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II.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및 예비대학 운영 현황

1. 설문조사

6) 설문 주요문항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및 예비대학 기획 및 참여하는 구성원간의 인식과 목적, 운영현황, 문제점, 교육프로그램 개선 및 강화, 신입생 오리엔테이션과 새터(새내기 새로배움터)간의 관계와 운영 주체 구분 등과 같은 주요 문항을 기반으로 아래 표와 같이 교직원과 학생 으로 구분하여 구성하였다.

구분 교직원 학생(학생회임원, 일반학생)

문항 내용 문항번호 문항 내용 문항번호

기본사항

교직원여부,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운영 여부, 소속 대학명, 학교소재지

1, 2, 3, 4 학생회임원여부, 성별, 학년, 소속 대학명, 학교소재지

1, 2, 3, 4, 5

OT 현황

OT와 새로배움터 운영 방식 5 OT 참석여부 6

OT 운영 주체 6 OT 불참 이유 7

OT 진행 단위 7 OT 운영 주체 8

OT 기간 8

OT 진행 단위 9

OT 기간 10

OT 진행 장소 11

OT 인식

OT와 새로배움터 운영 방식 9 OT 필요성 12

OT 목적 10, 11

OT 목적 13, 14

학생 만족도가 높았던 프로그램 12

OT 운영 및 개선

OT 학생 만족도 13 OT 운영 15

OT 운영 14 OT 프로그램의 필요성 16

OT 프로그램의 필요성 15 OT 문제점 17

OT 문제점 16 OT 개선점 18

OT 개선점 17 학사안내 주체 19

OT 음주문화 18 OT 음주문화 20

예비대학

예비대학 운영 여부 19 예비대학 참여 여부 21

예비대학 운영 기간 20 예비대학 운영 기간 22

예비대학 운영 방식 21 예비대학 운영 방식 23

예비대학 학생 불참 이유 22 예비대학 학생 불참 이유 24

예비대학 만족도 23 예비대학 만족도 25

예비대학 프로그램의 유용성 24 예비대학 프로그램의 유용성 26

예비대학 전반 25 예비대학 전반 27

<표 II-1> 교직원 및 학생 설문지 문항 구성표

나. 설문조사 응답대학 및 응답자별 기본 정보 1) 설립유형별 응답 대학정보

◦응답학교의 설립 유형에 따라, 국립 및 사립대학 교직원 응답비율은 아래 표와 같음.

설립유형

구분 국립대학 사립대학

응답 대학 수 15 44 59

비율(%) 25.4 74.6 100

<표 II-2> 대학설립유형별 교직원 응답대학 분포

◦교직원 응답대학 가운데 국립대학은 15 개교로 25.4%였으며, 사립대학은 44 개교로 74.6%

를 차지하고 있었음. 교직원 설문응답 대학가운데 설립유형이 국립대법인(1 개교)는 설문 분석에 따른 분석에 있어서 유의미한 분류로 사용하기 위해서 국립대학으로 분류하였기 때문에, 이하 분석에 있어서는 국립대학과 사립대학으로 나누어서 분석을 실시함.

◦응답학교의 설립 유형에 따라, 국립 및 사립대학의 학생 응답비율은 아래 표와 같음.

설립유형

구분 국립 사립

응답 대학 수 10 37 47

비율(%) 21.3 78.7 100

<표 II-3> 대학설립유형별 학생 응답대학 분포

◦학생 응답대학 가운데 국립대학은 10 개교로 21.3%였으며, 사립대학은 37 개교로 78.7%를 차지하고 있었음.

◦응답자별 대학설립유형에 따른 응답대학 분포는 교직원만 응답한 대학은 26 개교, 학생만 응답한 대학은 14 개교, 교직원과 학생 모두 응답한 대학은 33 개교로 아래 표와 같음.

설립유형

응답 대학 수 국립 사립

교직원 9 17 26

학생 4 10 14

교직원과 학생 6 27 33

합계 19 54 73

비율(%) 26 74 100

<표 II-4> 응답자별 대학설립유형에 따른 응답대학 분포

2) 학교소재지별 응답 대학정보

◦학교 소재지에 따라서 본 연구에서 실시한 설문조사에 응답한 대학의 빈도와 비율은 아 래 표와 같음

소재지

교직원 학생

응답 대학 수 비율(%) 응답 대학 수 비율(%)

서울 9 15.3 9 19.1

부산 3 5.1 4 8.5

대구 1 1.7 2 4.3

인천 2 3.4 1 2.1

광주 1 1.7 1 2.1

대전 3 5.1 1 2.1

울산 1 1.7 0 0.0

강원 4 6.8 2 4.3

경기 8 13.6 6 12.8

경남 3 5.1 4 8.5

경북 6 10.2 5 10.6

전남 1 1.7 1 2.1

전북 4 6.8 2 4.3

충남 7 11.9 4 8.5

충북 5 8.5 4 8.5

제주 1 1.7 1 2.1

59 100 47 100

<표 II-5> 대학 소재지별 응답대학 분포

◦추가적인 분석을 위하여 응답대학의 소재지를 다시 권역별로 나누어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 광역시권(인천제외 5 대광역시), 지방으로 나누어 응답대학의 분포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 표와 같음.

구분 수도권 광역시 지방

교직원 응답대학수 19 8 32 59

비율(%) 32.2 13.6 54.2 100

학 생 응답대학수 16 5 26 47

비율(%) 34.0 10.6 55.3 100

<표 II-6> 대학 권역별 응답대학 분포

3) 대학규모별 응답대학 분포

◦대학알리미 2015 년도 기준 입학생 수에 따라서 대학규모를 천명 미만, 천명 이상~2 천명 미만, 2 천명 이상 ~ 3 천명 미만, 3 천명 이상의 4 개 그룹으로 나누어 살펴본 응답대학의 분포는 다음과 같음.

구분 1000명 미만 1000명 이상 2000명 미만

2000명 이상

3000명 미만 3000명 이상

응답 대학 수(교직원) 15 19 14 11 59

비율(%) 25.4 32.2 23.7 18.6 100

응답 대학 수(학생) 13 12 10 12 47

비율(%) 27.7 25.5 21.3 25.5 100

<표 II-7> 대학규모별 응답대학 분포

◦교직원 설문응답 대학가운데 1000 명 미만의 소규모 대학은 15 개교로 전체응답 대학 가 운데 25.4%를 차지하였으며, 1000 명 이상 2000 명 미만 규모의 대학은 19 개교로 32.2%, 2000 명 3000 명 미만 규모의 대학은 14 개교로 23.7%, 3000 명 이상의 대규모 대학은 11 개교로 18.6%를 차지함.

◦학생 설문응답 대학가운데 1000 명 미만의 소규모 대학은 13 개교로 전체응답 대학 가운 데 27.7%를 차지하였으며, 1000 명 이상 2000 명 미만 규모의 대학은 12 개교로 25.5%, 2000 명 3000 명 미만 규모의 대학은 10 개교로 21.3%, 3000 명 이상의 대규모 대학은 12 개교로 25.5%를 차지함.

나. 설문조사 응답자별 정보 1) 응답대학 교직원 특성

◦교직원 응답자의 대한 특성은 아래와 같음.

구분 인원수 비율(%)

설립유형

국립 32 22.1

사립 113 77.9

소계 145 100

직위

교원 11 7.6

직원 134 92.4

소계 145 100

OT 운영 여부

운영 100 69.0

미운영 45 31.0

소계 145 100

예비대학 운영 여부

운영 32 22.1

미운영 113 77.9

소계 145 100

<표 II-8> 교직원 응답자 특성

2) 응답대학 학생 특성

◦학생 응답자에 대한 특성은 대학설립유형, 성별, 학년별, 학생회/비학생회로 구분하여 분 석한 결과는 아래 표와 같음

구분 인원수 비율(%)

설립유형

국립 363 13.9

사립 2250 86.1

소계 2613 100

성별

남자 1177 45.0

여자 1436 55.0

소계 2613 100

학년

1학년 1195 45.7

2학년 659 25.2

3학년 459 17.6

4학년 300 11.5

소계 2613 100

학생 구분

학생회

남자 180 6.9

여자 260 10.0

소계 440 16.9

비학생회

남자 997 38.1

여자 1176 45.0

소계 2173 83.1

소계 2613 100

<표 II-9> 학생 응답자 특성

나. 문헌연구

◦국내대학의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및 예비대학 교육 운영현황과 특성에 관한 연구를 위해 관련 논문 및 도서, 정부출연연구기관 연구보고서, 신문기사 등을 수집 및 분석을 통해 OT 및 예비대학 운영현황, 문제점, 대안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다. 사례조사

◦국내 대학 OT 및 예비대학 교육 프로그램의 실시 사례에 대한 자료 수집을 위해 공문을 통한 협조 요청과 국내외 주요 대학 홈페이지 방문을 통해 기초자료 확보 하고자 하였다.

라. 전문가 자문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및 예비대학을 운영하는 교수, 행정직원과 (총)학생회 학생 등의 및 관계자를 대상으로 소속 대학의 운영현황, 문제점, 개선 방향 등에 대해 토론과 교직원/학 생 설문조사지에 대한 내용 타당도와 대학 특성별 학습공동체 기반 OT 및 예비대학 모 델 타당도 검증 실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