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III. 신입생오리엔테이션 및 예비대학 모델 제시

3. Outdoor Activity

미국의 많은 대학은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프로그램에 Outdoor Activity 를 도입하고 있으며 이는 다양한 연구를 통해 이 활동에 참여한 학생들이 높은 재학율, 학업성취, 긍정적인 변화 등을 보이고 있음을 증명하고 있다(Brian Wardwell, 1999). 또한 미국대학은 지역사회의 인프 라를 적극 활용하여 지역사회와 연계한 신입생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대학에의 소속감뿐 아니 라 대학진학과 함께 새로운 지역으로 이주한 학생들이 지역 생활에 친숙해지는 기회를 제공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국의 5 개 대학의 오리엔테이션 프로그램의 ‘학생 참여형 활동’을 집중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가. 프린스턴 대학(Princeton University) 사례

프린스턴은 오리엔테이션 프로그램에 ‘학생 참여형 활동’을 적극 활용하는 대표적인 대학이다. 프린스턴의 신입생들은 입학 전에 기숙사에 입소하여 약 2 주일 동안 오리엔테이션 을 받는다. 기본적으로 학생들은 가족 환영행사를 비롯하여 기숙사의 어드바이저, 교수, 선배 와의 시간을 갖고 성공적인 학업과 대학생활, 수강과목에 대한 안내를 받는다. 프린스턴의 주요 ‘학생 참여형 활동’은 크게 Outdoor Action(OA)과 Community Action(CA)으로 구성되어 있다.

OA 는 야외 캠핑, 팀별 여행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소그룹 체험활동이다. 신입생들은 함께 캠핑을 하며 식사를 준비하고 캠프파이어 시간에는 캠퍼스 라이프에 대해 서로 이야기를 나누는 기회를 갖는다. OA 활동을 통해 신입생들은 새로운 친구들과 사귀고 대학이라는 새로 운 시작을 준비하는 시간을 갖게 된다. 또한 OA 에는 학업, 대학생활, 스포츠 등 다방면에서 탁월한 선배 리더들이 선발되어 배정되는데 OA 선배리더는 대학에서 쌓은 그들의 경험과 지식을 후배들과 나누게 된다.

OA 와 달리 CA 는 지역사회와 연계한 학생참여 활동이다. 이 활동은 신입생들의 시민의식 을 고양하고 대학생활 적응은 물론 그들의 학업을 지역사회와 연결하여 계발하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이다. 신입생들은 단순한 지역 봉사활동을 넘어 CA 선배 리더와 함께 지역사회를 연구함으로써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책임 있는 시민으로서의 역량을 갖추게 된다.

나. 예일 대학(Yale University) 사례

예일 대학의 대표적인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프로그램은 ‘프레시맨 아웃도어 오리엔테이션 트립(Freshman Outdoor Orientation Trip)과 ’포커스‘(FOCUS) 그리고 ’하비스트‘(Harvest) 이다.

먼저, ‘프레시맨 아웃도어 오리엔테이션 트립’은 약자로 ‘FOOT’이라고도 하는데, 말 그대로 개강 전에 떠나는 신입생들의 단체 하이킹 여행이다. 신입생들은 4 박 5 일 또는 6 박 7 일 동안 고학년 선배들과 함께 뉴햄프셔, 뉴욕, 코네티컷 등의 언덕과 산으로 백팩 트래킹을

떠난다. FOOT 는 하이킹 경험의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하며 대학생활 내내 학생들에게 버팀목이 될 친밀한 그룹을 만들고 오랜 우정 관계를 맺도록 한다. 비록 일주일이라는 짧은 여행이지만 미국 전역뿐 아니라 전 세계에서 집결한 다양한 인종, 환경, 배경을 가진 인재들이 서로를 알고 배우는 좋은 기회가 되고 있다. 최근에는 졸업생들 중에서 사회 각처에서 활약하는 동문들이 함께 참여하여 대학 생활뿐 아니라 졸업 후 사회에서의 경험들을 후배들과 함께 나누는 값진 시간을 보내고 있다.

다음으로, ‘포커스’는 지역 예술 탐방, 건축물 답사나 지역 이벤트에 참여하여 지역사회 의 특성을 파악하는 활동이다. 대학진학과 함께 뉴헤이번으로 이동해 온 학생들에게는 지역사 회에 대한 유용한 지식을 습득하고 지역 생활에 적응하는 기회가 된다. 또한 지역의 다양한 사회 기관이나 단체를 방문하고 특강, 토론 등에 참여함으로써 지역의 정치, 경제, 교육 등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지역에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방법들을 모색하는 활동을 한다. 대학 과 뉴헤이번 지역사회 간의 유대는 학생들이 대학에의 소속감과 시민의식을 동시에 고양함으 로써 대학생활 적응은 물론 교양을 갖춘 지역사회의 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하비스트’역시 대학이 지역의 인프라를 활용하여 신입생들에게 다양한 체험 활동의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신입생들은 코네티컷의 농가에서 4 박 5 일을 지내며 야채를 수확하고 닭에게 모이를 주는 등 다양한 시골생활을 경험하게 된다. 하비스트는 예일에서의 대학생활을 시작하기 전에 동기들과 우정을 쌓고, 아웃도어 활동을 즐기며 친환경적 농법을 배우는 색다른 체험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다. 스탠퍼드 대학(Standford University) 사례

스탠퍼드 대학 역시 신입생들에게 SPOT(Stanford Pre-Orientation Trip)이라는 아웃도어 액티 비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SPOT 은 몰입형 체험 프로그램으로 신입생들에게 도전을 통해 스탠퍼드인으로서의 정체성과 긍지를 심어주고 대학이라는 새로운 변화에 적응하도록 도와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 SPOT 의 비전과 지향점은 크게 세 가지로 기술될 수 있을 것이 다. 그것은 신입생들이 도전과 자아인식을 통해 개인의 성장을 극대화하고, 캠퍼스 환경에서 커뮤니티의 가치와 소통능력을 발전시키며, 적극적인 참여와 리드를 통해 캠퍼스 커뮤니티와 지역사회의 가치 개발에 기여하도록 하는 것이다.

SPOT 은 스탠퍼드 아웃도어 에듀케이션(Stanford Outdoor Education, SOE)에서 운영하는데, SOE 는 스탠퍼드 대학의 아웃도어 교육, 액티비티 및 리더십 교육을 총괄하는 조직이다. SOE 는 리스크, 도전, 체험을 통해 러닝과 레크레이션 기회를 창출하는 것을 교육 철학으로 하고 있다. SPOT 을 운영하는 또 다른 주체인 SPOT 의 리더와 인솔자들은 역동적이고 열정적인 스탠퍼드 재학생과 졸업생들이다. 이들은 SPOT 의 리더가 되기 위해 리더십, 그룹지도, 위기 관리, 응급처치 등의 트레이닝과 교육을 반드시 이수해야한다.

SPOT 은 5 박 6 일 동안 진행되며 두 가지 타입으로 구성된다. 두 가지 타입의 액티비티는 베이스캠핑(Basecamping)과 버지니아주 동북부 삼림지대 백 배킹(Wilderness Backpacking)이다.

SPOT 에 참여하는 신입생들은 하이킹과 캠핑, 클라이밍을 하게 될 것이고 모든 트립에 육체적 인 액티비티가 포함된다. 하지만 스탠퍼드 대학 측은 SPOT 이 단지 체력적인 도전이 아니라 신입생들에게 대학학업을 준비하는 몰입의 경험과 커뮤니티를 이해하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을 특히 강조하고 있다.

라. 텍사스 대학(UT Dallas) 사례

텍사스 대학의 대표적인 오리엔테이션 체험 프로그램으로는 Comet Camp 와 Success Camp 가 있다. Comet Camp 는 2 박 3 일간 진행되며 신입생들이 새로운 친구를 만들고 UT Dallas 에 서의 캠퍼스 생활을 활기차게 시작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프로그램이다.

Comet Camp 에는 경험과 열정을 겸비한 우수한 선배 리더들이 함께 하며, 신입생들은 UT Dallas 의 전통과 역사, 대인관계, 커뮤니케이션, 성공적인 대학생활을 주제로 하는 다양한 이벤트와 액티비티에 참여하게 된다. Comet Camp 의 세부 프로그램을 살펴보면,

Ÿ UT Dallas 의 전통에 대해 알아보기 Ÿ 소그룹으로 팀 빌딩 액티비티에 참여하기

Ÿ 대인관계, 커뮤니케이션, 성공적인 대학생활에 대한 팁 알아보기 Ÿ 신입생 동기들과 수영장에서 친해지기

Ÿ 장기자랑 시간에 댄스 실력 등 자신의 재능을 뽐내기

Comet Camp 와 달리 Success Camp 는 하루 일정으로 진행되는 학업관련 워크숍이다. 신입 생들은 성공적인 학업을 성취한 우등생 선배들로부터 노트필기와 효과적인 학습법의 노하우 를 직접 전수 받는다. Success Camp 는 실습 활동으로 진행되어 성공적인 대학학업과 대학생 이 되어 겪게 될 변화에 대한 두려움을 덜어 주는 데 효과적인 프로그램이다. 학업프로그램 외에도 캠퍼스 투어와 동기, 선배들과의 인적 네트워킹을 형성하도록 도와주는 세션도 마련되 어 있다.

마. 하버드 대학(Harvard University) 사례

하버드대학교는 전통적으로 5 개의 오리엔테이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중 가장 오랜 전통과 규모가 큰 프로그램이 ‘프레쉬맨 아웃도어 프로그램’(Freshman Outdoor Program, FOP)이다. 7~10 명의 신입생이 하나의 그룹을 이루고 그룹 당 2 ~ 3 명의 선배 리더 들이 동행하여 6 일 동안 하이킹, 카약타기에 도전하고 뉴햄프셔, 버몬트, 메인 등 주변지역을 트래킹한다.

다음으로, ‘도심 액티비티 프로그램’으로 일컬어지는 ‘Freshman Urban Program’(FUP) 은 하버드와 보스턴에서 커뮤니티와 액티비즘을 형성하기 위해 진행되는 교육이다. FUP 에 참여하는 신입생들은 낮에는 선배 리더들과 함께 지역의 비영리 단체에서 자발적으로 활동하 고 밤에는 함께 모여 지역사회 문제에 대해 토론한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하버드의 신입생

들은 공동체에 대한 관심과 열정을 체험하고 시민의식을 갖춘 인재로 성장하여 졸업 후 사회 각계각층에서 리더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게 되는 것이다.

‘Fall Clean-Up’ (FCU) 프로그램 역시 하버드 대학교의 오랜 전통 중 하나로 신입생과 선배 리더가 함께 자신들의 기숙사를 청소하고 하버드와 보스톤 주변지역을 탐방하는 활동을 한다. 오랜 전통을 자랑하는 프로그램인 만큼 매년 여름 300 명 이상의 학생들이 참여하고 신청학생들이 쇄도한다고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오랜 기간 미국에서는 Outdoor Activity 의 교육효과가 입증됨에 따라 많은 대학에서 OT 의 일부로 Outdoor Activity 를 진행하고 있으며, AEE(Association for Experiential Education)와 같은 비영리 기관에서 Outdoor Activity 를 전담하여 운영하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몇 번의 사고로 인해 외부 활동을 자제하고 모든 학교 공식행사를 교내로 끌어들이는 경향이 있는데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볼 수 없다. 이는 구더기 무서워 장 못 담그 는 처사라고 할 수 있다. 국가적으로 안전문화를 정착시켜감과 동시에 Outdoor Activity 전담 기관 활용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체험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학습공동체, 선배 멘토 그룹, Academic Advisor 로 구성된 학생지원시 스템이 삼중화하여 잘 연계한다면 국내에서 Outdoor Activity 를 운영하는 것도 크게 어렵지 않을 것이라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