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해외 신도시 공원녹지계획의 특성
① 기존 녹지 및 지형 활용을 통한 이상적 전원도시 구현
웰윈(Welwyn), 할로우(Harlow) 등 정원도시로 계획된 영국의 초기 신도시를 살펴보면 소규모, 저 밀도의 구조로 기존의 자연지형과 기후조건이 계 획수립에 큰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주로 쾌적한 계곡지형에 조성되었고 기존의 숲과 강 등 의 자연환경을 계획적으로 반영해 도시의 경계 역 할뿐 아니라 녹지, 농경지 보호역할을 수행하게 했 다(Pierre Merlin, 1976). 그림 2-3과 같이 할로우
31) 세종시 행정중심복합도시 중심공원인 호수공원에서 자원봉사단체가 운영되고 있는데, 생태모 니터링, 청소관리, 미아방지프로그램 등 운영비에만 연간 1천만원을 지원하고 있다. 그리고 화성 동탄 신도시 비학산 공원에서는 청소년교육센터에 위탁해 생태프로그램을 진행 중이다.
32) 국내 도시 내 주민참여형 공원관리 시스템은 자원봉사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현재 서울시 에서는 공원볼보미가, 수원시에서는 공원사랑시민모임이, 대구시에는 내동네내공원가꾸기모 임 등이 운영되고 있다. 서울시는 2013년부터 공원돌보미(Adopt-A-Park)사업을 추진하고 있는데, 자치구 관리 하에 있는 근린공원, 소공원이 그 대상이며 각 자치단체 푸른도시과 공 원팀과 각 공원녹지사업소에서 관리하고 있다. 진행은 최소 1년 기간에 대해 협약하고 있으 며 일상적인 청소관리를 지원하고 있다. 지원은 청소물품이 제공되고 봉사시간 인증서를 발 급하고 있다. 또 기업이나 종교단체 등의 단체가 협약 시 문화행사로 무료로 공원을 이용할 수 있는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다.(육은정, 2014) 하지만 일본의 공원애호회와 같이 활동비 지급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데, 영국과 미국처럼 기금 지원이 없는 상태에서 협약 주체의 자발성만 기대하고 있어 주체의 역량에 따라 관리 정도의 차이가 크다.
(Harlow)의 녹지계획을 살펴보면 도시 내부적으로 근린주구 단위의 경계가 녹지를 통해 형성된다. 이러한 전원적 도시경관 구현은 이후 텔포드(Telport), 밀톤케인즈 (Milton keynes) 등의 대규모 신도시 계획에도 유지되며 프랑스 등 여타 유럽 국 가에도 구현된다.
이러한 전원도시의 구현은 일본의 신도시 계획 전반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일본의 대표적 신도시인 타마뉴타운(多摩ニュータウン)33)의 경우 기존 미나미 타마 구릉이라는 지형적 특성을 반영하여 계획의 기본 방침이 ‘타마의 뛰어난 자연 환경 과 조화를 이룬 주거 환경을 갖추고, 녹지를 최대한 보전하여 역사적으로 축적된 기존의 집적을 활용한다.’였다. 이를 위해 균등하게 분산된 인위적인 공원녹지가 아 닌 원형지를 활용하여 지역골격을 형성하게 했다. 1977년에 계획된 타마 뉴타운 서부지역의 경우 공원녹지의 50%를 원형 수림지를 보존해 활용하였다. 이러한 기 존 녹지 및 지형 보존은 최근까지 이어지고 있다.
그림 2-4 타마뉴타운 오픈스페이스 계획도
(출처:TAMA NEW TOWN SINCE1965( UR都市再生機構))
2000년대 계획되어 조성중인 카시와노하 국제캠퍼스타운(柏の葉国際キャンパス タウン)의 경우 ‘녹지보존과 지속형 개발에 의한 환경과 공생하는 전원도시 만들기’
를 첫 번째 계획목표로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기존 지형과 농지 그리고 녹지 등을 자원화하여 녹지 네트워크와 연계시켜 보존하고 있다. 또 계획적으로 녹화를 강화하고 있는데, 도시 녹지율 40%, 마을지구 녹지율은 25%를 유지하고 있다. 세 부 계획으로 「공공공간 중심의 골격적인 녹지 네트워크 보전 및 창출」, 「민간녹
33) 일본 신도시의 경우를 50년대 고도경제 성장 이후 대도시의 인구 집중으로 심각한 주택난 과 부동산 폭등 등을 해결하기 위해 신주택시가지 개발법이 1963년에 제정된다. 타마 뉴타 운은 개발면적 2.884ha, 인구 34.2만 규모로 계획된 시업기간이 40여년(1966-2008)동안 진행된 일본의 대표적인 신도시 계획이다.
지의 보존과 창출을 유도한 녹지환경 형성」, 「농지 보존 활용시스템」등이 나누 어져있다. 녹지 계획안에서 주목할 부분은 공공기관과 민간의 공원의 지속적인 유 지관리를 위한 방안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다.
② 그린 네트워크 시스템과 복합화를 통한 공원녹지의 기능 강화
공원녹지가 신도시 중심 기반시설에 포함되는 데 중요하게 작용한 부분은 바로 권역별 체계에 기반한 네트워크 시스템이다. 공원녹지는 일반적으로 대규모 의 중앙공원과 중규모의 지구공원, 소규모의 로컬 공원으로 체계화 된다. 이러한 특성은 신도시 계획에서 보다 유기적인 형태로 적용되고 60년대 이후 신도시가 대규모로 개발되면서 시스템화 된다. 예컨대 영국의 텔포드(Telford) 신도시, 밀 톤케인즈(Milton keynes) 신도시 등에서 공원녹지 시스템이 도시 내부 네트워크 의 중요한 기반이 됨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텔포드(Telford) 신도시의 경우 과 거 왕립산림지역을 활용하여 도시 산림 구조와 공공의 열린 공간의 계층적 체계 계획(Landscape Structure Plan)을 구축하였다. 도시차원에서 180ha에 달하는 중앙 공원이 생활권 단위의 공원들과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오픈스페이스 네트워 크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 밀톤케인즈(Milton keynes) 역시 다양한 공원유형 을 통해 도시전체에서 생활권 단위를 연계하여 구성하고 있다.34) 선형공원 (Linear parks), 도시가로경관(City Road Landscape) 개념을 통해 기존 자연을 보존한 야생지역이나 대규모 중심녹지35)와 네트워크화한 그린인프라가 특징이다.
이러한 선형공원은 기존의 수계를 따라 야생자연과 역사문화 공간을 보존하고 있고 여가공간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일본의 신도시 경우에도 이러한 특성이 잘 나타내고 있는데 코호쿠 뉴타운(港北ニュータウン)36)의 경우 ‘그린 매트릭스 시스 템’을 통해 녹지공간을 체계화하고 폭 10~40m의 녹도를 연결해 주택단지 내 기
34) 공원녹지가 전체 면적의 20%이나 이러한 규모적 특성으로 공원녹지 비율은 우리나라 2기 신도시 공원녹지 비율보다 낮으나 주거지역 내 녹지율이 높고 초저밀도로 계획되어 체감되 는 녹지 공간은 훨씬 크다.
35) 밀톤케인지 오픈스페이스 유형은 Areas of Wildlife interest, Destination and Country parks, Linear parks, Allotments, Transport Corridors, Outdoor sports facilities and playing fields, Civic space, Cemeteries and church yard로 분류된다.
36) 『日本のニュータウン開発と ㈱市浦ハウジング&プランニングの取り組み(일본의 뉴타운 개발과 (주) 市浦 하우징 및 기획 활동)』(2016) 참조
존 수림을 보존하고 이를 공공의 녹지체계와 연계한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네트워크 시스템은 체계화된 공원녹지를 통해 이용성이 보다 강조되는 데, 오픈스페이스는 주민들이 모이는 커뮤니티의 핵심공간으로 활용되기 위한 계획 적 특성이 나타난다. 밀톤케인즈(Milton keynes)는 레드웨이(Redway)37)라는 보행 자 및 자전거 도로를 연계시켜 생물다양성을 확보하고 주민들의 사회적 만남을 촉 진하고 있다. 시설배치 차원에서 보면 상업시설, 공공시설 등과의 연계를 시도하였 다. 그리고 커뮤니티 센터를 공원녹지와 연계시켰고 주변에 주차장, 시민농장 등을 배치하여 커뮤니티 공간으로의 활용도 고려하였다. 특히 Allotments이라는 시민 농장 및 정원은 주민들의 지속가능한 건강과 사회적 포용을 목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코호쿠 뉴타운(港北ニュータウン)의 경우 공원녹지를 주택지 내 민간 소유의 녹지와 묶어 녹도로 연계 시키고, 신사 등의 역사 문화 자산과 수계, 보행자 전용 도로 등의 보행 공간과 결합시켰다. 이를 통해 한정된 공간 속에서 최대한의 여가․
레져 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을 구축하였다. 카시와노하 국제캠퍼스타운(柏の葉国 際キャンパスタウン)의 경우 공원녹지 계획이 ‘건강하고 쾌적한 삶을 위한 생활공간’
으로 이곳은 보행환경 계획과 잘 연계되어 있다. 자연환경과 일체가 된 가로공간형 성, 연결녹지를 통한 공원과 주거지 연계, 공원의 접근성을 높이는 게이트 공간 조 성 등 공원녹지의 활용을 생활단위에서 극대화 하고 있다. 또한 걷기 정보 제공, 도 시농업, 다양한 이벤트 등의 활동프로그램이 공원녹지 활용계획차원에서 적극적으 로 도입되어 있다. 미국의 대표적인 계획도시인 얼바인시(City of Irvine)의 경우 생 활권단위에서 계획이 두드러지는데, 생활권 단위에서는 근린공원(Neighborhood Park)과 커뮤니티공원(Community Park)으로 체계화 되어있다.38)
근린공원은 주거지와의 접근성을 섬세하게 고려하여 조성되어 있고, 커뮤니티 공원은 지역사회의 공공성을 고려해 개방성과 접근성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특히 커뮤니티센터, 공공도서관, 예술공간 등의 시설과 복합 배치하여 시설의 공공성과
37) 레드웨이(redways)는 총 225km로 연결되어 있고 이는 550 km의 공공보행로(public rights of way)와 연계되어 있다.
38) 얼바인시는 공원체계를 도시 단위의 지역오픈스페이스, 지역공원(Regional Park) 과 생활권 단위의 커뮤니티공원(규모 20에이커 이상) , 공공근린공원(4에이커 이상), 사립근린공원으로 계획되어 있다. 배치기준은 커뮤니티공원 1-1/2마일, 근린공원은 1/2-1/4마일이다. 현재 19개의 커뮤니티 공원과 38개의 공공근린공원, 180개의 사립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출처:
www.cityofirvin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