 합의가 이루어진 데 바탕을 두고 있다. 우리 정부는 현대아산이 금강 산 관광사업 추진실적이 있는 데다 개성관광이 경의선을 통한 남북왕래 증 대는 물론, 북한 관광지역 확대 등의 기대효과가 있는 점을 감안해 협력사

50통일부, 통일백서 2004 , pp. 161~163.

업자로 승인하였다. 둘째, (주)평화항공여행사가 8월 평양 관광사업의 협 력사업자로 승인되었고 이 사업도 승인되었다. ㈜평화항공여행사는 7월 14일 금강산관광총회사와 평양 관광사업 계약서를 체결했으며, 조선아시 아태평양평화위원회 명의의 확인서를 발급받은 바 있다. 이 협력사업에 의 하면 관광자는 한국 국민과 해외동포 2천여 명이고 관광지역은 평양, 남포, 묘향산, 정주, 백두산 중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평양 관광은 당 초 12월까지로 예정되었으나, 10월 말까지 9차례 실시를 통해 1,019명이 관광한 후 북한측 사정으로 중단되었다. 평양 관광은 남북의 항공기가 상 업적 차원에서 교대로 서울과 평양간 직항로를 통해 관광객을 수송하는 선 례를 남겼다. 셋째, 대한광업진흥공사가 9월 북한 정촌 흑연광산 개발사업 자로 승인되었고 이 사업도 10월 승인되었다. 광업진흥공사는 북한 삼천리 총회사와 50대 50의 비율로 510만 달러를 황해남도 연안군 정촌리 일대 흑연광산 개발에 투자하여 향후 20년간 연간 3,000톤씩의 흑연을 채광하 고, 연간 채광량 중 1,800톤을 투자비 몫으로 받아 국내시장에 판매하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넷째, (주)G-한신과 (주)경평인터내셔날은 10월 남북 식품가공업 협력사업자로 승인되었다. 이 두 회사는 북한의 광명성총회사 와 합영방식으로 평양 락랑구역에 식품가공공장을 설립하여 김치와 된장, 상황버섯음료 등을 생산할 계획이다. 생산된 제품은 그 상당량이 남한으로 반입돼 시중 백화점 등에서 판매될 예정이다.51

2004년 1~7월 중에는 첫째, (주)안동대마방직이 2월 북한내 대마재배 및 삼베제품 생산을 위해 250만 달러를 투자하는 사업자 승인을 받았고, 전술한 (주)G-한신과 (주)경평인터내셔날은 3월 식품가공업 사업승인을 얻었다. (주)서진인터크루은 6월 핸드백 등 피혁제품 생산을 위해 800만 달러를 투자하는 사업자 승인과 7월 사업승인을 받았다. 또한 한국환경자 원공사가 110억원을 투자하여 폐비닐 재생처리 공장을 건립·운영하는 사 업자 승인을 7월 받았고, (주)KT도 같은 달 12만 3,000 달러를 투자하여 정보통신분야 공동연구를 하는 사업자 승인과 사업승인을 받았다.52 그러

51통일연구원, 통일환경 및 남북한관계 전망: 2003~2004 (2003), pp. 90~91.

나 인터넷게임 소프트웨어 개발업체로서 2001년 12월 경제협력사업자 및 사업 승인을 받았던 (주)훈넷은 사행성 도박사이트 개발은 목적외 사업이 라는 이유로 2004년 1월 19일 승인이 취소되었다.

Dalam dokumen 통일인프라 구축 및 개선 방안 (Halaman 66-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