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청년고용증대세제 에 대한 인지도

V. 설문조사 분석

4. 청년고용증대세제 에 대한 인지도

□ 청년고용증대세제 에 대한 인지도를 조사한 결과 설문조사 대상 전체 기업 중 약 31%의 기업이 동 제도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다고 응답함

○ 대기업 중에서는 약 38%의 기업들이 동 제도를 인지하고 있어 중소기업이나 중견기업보다 높은 인지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됨

□ 청년고용증대세제 에 대한 인지도가 높지 않은 이유는 동 제도가 도입되어 시행 된 지 아직 만 2년이 되지 않은 초기 단계에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며, 동 제도를 인지하는 기업들이 점차 증가하여 제도가 정착하게 된다면 제Ⅳ장과 앞 에서 분석한 고용창출효과 분석 결과가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함

전체 중소기업 중견기업 대기업

응답 비중 응답 비중 응답 비중 응답 비중 들어본 적이 있다 155 30.94 108 30.86 30 28.30 17 37.78 들어본 적이 없다 346 69.06 242 69.14 76 71.70 28 62.22 합계 501 100 350 100 106 100 45 100

<표 Ⅴ-16> 「청년고용증대세제」 인지 여부(기업규모별)

(단위: 개, %)

□ 청년고용증대세제 를 들어본 적이 있는 155개 기업을 대상으로 동 제도의 인지 정도를 질문한 결과 약 66%에 해당하는 기업들이 동 제도에 대해 들어만 봤을 뿐 내용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한다고 응답함

○ 특히, 중소기업 중 동 제도의 내용을 잘 알지 못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약 72%

로 중견기업 53%, 대기업 47%보다 높아 기업 규모가 작을수록 동 제도의 내 용에 대해 잘 파악하고 있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전체 중소기업 중견기업 대기업

응답 비중 응답 비중 응답 비중 응답 비중 잘 알지 못한다 102 65.81 78 72.22 16 53.33 8 47.06 세액공제 규모는 파악하고

있으나 다른 내용은 잘 모른다 25 16.13 18 16.67 3 10.00 4 23.53 세액공제액 계산 방법 등에

대해 파악하고 있다 20 12.90 6 5.56 9 30.00 5 29.41 세부적인 내용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있다 8 5.16 6 5.56 2 6.67 0 0.00 합계 155 100 108 100 30 100 17 100

<표 Ⅴ-17> 청년고용증대세제 인지 정도

(단위: 개, %)

□ 이에 청년고용증대세제 를 인지하면서 세액공제 규모 등 최소한의 정보를 파악 하고 있는 기업은 전체 조사기업 501개 중 53개 기업으로 약 10.58% 수준에 불 과하여 아직 동 제도가 기업들의 고용의사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정도로 정 착되지는 않은 것으로 판단됨

○ 350개의 중소기업 중 30개인 8.57%의 기업만이 동 제도에 관한 최소한의 내용

을 파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106개의 중견기업 중에서는 13.21%인 14개의 기업이 동 제도에 대한 내용을

파악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 45개의 대기업 중에서는 9개인 20%의 기업이 동 제도에 대한 최소한의 내용

을 파악하고 있어, 중소기업이나 중견기업보다 동 제도를 파악하고 있는 기업 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남

□ 한편 세액공제 규모를 파악하고 있는 53개의 기업 중 38개인 71.7%의 기업이 2016년 고용창출에 대해 적용한 기존의 세액공제 규모에 대해서만 파악하고 있고 새로 확대된 현행 세액공제 규모에 대해서는 알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 2017년 세액공제 규모를 확대하였더라도 기업들이 이에 대해 잘 인지하지 못

한다면 동 제도의 고용창출효과는 제약적으로만 나타날 가능성이 존재함

전체 중소기업 중견기업 대기업

응답 비중 응답 비중 응답 비중 응답 비중 기존(2015~2016년) 세액공제

규모만 파악하고 있다 38 71.70 20 66.67 10 71.43 8 88.89 현재(2017년) 세액공제

규모만 파악하고 있다 5 9.43 2 6.67 2 14.29 1 11.11 기존과 현재 세액공제 규모

모두 파악하고 있다 10 18.87 8 26.67 2 14.29 0 0.00 합계 53 100 30 100 14 100 9 100

<표 Ⅴ-18> 「청년고용증대세제」 세액공제 규모 파악 정도

(단위: 개, %)

□ 청년고용증대세제 를 인지하고 있는 155개의 기업 중 약 33%인 51개의 기업이 동 제도를 2015년에 인지한 것으로 응답함

○ 501개 전체 기업 중에서는 10.2%에 해당하는 수치임

○ 동 제도를 2015년에 인지하였더라도 기업의 고용의사결정에 동 제도를 반영한 기업의 비중은 더 낮아질 것으로 판단됨

전체 중소기업 중견기업 대기업

응답 비중 응답 비중 응답 비중 응답 비중

2015년 3/4분기 26 16.77 17 15.74 6 20.00 3 17.65

2015년 4/4분기 25 16.13 15 13.89 5 16.67 5 29.41

2016년 상반기 39 25.16 24 22.22 11 36.67 4 23.53

2016년 하반기 39 25.16 30 27.78 6 20.00 3 17.65

2017년 상반기 26 16.77 22 20.37 2 6.67 2 11.76

합계 155 100 108 100 30 100 17 100

<표 Ⅴ-19> 청년고용증대세제 인지 시점

(단위: , %)

○ 이에 앞의 제Ⅳ장과 본 장에서 실시한 효과성 분석에서 동 제도가 2015년 청 년고용창출에는 사실상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을 것이라는 가정하에 분석하 였는데, 이러한 가정이 타당하다고 해석할 수 있음

□ 청년고용증대세제 를 인지한 155개의 기업 중 약 39%인 61개의 기업이 언론 보 도 등의 대중매체를 통해 동 제도를 인지한 것으로 조사됨

□ 한편 법인세 신고 시 세제혜택에 대한 검토 과정에서 동 제도를 인지한 기업도 48개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남

○ 이는 제도 인지 기업 155개 중 약 31%에 해당하는 기업임

○ 법인세 신고 과정에서 동 제도를 인지한 기업들은 동 제도가 없었더라도 고용 을 증가시켰을 기업으로 추가적인 고용창출 없이 세제혜택만 받은 기업으로 해석할 수 있음

○ 또한 법인세 신고 과정에서 동 제도를 인지한 기업의 비중이 높을 경우 제도 의 도입과 법인세 신고 시점 간에는 시차가 존재하고 모든 기업이 법인세 신 고 시 동 제도를 검토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동 제도가 정착하는 데 상당한 시일이 소요될 가능성이 있음

전체 중소기업 중견기업 대기업

응답 비중 응답 비중 응답 비중 응답 비중 법인세 신고 과정을 통하여 48 30.97 31 28.70 12 40.00 5 29.41 자체 조사를 통하여 30 19.35 21 19.44 7 23.33 2 11.76 기업의 인력 관리에 대한

외부 컨설팅을 통하여 7 4.52 6 5.56 1 3.33 0 0.00 다른 기업이 제공한 정보

공유를 통하여 1 0.65 0 0.00 1 3.33 0 0.00 언론 보도 등 대중매체를

통하여 61 39.35 44 40.74 9 30.00 8 47.06

기타 8 5.16 6 5.56 0 0.00 2 11.76

합계 155 100 108 100 30 100 17 100

<표 Ⅴ-20> 「청년고용증대세제」 인지 경로

(단위: 개, %)

□ 청년고용증대세제 를 알고 있는 155개 기업 중 2017년 동 제도의 세액공제규모 의 확대에 대해서 인지한 기업은 79개로 50.97%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됨

○ 이는 설문조사 대상 전체 501개 기업 중에서는 15.77%를 차지함

○ 하지만 확대된 세액공제규모에 대해서도 파악하고 있다고 응답한 기업은 10개 기업에 불과함

○ 이는 동 제도를 인지하고 있는 기업 중에서는 6.45%에 해당하며, 조사 대상 전체 기업 중에서는 2%에 해당됨

전체 중소기업 중견기업 대기업

응답 비중 응답 비중 응답 비중 응답 비중 확대에 대해 전혀 몰랐다 76 49.03 54 50.00 16 53.33 6 35.29 확대를 인지했으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파악 못했다 69 44.52 48 44.44 10 33.33 11 64.71 새로운 공제규모를 파악하고

있다 10 6.45 6 5.56 4 13.33 0 0.00

합계 155 100 108 100 30 100 17 100

<표 Ⅴ-21> 「청년고용증대세제」 세액공제 규모 확대 파악 정도

(단위: , %)

□ 기업들이 청년고용증대세제 의 세액공제규모 확대에 대해 인지하게 된 경로를 질문한 결과, 제도 확대를 인지한 79개 기업 중 51.9%인 41개 기업이 언론 보도 등 대중매체를 통해 동 제도를 인지한 것으로 조사됨

전체 중소기업 중견기업 대기업

응답 비중 응답 비중 응답 비중 응답 비중 자체 조사를 통하여 22 27.85 15 27.78 4 28.57 3 27.27 기업의 인력 관리에 대한 외부

컨설팅을 통하여 6 7.59 5 9.26 1 7.14 0 0.00 다른 기업이 제공한 정보

공유를 통하여 6 7.59 4 7.41 1 7.14 1 9.09 언론 보도 등 대중매체를

통하여 41 51.90 26 48.15 8 57.14 7 63.64

기타 4 5.06 4 7.41 0 0.00 0 0.00

합계 79 100 54 100 14 100 11 100

<표 Ⅴ-22> 「청년고용증대세제」 제도 확대 인지 경로

(단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