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소득분배율을 상승시킨다.

제2절 분석대상 및 방법

하고 변수들 간 내생성(endogeneity) 문제를 해소할 필요가 있다.

즉, 각국의 관측되지 않는 개별속성을 통제하지 않고 내생성을 고려 하지 않는 경우, 잘못된 분석결과가 도출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본 연구는 OECD 국가를 분석대상으로 패널 데이터를 구성 하였는데, 다양한 설명변수를 고려하였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국 의 특수성을 반영하기 위한 추가적인 설명변수 도입의 필요성이 존 재한다. Mercade-Prats & Levy(2004)는 조세 및 공적이전의 소득불 평등 개선효과는 국가의 특성에 강한 영향을 받는다는 연구 결과를 도출한 바 있다. 각국의 관측되지 않는 개별특성은 오차항의 고정된 개체특성을 통제함으로써 해소할 수 있다.

소득분배에 영향을 미치는 정책을 평가하는 데 있어 중요하게 다 루어야 할 문제는 내생성의 존재이다. 일반적으로 설명변수가 종속 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를 상정하고 실증분석을 수행하지만, 이 러한 방식은 종속변수가 설명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가 있는 경 우 설명변수의 종속변수에 대한 인과관계가 실제로 존재하지 않음 에도 불구하고 추정계수들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도출될 가능성 이 존재한다. 특히, 본 연구의 경우 노동소득분배율이 소득재분배정 책 및 노동정책에 영향을 미칠 개연성이 높기 때문에, 내생성을 통 제할 필요성이 더욱 증대한다.

소득불평등이 조세구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Atkinson &

Stiglitz(1976)의 연구는 수평적 형평성(horizontal equity)에 대한 고 려가 직접세와 간접세 구성과 관련한 조세구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밝힌 바 있으며, Adam et al.(2015)은 회귀분석을 통하여 소 득불평등이 조세구조에 미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도출하

30) 이는 누락변수로 인한 편의(omitted variables bias) 문제와 연결된다.

였다.

종합하자면, 본 연구에서 밝히고자 하는 소득재분배정책과 노동정 책이 노동소득분배율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각국의 관 측되지 않는 이질성과 내생성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분석방법을 채택할 필요가 있다.

한편, 최소제곱법(Ordinary Least Squares: OLS)은 각국의 개별 특성과 내생성을 고려하지 못하며, 고정효과 모형(fixed effect model) 및 확률효과 모형(random effect model)은 각국의 개별특성 을 고려하나, 내생성을 통제하지 못한다. 즉, 종속변수와 설명변수 간 상관관계에 기초하여 추정계수를 산출하기 때문에 이러한 내생 성 문제를 해소하기 어렵다. 내생성이 존재하는 경우 설명변수와 오 차항 간 상관관계는 0이 아니게 된다.

반면에 일반화 적률법(Generalized Method of Moments: GMM)에 서는 오차항과 도구변수(Instrumental Variables: IV) 간 연관성이 없는 조건에서 추정계수를 산출한다. 다시 말해 도구변수에 종속변 수의 과거 값(lagged value)을 포함하면 설명변수와 오차항 간의 상 관관계는 거의 0에 가깝게 되며 내생성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된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인 노동소득분배율에 영향을 미치지만, 반대로 노동소득분배율이 독립변수에 미칠 수 있 는 효과가 존재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음을 고려한다. 즉, 일반화 적률법을 이용한 추정결과 도출을 통해 오차항이 설명변수에 미칠 수 있는 효과를 배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방법인 시스템(system) 일반화 적률법은 차분(difference) 일반화 적률법에 비해, 추가적인 도구변수 를 사용하기 때문에 차분 일반화 적률법보다 더 효율적인 추정량으

로 평가된다.

이상의 논의와 관련하여 실증분석을 위해 설정한 추정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는 상수항,





국의 노동소득분배율,



는 GDP 대비 개인소득세 비중,



는 GDP 대비 법인소득세 비중,



 GDP 대비 사회복지지출 비중,



는 GDP 대비 적극적 노동시 장정책지출 비중,



는 GDP 대비 소극적 노동시장정책지출 비 중,



는 정규직에 대한 고용보호의 엄격성,



는 임시직에 대한 고용보호의 엄격성,



는 통제변수의 벡터 값,

는 오 차항31))

제3절 변수의 선정 및 측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