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소득재분배정책의 노동소득분배율에 대한 효과

이상의 분석틀에 근거하여 소득재분배정책과 노동정책이 노동소 득분배율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한 가설을 소득재분배정책과 노동정책 순으로 설정하였다.

우선 소득재분배정책이 노동소득분배율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가 설의 서술에 앞서, 개인 간 소득분배와 기능 간 소득분배의 상관관 계를 고려할 때, 소득재분배정책의 개인 간 소득분배에 대한 효과를 기능 간 소득분배에 대한 효과로 간주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소득재분배정책으로 분류되는 조세정책과 사회복지정책의 소득분 배효과에 대하여 상반된 연구결과가 존재하기는 하나, 소득재분배정 책의 개인 간 소득분배효과를 긍정하는 실증연구(Kakwani, 1977;

Eichhorn et al., 1984; Sarte, 1997; Piketty & Saez, 2001; 김진욱, 2004; 성명재·박기백, 2008; 이동진·김상헌, 2008; 여유진, 2009; 김연 희·이희선, 2009; 서한석, 2015)가 다수를 차지한다. 소득재분배정책 의 소득분배효과를 긍정하면서, 저소득층의 근로소득 증대가 개인 간 소득분배와 기능 간 소득분배 양자 모두에서 중요한 요소라고 할 때, 소득재분배정책의 노동소득분배율 상승효과를 긍정할 개연성 이 강할 것이다. 반면, 소득재분배정책에 대하여 단기적인 소득재분 배효과를 긍정하나, 장기적으로 의도한 소득재분배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것임을 지적한 연구(Becker & Tomes, 1979)가 존재하며, 개발 도상국의 경우, 소득재분배정책의 효과성을 입증하기 힘들다는 연구

(Chu et al., 2000)도 있다.

하지만 노동소득의 발생이 고용을 전제로 한다는 점을 고려할 경 우, 소득재분배정책의 노동소득분배율 제고효과는 복잡한 양상을 보 인다는 점을 지적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양상은 소득재분배 정책을 구성하는 개인소득세, 법인소득세 등 조세정책과 사회복지정 책 각각의 고용효과를 고려함으로써 그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먼저 개인소득세의 고용효과에 대하여 근로장려세제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근로장려세제 도입에 따른 노동공급 증대가 유발하는 노 동소득분배율 상승가능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많은 실증연구들 (Dickert et al., 1995; Eissa & Hoynes, 1998; Ellwood, 2000;

Grogger, 2003; 박상현·김태일, 2011; 정의룡, 2014)은 근로장려세제 의 노동공급 효과를 긍정하고 있다. 따라서 근로장려세제를 중심으 로 한 개인소득세의 강화는 개인소득세의 누진성과 노동공급 효과 를 동시에 고려할 때, 노동소득분배율을 상승시킬 것으로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반면, 법인소득세의 고용효과에 대해서는 법인소득세 강화가 고용 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지적한 연구(Harden & Hoyt, 2003; Ljungqvist & Smolyansky, 2014; 이철인, 2006; 조경엽·오태 연, 2012; 김동훈, 2015)가 대부분이었다. 법인소득세는 노동수요 감 소를 유발하여 고용을 저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23). 특히, 조경엽·오 태연(2012)이 지적한 바와 같이 법인소득세 강화의 효과가 저소득층 근로자에게 상대적으로 더 크게 전가될 수 있음을 고려한다면, 법인

23) 이러한 연구결과는 법인소득세의 고용효과에 관한 고전적 논의인 Harberger(1976)를 도입하여 생각해 볼 때, 현실에서 법인소득세 변화에 따른 산출효과가 노동-자본 간 대체효과를 압도한다는 사실을 반증하는 것으로 생각 해 볼 수 있다.

소득세의 강화는 오히려 소득분배를 악화시킬 수 있다. 한편, 성효 용(2012)은 법인소득세가 고용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지 않다는 결론을 도출한 바 있다.

가설 1-1-1: 개인소득세의 강화는 노동소득분배율을 상승시킨다.

가설 1-1-2: 법인소득세의 강화는 노동소득분배율을 하락시킨다.

소득재분배정책 중 사회복지정책은 가처분소득을 기준으로 한 개 인 간 소득분배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사회복지정책 의 강화에 따른 근로의욕의 저하는 노동공급 감소를 유발하여 노동 소득분배율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리고 많은 실증연구들이 사 회복지정책의 노동공급 감소효과를 보고한 바 있다(Danziger et al., 1981; Moffitt, 1992). 한편, 사회복지정책이 근로자의 노동공급에 영 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연구(이상은, 2004; 김을식, 2008)도 존재하는 데 반해 사회복지정책의 긍정적 노동공급효과를 도출한 연구는 찾 아보기 힘들다. 종합하자면, 사회복지정책의 강화는 개인 간 소득분 배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부정적 고용효과 혹은 고 용효과의 부존재로 인해 노동소득분배율을 개선시킬 개연성을 상실 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사회복지지출의 증가가 노동소 득분배율에 미치는 총 효과는 불명확하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 과를 보이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가설 1-2: 사회복지정책의 강화는 노동소득분배율에 영향을 미치 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