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음주행동과 인구사회학적 특성

전체 1,233명의 여성을 적정음주군 1,047명(84.9%)과 문제음주군 186명 (15.1%)으로 나누어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파악하여 보았다.

연령대와 음주행동 간에는 χ2=24.378(p<.001) 유의수준에서 분포의 차이가 있었다. 문제음주가 가장 많은 연령대는 40대로 전체의 6.2%를 차지하였다. 그 뒤로 30대가 4.0%, 50대 2.8%, 60대 1.2%, 20대 0.6%, 70대 0.2%, 80대 0.1%순으로 나타났다.

교육수준과 음주행동 역시 χ2=18.730(p<.001)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고 등학교 졸업자가 전체 여성 중 7.4% 차지하여 가장 많았고, 전문대 3.2%, 대학 교 2.7% 순이었으며, 무학력, 대학원-석사, 대학원-박사 이상이 모두 0.1%로 가장 낮은 비율을 보인다.

주된경제활동참여상태에 따른 음주행동의 차이도 드러났으며 χ2=23.542(P<.01) 수준에서 유의하였다. 상용직의 문제음주가 전체의 4.5%를 차지하였고, 다음 으로 임시적이 4.1%, 비경제활동인구의 문제음주가 3.7%로 나타났다. 고용 주, 자영업자, 무급가족종사자는 모두 0.5%, 0.6%, 0.6%로 비슷하였으며 지난 4주간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한 실업자가 0.4%, 자활근로/공공근로/노인일자리 참여자가 0.1%의 비율을 차지하였다.

종교와 음주행동도 차이를 보였는데 χ2=14.597(p<.001) 수준에서 유의하였 다. 종교가 있는 문제음주자가 전체 여성의 4.3%, 종교가 없는 경우는 10.8%의 비율을 보여 종교가 없는 여성이 종교가 있는 여성보다 문제음주군에 속한 비율 이 2배 이상 높음을 알 수 있다.

그밖에 혼인상태, 가구형태, 빈곤은 <표 4-3>과 같이 음주행동에 따른 유 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표 4-3> 음주행동과 인구사회학적 특성

음주행동 전체 χ2/p 문제음주 적정음주

연령대

20대 빈도 8 22 30

24.378***

비율(%) 0.6 1.8 2.4

30대 빈도 49 196 245

비율(%) 4.0 15.9 19.9

40대 빈도 76 361 437

비율(%) 6.2 29.3 35.4

50대 빈도 35 250 285

비율(%) 2.8 20.3 23.1

60대 빈도 15 128 143

비율(%) 1.2 10.4 11.6

70대 빈도 2 82 84

비율(%) 0.2 6.7 6.8

80대 빈도 1 8 9

비율(%) 0.1 0.6 0.7

전체 빈도 186 1,047 1,233

비율(%) 15.1 84.9 100.0

혼인 상태

유배우 빈도 178 1030 1208

6.346

비율(%) 14.4 83.5 98.0

사별 빈도 3 6 9

비율(%) 0.2 0.5 0.7

이혼 빈도 1 1 2

비율(%) 0.1 0.1 0.2

별거 빈도 4 10 14

비율(%) 0.3 0.8 1.1

전체 빈도 186 1,047 1,233

비율(%) 15.1 84.9 100.0

교육 수준

무학 빈도 1 15 16

18.730***

비율(%) 0.1 1.2 1.3

초등학교 빈도 5 102 107

비율(%) 0.4 8.3 8.7

중학교 빈도 14 89 103

비율(%) 1.1 7.2 8.4

고등학교 빈도 91 410 501

비율(%) 7.4 33.3 40.6

전문대 빈도 40 187 227

비율(%) 3.2 15.2 18.4

대학교 빈도 33 220 253

비율(%) 2.7 17.8 20.5

대학원 -석사

빈도 1 22 23

비율(%) 0.1 1.8 1.9

대학원 -박사

빈도 1 2 3

비율(%) 0.1 0.2 0.2

전체 빈도 186 1,047 1,233

비율(%) 15.1 84.9 100.0 가구

형태 단독 빈도 5 8 13

6.053

비율(%) 0.4 0.6 1.1

모자 빈도 1 4 5

비율(%) 0.1 0.3 0.4

조손소년 소녀가장

빈도 0 2 2

비율(%) 0.0 0.2 0.2

기타 빈도 180 1033 1213

비율(%) 14.6 83.8 98.4

전체 빈도 186 1,047 1,233

비율(%) 15.1 84.9 100.0

주된 경제 활동 참여 상태

상용직 빈도 56 267 323

23.542**

비율(%) 4.5 21.7 26.2

임시직 빈도 50 203 253

비율(%) 4.1 16.5 20.5

일용직 빈도 8 41 49

비율(%) 0.6 3.3 4.0

자활근로 등 빈도 1 12 13

비율(%) 0.1 1.0 1.1

고용주 빈도 6 18 24

비율(%) 0.5 1.5 1.9

자영업자 빈도 7 64 71

비율(%) 0.6 5.2 5.8

무급가족 종사자

빈도 7 78 85

비율(%) 0.6 6.3 6.9

실업자 빈도 5 7 12

비율(%) 0.4 0.6 1.0

비경제활동 인구

빈도 46 357 403

비율(%) 3.7 29.0 32.7

전체 빈도 186 1,047 1,233

비율(%) 15.1 84.9 100.0

빈곤

저소득층 가구

빈도 14 116 130

2.113

비율(%) 1.1 9.4 10.5

일반가구 빈도 172 931 1103

비율(%) 13.9 75.5 89.5

전체 빈도 186 1,047 1,233

비율(%) 15.1 84.9 100.0

종교

없음 빈도 133 592 725

14.597***

비율(%) 10.8 48.0 58.8

있음 빈도 53 455 508

비율(%) 4.3 36.9 41.2

전체 빈도 186 1,047 1,233

비율(%) 15.1 84.9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