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V. 효과성 분석
3. 사용된 자료
- : 산업군 ①(단절점 ②)에서 발생하는 사회보험료세액공제 제도 등 의 청년고용 증대효과
- : 산업군 ②(단절점 ③)에서 발생하는 사회보험료세액공제 제도 등 의 청년고용 증대효과
- : 산업군 ③(단절점 ④)에서 발생하는 사회보험료세액공제 제도 등 의 청년고용 증대효과
- : 산업군 ④(단절점 ⑤)에서 발생하는 사회보험료세액공제 제도 등 의 청년고용 증대효과
- : 산업군 ⑤(단절점 ⑥)에서 발생하는 사회보험료세액공제 제도 등 의 청년고용 증대효과
나. 분석 범위
□ 회귀단절모형(RDD)을 이용한 분석은 각 단절점으로부터 매출액이 ±5%, 7%, 10%
내에 존재하는 관측치들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함
○ 표본선정 반경이 좁을수록 관측치들 간의 유사성이 높아져 상대적으로 내생성 문제를 상당히 완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 하지만 표본선정 반경이 지나치게 좁으면 분석을 위한 충분한 관측치를 확보 할 수 없다는 단점 역시 존재함
□ 청년고용증대세제 로 인한 청년고용 증대효과는 전년도 대비 당해년도의 청년고 용량 차이를 이용하여 청년고용 증대효과를 추정할 수 있어 제도를 시행하지 않 은 2015년과 제도를 시행한 2016년도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제도시행 여부가 청년 고용 증대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함
○ 청년고용증대세제 와 마찬가지로 기업규모별로 세제혜택을 차등지원하는 다 수의 조세특례가 존재하기 때문에 회귀단절모형(RDD)을 통한 분석에서 각 단 절점에서 나타나는 청년고용 증대효과를 모두 동 제도로 인한 효과로 해석하 는 것에는 무리가 있음
○ 다만 2015년과 2016년 사이에 다른 제도들은 크게 변하지 않았고 실질적으로 청년고용증대세제 가 2016년도부터 시행되었다면 2015년과 2016년의 청년고 용 증대효과의 차이를 청년고용증대세제 로 인한 효과로 해석할 수 있음
□ 세액공제제도의 특성상 법인세 또는 소득세를 납부하는 흑자기업이 대상이기 때 문에 각 표본선정 반경별로 당기순이익 기업만을 분석 대상에 포함함
○ 특히, 조세특례의 2016년 청년고용 증대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① 2016년 당기순이익 기업과 ② 2년 연속 흑자기업인 2015년 및 2016년 당기순이익 기 업에 대한 표본을 분석함
- 직전 과세연도에 적자를 기록한 기업은 당해 과세연도 법인세 신고 시 직전 과세연도의 적자를 손금산입하여 법인세를 낮추거나 납부하지 않을 수 있어 당해 당기순이익 기업 중에서도 동 조세특례의 대상이 되지 않는 기업이 존 재할 수 있음
- 이에 2년 연속 흑자기업에 대한 표본에 대해서도 분석함
○ 또한, 조세특례의 2015년 청년고용 증대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③ 2015년 당 기순이익 기업과 ④ 2014년 및 2015년 당기순이익 기업에 대한 표본을 분석함
○ 다만 본 연구에서의 흑자기업은 KISVALUE 자료가 수집하는 기업 재무재표 상의 당기순이익이 양(+)의 값을 갖는 기업을 의미하기 때문에 세무조정 후 흑 자기업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한편 단절점 ①의 경우 당해년도 매출액증감률이 ±50%를 초과하는 관측치는 분 석 대상에서 제외함
○ 회귀단절모형(RDD)은 처치집단과 통제집단을 구분하는 기준 이외의 다른 특성 들은 매우 유사하다는 가정하에 분석하는 방법임
○ 중견기업과 대기업은 3년 평균 매출액 3,000억원을 기준으로 구분되는바, 매출 액증감률이 급변하는 관측치의 경우 처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여부를 담 보할 수 없음
○ 이에 매출액이 급변하는 관측치는 분석 대상에서 제외함
□ 이하에서는 2016년 흑자기업과 2015~2016년 2년 연속 흑자기업에 대한 기초통계 량에 대해 설명함
○ 2015년 흑자기업과 2014~2015년 흑자기업에 대한 각 표본의 기초통계량은 지
면관계상 <부록 Ⅲ>에 제시하였음
다. 2016년 흑자기업에 대한 기초통계량
□ 중소기업 매출액 기준은 회귀단절모형(RDD)에서 각 단절점에 해당하는바, 2016년 흑자기업 표본에 대한 중소기업 매출액 기준에 해당하는 업종별 관측치는 다음
<표 Ⅳ-3>과 같음
○ 각 단절점에서 처치집단과 통제집단의 관측치를 살펴보면 1,500억원을 기준으 로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이 구분되는 단절점 ②(산업군 ①)을 제외하고 나머지 단절점에서는 처치집단의 관측치가 통제집단의 관측치보다 많음
○ 단절점 중 단절점 ③(산업군 ②)이 가장 많은 관측치를 보이고 있으며, 여기에
해당하는 산업으로는 농・임・어업 및 광업, 식료품 제조업, 건설업, 도매 및 소 매업 등이 있음
○ 단절점 ⑥(산업군 ⑤)의 경우 관측치가 많지 않아 표본선정 반경에 따라 분석 에서 제외되는 경우가 발생함
구분
표본선정 반경
5% 7% 10%
합계 처치 통제 합계 처치 통제 합계 처치 통제 전체 274 148 126 405 219 186 614 346 268 중견・대기업(3,000억원) 51 29 22 90 50 40 135 82 53 중소
・ 중견 기업
산업군1(1,500억원) 25 10 15 38 16 22 55 25 30
산업군2(1,000억원) 145 75 70 202 108 94 321 181 140
산업군3(800억원) 42 25 17 55 31 24 71 39 32 산업군4(600억원) 11 9 2 18 13 5 27 17 10 산업군5(400억원) 0 0 0 2 1 1 5 2 3
<표 Ⅳ-3> 표본선정 반경에 따른 관측치 수(2016년 흑자기업)
(단위: 개)
□ 각각의 단절점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대한 히스토그램을 통해 분포를 살펴보면 단절점 중심에 가까울수록 많은 관측치들이 분포하고 있는바, 이는 회귀단절모형 (RDD)을 통한 분석의 특징임
○ 본 분석에서는 업종에 따라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을 구분하는 매출액 기준이 상이하게 적용됨에 따라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의 매출액 단절점이 5개 존재하 고 중견기업과 대기업을 구분하는 단절점 1개까지 총 6개의 단절점이 존재함
○ 6개 단절점은 최고 3,000억원(중견기업과 대기업을 구분하는 단절점)부터 최저
400억원(산업군 ⑤에 해당하는 기업 중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을 구분하는 단절 점)까지 존재하며, 각 단절점에 해당하는 매출액 기준의 ±5%, 7%, 10%에 해당 하는 매출액을 기록한 기업들을 추출하였음
○ 아래 [그림 Ⅳ-1] ~ [그림 Ⅳ-3]은 각 표본선정 반경별로 관측치의 분포를 히스 토그램으로 나타냄
- 각 표본선정 반경에 따라 추출한 기업들을 대상으로 “각 개별기업에 해당하 는 단절점에서 개별기업의 매출액의 차이(threshold)”를 중첩하여 히스토그램 으로 나타낸 것이므로 단절점 중심에 가까울수록 많은 관측치가 분포함
[그림 Ⅳ-1] 표본선정 반경 5% 이내의 관측치 분포(2016년 흑자기업)
주: 가로축은 해당기업 매출액의 단절점으로부터 거리이며 단위는 억원임
[그림 Ⅳ-2] 표본선정 반경 7% 이내의 관측치 분포(2016년 흑자기업)
주: 가로축은 해당기업 매출액의 단절점으로부터 거리이며 단위는 억원임
[그림 Ⅳ-3] 표본선정 반경 10% 이내의 관측치 분포(2016년 흑자기업)
주: 가로축은 해당기업 매출액의 단절점으로부터 거리이며 단위는 억원임
□ <표 Ⅳ-4>는 표본선정 반경별로 2016년 흑자기업에 대한 기초통계량을 보고함
○ <표 Ⅳ-4>는 2016년 흑자기업 중 분석 대상에 포함된 모든 관측치에 대한 기
초통계량임
○ 다만, 단절점 ①은 매출액 3,000억원이고 표본선정 반경은 ±5%, 7%, 10%임에 도 불구하고 매출액의 최댓값이 4,334억원으로 나타남
- 확인결과 단절점 ①의 기준인 매출액 3,000억원은 3년 평균 매출액인 반면 기 초통계에 포함된 매출액은 2016년 매출액으로 2016년 매출액이 4,334억원으로 나타난 관측치 역시 3년 평균 매출액은 3,210억원(표본선정 반경 7% 기준)보 다 작아 분석대상에 포함되었음
구분 변수명 관측치 평균 표준편차 최솟값 최댓값
표본 선정 반경 5%
고용인원
(전체) 274 325.04 848.47 2.92 10,900.83
고용인원
(청년) 274 73.65 306.19 0.08 4,548.42
전년 대비 청년고용 증가인원
274 0.09 18.91 -188.58 121.17
매출액 274 1,375.02 831.22 575.00 3,797.17
기업연한 274 305.57 175.26 35.00 1,166.00
표본 선정 반경 7%
고용인원
(전체) 405 326.24 754.48 1.00 10,900.83
고용인원
(청년) 405 73.99 275.55 0.00 4,548.42
전년 대비 청년고용 증가인원
405 1.28 21.67 -188.58 266.00
매출액 405 1,446.27 886.97 386.46 4,334.00
기업연한 405 307.71 173.82 26.00 1,166.00
표본 선정 반경 10%
고용인원
(전체) 614 306.56 647.04 1.00 10,900.83
고용인원
(청년) 614 68.43 232.25 0.00 4,548.42
전년 대비 청년고용 증가인원
614 0.95 20.30 -188.58 266.00
매출액 614 1,434.37 878.78 365.98 4,334.00
기업연한 614 300.45 171.10 26.00 1,166.00
<표 Ⅳ-4> 주요 변수의 기초통계량(2016년 흑자기업)
(단위: 명, 억원, 개월)
□ <표 Ⅳ-5>는 2016년 흑자기업 중 분석 대상 관측치를 기업규모(중소기업, 중견기
업, 대기업(기타기업))별로 구분하여 기초통계량을 살펴봄
○ 단절점 ①과 단절점 ②~⑥에 대해 중견기업과 대기업(기타기업),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의 청년고용량의 차이를 비교・분석하므로 각 단절점에 해당하는 중소 기업, 중견기업, 대기업(기타기업)의 관측치 수와 기초통계량을 살펴봄
□ 전년 대비 청년고용 증가인원은 당해년도 청년고용인원에서 전년도 청년고용인원을 차감한 것으로 뒤에 이어질 회귀단절모형(RDD)을 이용한 분석에서 종속변수로 활용됨
○ 단절점 ①에 해당하는 중견기업과 대기업의 전년 대비 청년고용 증가인원을 살 펴보면 중견기업이 더 크게 나타나며, 특히 대기업의 경우 모든 표본선정 반경 에서 모두 음(-)으로 나타나 대기업은 전년보다 청년고용을 감소시켰음을 알 수 있음
구분 변수명
단절점 ②~⑥ 단절점 ①
중소기업 중견기업 중견기업 대기업
(기타기업) 관측치 평균 관측치 평균 관측치 평균 관측치 평균 표
본 선 정 반 경 5
%
고용인원
(전체) 118 208.04 105 190.12 29 613.16 22 1,216.77
고용인원
(청년) 118 39.49 105 36.10 29 117.64 22 378.13
전년 대비 청년고용 증가인원
118 0.16 105 1.71 29 0.88 22 -9.00
매출액 118 947.52 105 1,052.94 29 2,939.16 22 3,143.39
기업연한 118 280.96 105 301.07 29 423.17 22 304.00
표 본 선 정 반 경 7
%
고용인원
(전체) 168 215.02 147 211.84 50 520.29 40 971.22
고용인원
(청년) 168 43.14 147 46.20 50 114.16 40 255.49
전년 대비 청년고용 증가인원
168 0.78 147 4.17 50 -0.23 40 -5.40
매출액 168 942.94 147 1,057.26 50 2,936.40 40 3,127.20
기업연한 168 276.64 309.28 50 391.50 40 327.68
표 본 선 정 반 경 10
%
고용인원
(전체) 263 208.78 216 232.73 82 481.12 53 822.58
고용인원
(청년) 263 45.24 216 50.70 82 100.74 53 205.76
전년 대비 청년고용 증가인원
263 1.50 216 1.90 82 -0.21 53 -3.89
매출액 263 935.38 216 1,061.89 82 2,882.39 53 3,188.18
기업연한 263 270.46 216 297.07 82 382.06 53 336.72
<표 Ⅳ-5> 주요 변수의 기업규모별 기초통계량(2016년 흑자기업)
(단위: 명, 억원, 개월)
○ 반면 단절점 ②~⑥에 해당하는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의 전년 대비 청년고용 증 가인원은 양(+)으로 나타나고 있어 전년보다 청년고용을 증가시켰음
○ 특히 단절점 ②~⑥에 해당하는 중견기업은 전년 대비 청년고용 증가인원이 중 소기업보다 크게 나타나고 있으며, 또한 매출액 3,000억원 경계에 해당하는 단 절점 ①의 중견기업보다도 크게 나타나고 있음
라. 2015∼2016년 흑자기업에 대한 기초통계량
□ <표 Ⅳ-6>은 2015~2016년 2년 연속 흑자기업 표본에 대한 중소기업 매출액 기준
에 해당하는 업종별 관측치임
○ 2년 연속 흑자기업 표본의 관측치는 2016년 흑자기업 표본의 관측치보다 약 12%
정도 적음
- 즉 2016년 흑자기업 중 약 12%의 기업들은 2015년에는 적자를 기록한 기업들임
○ 2년 연속 흑자기업 표본의 처치그룹과 통제그룹에 대한 관측치 분포는 2016년
흑자기업 표본의 경우와 유사하게 단절점 ②(산업군 ①)를 제외하고는 처치집 단이 통제집단보다 많은 관측치를 보임
○ 또한 2016년 흑자기업 표본과 마찬가지로 단절점 ③(산업군 ②)에 해당하는 관 측치가 가장 많음
구분
표본선정 반경
5% 7% 10%
합계 처치 통제 합계 처치 통제 합계 처치 통제 전체 242 132 110 356 194 162 546 309 237 중견・대기업(3,000억원) 43 26 17 74 43 31 115 71 44
중소
・ 중견 기업
산업군1(1,500억원) 19 7 12 29 12 17 44 20 24
산업군2(1,000억원) 135 68 67 187 97 90 293 163 130
산업군3(800억원) 36 24 12 48 30 18 64 38 26 산업군4(600억원) 9 7 2 16 11 5 25 15 10 산업군5(400억원) 0 0 0 2 1 1 5 2 3
<표 Ⅳ-6> 표본선정 반경에 따른 관측치 수(2015~2016년 흑자기업)
(단위: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