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1) 분석을 위한 전제 : 커뮤니티 형성

본 연구에서는 신도시에서 근린생활권 공원녹지가 주민 참여기반의 커뮤니 티 형성에 있어 중요한 매개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 그 형성과정과 영향을 미 치는 요인을 밝히고자 한다. 또한 커뮤니티 형성을 통해 근린생활권 공원녹지의 기능과 역할이 어떻게 변화되는지 밝히고자한다.

분석에 들어가기 앞서 본 연구는 ‘신도시에서 커뮤니티 형성은 근린생활권 공 원녹지에 기반한 주민참여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라는 명제를 가설로 설정하였다.

여기서 커뮤니티 형성의 의미는 다시 논의하기로 하고, 본 연구에서는 커뮤니티 형 성을 두 가지 측면에서 논의 하고자 한다.

첫째, 구성원들이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협력적 활동을 기반으로 하는 결사체적 측면의 좁은 의미의 커뮤니티.

두 번째, 이렇게 구축된 결사체적 커뮤니티를 촉매로 근린 범위를 대상 으로 공동의 연대와 상호작용이 기반이 되는 주민사회.

본 연구에서 첫 번째 좁은 의미의 커뮤니티는 참샘을 사랑하는 모임과 첫마을 공동체와 같은 자발적 주민공동체가 해당된다. 두 번째의 커뮤니티는 주민공동체가 근린생활권 공원녹지를 기반으로 공동의 연대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지역 기관, 주 민조직 그리고 공원녹지 이용자들이 포함된다. 이러한 두 번째의 커뮤니티는 주민 공동체 활동에 의해 확장되고 연대 수준이 높아질 수 있다고 가정한다.

(2) 자료수집 및 분석

본 연구는 참여관찰을 기반으로 심층인터뷰를 통해 조사하여 자료를 수집하였 다. 분석대상으로 삼은 주민공동체는 2개인데, ‘첫마을 공동체’의 경우 본 연구자는

2017년 1월부터 회원으로 참여하고 있고, ‘참샘을 사랑하는 모임’은 조사를 위해 2017년 5월부터 10월까지 자원봉사자로 참여하였다. 본 연구자의 공동체 내 참여 수준은 ‘첫마을 공동체’의 경우 적극적 구성원(Active Membership)이며, ‘참샘을 사랑하는 모임’에서는 주변인(Peripheral Membership)으로 참여하였다.68) 참여관찰 을 통한 자료수집은 ‘참샘을 사랑하는 모임’의 경우 2017년 5월부터 10월까지 6회,

‘첫마을 공동체’의 경우 2018년 3월부터 2018년 8월까지 9회 활동자들과 주민들의 행위를 관찰하고 이를 일지로 기록하였다. 참여관찰은 외부의 시각이 아닌 내부의 시각으로 현실을 인지할 수 있어 사례연구의 현장을 정확하게 그려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Yin, 2012). 하지만 피관찰자 입장을 옹호하거나 조직의 옹호자가 될 수 있어 편향적 판단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Becker,1958).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인터뷰 대상을 확대하였고 인터뷰 자료는 객관적 인 문서와 기록물의 자료를 통해 사실관계를 확인하였다.

사례연구는 사람들의 일상 또는 인간 행위를 다루기 때문에 인터뷰는 핵심적 자료원이 될 수 있다(Yin, 2012). 본 연구에서도 인터뷰 자료를 핵심 자료원으로 활용하였다. 인터뷰는 심화인터뷰(in-depth interview)로 질문방향을 일관성 있게 유지하기 위해 반구조화 된 질문형식으로 진행하였지만 흐름이나 내용이 경직되지 않도록 유연한 대화방식을 취하였다.

조사 전 연구의 취지를 설명하고 동의하에 진행하였다. 인터뷰 진행시 동의를 구하고 녹취하였으며 녹취한 것은 전사하여 자료화 하였다. 하지만 응답자가 녹취 를 원치 않을 경우 수기로 기록하였다.69) 각 주민공동체 리더들의 경우 인터뷰 전 예비조사를 먼저 실시하였으며, 인터뷰 시간은 3시간 이상 충분히 진행했다. 리더 외의 공동체 구성원들은 주로 리더들에게 추천 받았으며, 본 연구자가 공동체에 참 여하는 과정에서 확인한 주요인물을 중심으로 진행하였고, 조직 내 역할과 인구학

68) 참여관찰에서 연구자는 크게 주변인(Peripheral Membership), 적극적 구성원(Active Membership), 완전 참여자(Complete Membership)로 분류되는데, 주변인은 집단이나 조직 활동에 제한적으로 참여하고, 적극적 구성원은 집단이나 조직의 참여자로서 특정한 기능적 역할을 담당하되 자신을 완전히 몰입시키지는 않는다. 완전 참여자는 자신을 그룹이나 집 단에 완전히 몰입시키며 참여한 집단의 구성원들에게 완전히 수용된 상태이다. 이는 집단 의 주관적인 관점이 반영되어 충분한 자료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going native 현상이 발생하여 연구자와 참여자의 역할을 혼돈할 수 있는 위험성이 존재한다 (Robert Yin, 2012)

69) 다만 참사모 E,G,J는 그룹 인터뷰로 진행하였다.

적 비율을 고려하였다. 인터뷰 내용에서 사건에 대한 경위를 설명할 때 대상자들의 잘못된 기억이나 부정확한 설명은 문서70)와 기록을 통해 비교하여 확인하였다.

대상 인터뷰 주요 질문 항목

주민공동체

1) 공동체가 형성(또는 참여) 동기, 2) 공동체 활동목적 및 내용 3) 공동체 활동으로 인한 공원환경 및 이용행태 변화

4) 조직 운영방식 및 사회적 네트워크 현황 5) 행정지원 인식 및 제도적 한계점 6) 기본인적사항

이해관계자

1) 공동체 활동 및 공원사업 지원 내용, 2) 공원 관리운영의 차별성 및 이용 활성화 영향 3) 공동체 협의 과정 제도적 한계점

주민, 이용자 1) 공원(참샘) 이용 동기 및 형태, 2) 공원 환경의 특이점 3) 주민공동체 활동에 대한 인식, 4) 주민공동체활동 영향 표 3-4 인터뷰 주요 질문

이해관계자들은 공공부문의 담당자들로서 1시간 전후의 단기 인터뷰로 진행하 였다. 신도시 개발 주체인 건설청과 LH의 인터뷰 대상자는 주로 참샘 복원과 관련 된 당시의 담당자들이다. 이들은 오랜 시간이 지났음에도 비교적 당시 상황을 잘 기억하고 있었다. 건설청 관계자는 대면방식으로 진행하였고 LH 관계자들은 현재 타시도에 근무 중인 관계로 전화인터뷰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세종시와 한솔동 인터 뷰 대상자는 2017년부터 2018년 동안 해당 부서에서 근무한 관계자들이다. 한솔동 관계자들은 2016년도 이전의 사항에 대해서는 이해도가 낮았으나 공원관리과 등 세종시 관계자들은 2014년부터 관련 부서에 지속적으로 근무하고 있어 관련사항에 대한 이해도가 높았다. 시의원의 경우 초기입주시기부터 한솔동 주민자치활동에 참 여하여 관련 사항에 대한 이해도가 높았다.

주민들은 마을활동가들과 공간이용자들로 나누어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마을활 동가들의 경우 지역 내 사안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대상 주민공동체를 오랜 기간

70) 참샘을 사랑하는 모임은 조직 창립이후 2013년 8월 2일 다음카페 http://cafe.daum.net/hansolchamsamo를 개설하여 지금까지 운영중으로 매주 활동일지를 기록하였다. 첫마을공동체는 2012년 6월 25일 다음커페 http://cafe.daum.net/sejongfirst 를 개설하여 운영하다. 2015년 3월 8일부터 네이버 밴드 http://band.naver.com/5rOR 95U0 를 중심으로 운영 중이다.

대상 나이/성별 특징 일시 시간

공동체 (20명)

참사모 A B C D E F G H I J

60대/여 60대/남 50대/남 60대/남 40대/여 60대/남 40대/여 70대/여 60대/남 70대/여

원주민/회장 원주민 원주민 원주민 이주민 이주민 이주민 원주민 이주민 이주민

17.5.17/18.7.3 17.6.3 17.6.28 17.6.10 17.6.17 17.6.13 17.6.17 17.7.15 17.7.8 17.6.10

4h24m 3h25m 1h52m 1h14m 1h03m 1h34m 1h01m 1h02m 45m 53m

첫마을 공동체

A B C D E F G H I J

50대/남 40대/여 30대/여 40대/여 40대/여 50대/여 40대/여 40대/남 40대/여 40대/여

회장 회원 회원 회원 회원 회원 회원 회원 회원 회원

18.6.29 18.6.25 18.6.26 18.7.1 18.7.3 18.7.5 18.7.9 18.7.9 18.7.16 18.7.16

3h58m 1h39m 1h23m 1h04m 1h02m 1h07m 1h30m 1h28m 1h21m 1h34m

공공 이해관계 (12명)

건설청 A

B

60대/남 50대/여

전 관리자 전 담당자

17.7.5 17.7.28

2h48m 1h15m LH

A B C

60대/남 40대/여 50대/남

전 책임관리자 전 담당자 전 담당자

18.7.6 18.7.6 18.8.14/9.10

48m 31m 33m

세종시 A B C D

40대/남 40대/남 30대/여 40대/남

공원관리과 공원관리과 지역공동체과

시의원

18.7.17 18.4.17 18.6.29 18.6.30

1h20m 1h10m 48h 1h26m 표 3-5 인터뷰 대상자

경험한 지역주민들이다. 이들은 지역사회에서 바라보는 주민공동체 활동에 대해 균 형있는 시각으로 진술하였다. 그리고 공원녹지공간의 이용자나 프로그램 참여자들 은 무작위로 선별하여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에 주민공동체 활동자 20명, 관련 이해관계자인 행정 기관 내 공무원 12명, 지역 주민 및 공원이용자 19명, 총 51명을 대상으로 표와 같이 심층 인터뷰를 진 행하였다71).

71) 세종시 A,B 그리고 한솔동 A는 녹취하지 못하고 수기로 인터뷰 내용을 정리하였다.

한솔동 A B C

50대/여 40대/여 50대/남

책임관리자 관리자 순찰경찰

17.10.5 18.6.27 18.4.18

31m 1h08h

36m

지역 주민 (19명)

주민 조직

A B C

60대/남 40대/여 40대/남

전 주민자치위원장 자원봉사플랫폼 담당자

마을활동가

18.7.4 18.7.11 18.7.20

1h25m 1h32m 1h20m

공원 이용자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40대/남 40대/남 70대/남 70대/남 30대/여 50대/여 50대/남 50대/남 70대/남 80대/남 30대/여 30대/여 40대/여 40대/여 40대/여 40대/여

부강면, 자전거이용자 한솔동, 산책,취수

전의면, 산책 한솔동, 산책 대전, 휴식 고운동, 자전거이용자

한솔동, 산책 한솔동, 취수 한솔동, 취수 한솔동, 산책 한솔동, 숲프로그램참여 한솔동, 숲프로그램참여 한솔동, 숲프로그램참여 한솔동, 벼룩시장 참여 한솔동, 벼룩시장 참여 한솔동, 벼룩시장 참여

17.7.8 17.7.8 17.7.15 17.6.28 17.7.15 18.6.30 18.6.30 18.7.4 18.7.4 18.7.20 18.7.4 18.7.5 18.7.5 18.9.1 18.9.1 18.9.1

32m 45m 31m 58m 31m 43m 35m 30m 38m 32m 1h23m

58m 1h24m

32m 34m 31m

수집된 자료는 개인별로 대화록을 정리하여 각 문장별로 개념화 하였다. 자료를 코딩화하여 대상공간 단위로 분류하여 공동체-행정조직-주민별로 자료를 정리하였다.

각 인터뷰 자료는 개념화된 코딩을 근거로 관련 내용별로 분류하여 상호 비교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내용을 범주화하였다. 범주화된 내용은 문서자료, 기록자료, 참여관찰 자료와 비교하여 사실 관계를 확인하였고 내용을 보완하였다. 이렇게 분류 및 범주화 된 자료는 연구 분석 요소 별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각각의 자료원을 별도로 분석하 지 않고 범주화를 통해 상호 관련성을 따져 복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림 3-12 자료 분석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