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전략
Ⅰ
Ⅱ
Ⅲ
Ⅳ
Ⅴ
Ⅵ
북한 핵문제는 20년 넘게 ‘비확산(non-proliferation)’이라는 시각에서 다뤄졌다. 북한 핵 폐기라는 궁극적 목적을 위해 미국을 비롯한 주변 국가들은 양자 간, 다자 간 외교적 노력에 중점을 두고 단계적 해법을 중심으로 ‘중단→불능화 →폐기’의 수순을 밟아나가고자 했다. 외교적, 정치적 해법은 오히려 북한의 핵 능력을 고도화시키는데 시간을 벌어주 는 결과를 가져왔고, 국제사회는 북한의 핵 능력을 기정사실(de facto) 로 받아 들이고 있다. ‘비확산’ 차원이 아니라 북한 핵 위협을 어떻게 대응해야 할 것인가 하는 ‘반확산(counter proliferation)’ 차원에서 북 핵문제를 바라보기 시작했다.
이번 장에서는 북한의 핵 능력을 외교협상의 ‘바게인 칩(bargain
chip)’이 아니라, 군사전략 차원의 핵 능력 고도화 측면에서 살펴보고
자 한다. 군사전략은 국가전략의 하위개념으로 국가의 중장기적인 종 합계획 하에 군사 분야에서 국가 목표와 국가 이익을 추구하는 것이라 고 볼 수 있다. 김일성과 김정일 시대가 ‘군사·경제 병진노선’을 통해 군사력 증강과 경제력 건설을 동시에 달성함으로써 국가전략을 추구 하고자 했다면, 김정은 시대는 ‘핵·경제 병진노선’을 통해 체제안정 목 표를 달성하고자 한다. 김정은은 2012년 4월 13일 조선민주주의 인민 공화국 헌법 개정을 통해 김일성이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을 창건 했고, 김정일이 선군정치로 정치사상강국, 핵보유국, 무적의 군사강국 으로 전변시키고 강성국가 건설의 대통로를 열어놨다고62 강조한 후, 2012년 12월 장거리 로켓 시험 발사 성공에 이어 1월 23일 유엔안보리 결의안 2087호 발표 직후 외무성 성명, 국방위원회 성명, 조평통 성명 을 통해 6자회담의 9·19 공동성명과 한반도 비핵화 전면 무효화를 선
62_통일법제 데이터베이스, <www.unilaw.go.kr>.
언했다. 2013년 2월 12일 제3차 핵실험을 한 이후, 핵무기의 소형화·경 량화·다종화를 달성했다고 발표했다. 이어서 불능화 되었던 5MWe급 원자로를 재가동 하여 플루토늄의 양을 증대시키는 조치를 취했다며
‘핵 위협의 신뢰성’을 꾸준히 증대시켜나가는 정책을 취하고 있다.
비록 현재 북한의 핵 능력을 구체적으로 평가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북한은 핵무기를 정치·군사적 억제 수단 차원에서 영국이나 프랑스처
럼 2차 핵 능력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1차 공격 능력으로 인식하고
핵 능력 강화와 전략·전술 핵무기를 향한 대량생산, 그리고 핵 투발 수 단의 3축 체계를 완성시켜 나가고자 하는 것처럼 보인다. 북한은 핵 능 력을 군사전략으로 발전시켜나가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핵무기는 테일러(Maxwell D. Tayler) 장군이 정의한 이래로 대부분의 군사 전 략가들이 공통적으로 적용하는 군사전략의 3요소인 목표와 수단, 방 법63을 다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핵무기의 가공할만한 파괴력은 비록 우리가 그 공격목표를 인지한다고 할지라도 핵무기 사용에 따른 공포 감 확산이 우리 국민과 주변국가들, 그리고 전 세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예측할 수 없게 한다. 군사전략의 두 번째 요소인 ‘수단’은 이전 에 사용되지 않았던 무기체계를 사용하면 적보다 월등한 전투력을 발 휘하여 쉽게 이길 수 있다는 것으로서 북한은 우리가 보유하지 않고 있는 WMD 능력으로 남북 간의 비대칭 전력의 차이를 벌리고 있다.64 군사전략의 세 번째 요소인 ‘방법’ 측면에서 보면 우리가 비록 미국의 핵우산 아래에 있고 강력한 한미동맹의 ‘맞춤식 확장 억제 전략’하에 북한 핵 위협에 대응하고 있지만, 민주체제인 한미동맹은 핵무기 사용
63_김정익, “군사전략과 합동작전개념의 차이,” KIDA 주간국방논단, 제1528호 (한 국국방연구원, 2014), pp. 3~4.
64_박영택 외, 남북한 군사력의 현재와 미래 (서울: 한국국방연구원, 2010), pp. 107~109.
Ⅰ
Ⅱ
Ⅲ
Ⅳ
Ⅴ
Ⅵ
에 매우 신중한 접근으로 대응하고 있는 반면, 독재체제인 북한은 핵무 기 사용위협에 보다 자율성을 갖고 자유롭게 접근하고 있기 때문에 핵 무기 운용성에서 북한의 자율성이 보다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장에서는 북한이 핵개발 이후 군사전략에 핵 능력을 통합 해서 군사전략의 변화를 추구하고 있는데 초점을 맞추어 북한 군사전 략의 질적 변화를 추적해보고, 북한이 어떠한 방향으로 핵전략을 발전 시켜 나갈 것인지를 살펴보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