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조절효과 분석은 균등화 경상소득을 기준으로 빈곤가구와 일반가구로 구분한 범주형 데이터를 조절변수로 투입하고 이를 활용한 다중집단 분석을 실시 하였다. AMOS 구조방정식에서 특정 범주에 따라 변수의 범주별 다중집단 분석을 하면, 그 범주형 변수가 바로 조절변수가 되고 다중집단 분석의 결과가 조절효과 분석결과가 된다고 한다(허준, 2016).
구조방정식모델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검증방법에는 단순 경로 유의성을 비교 하는 방법, 두 경로계수의 차이를 t 값으로 계산하는 방법, 기저모델과 제약모델 간 의 적합도 비교를 통해 검증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있다. 본 연구의 조절효 과 검증은 그룹별로 동일한 위치의 계수들의 유의수준을 비교하는 방법을 사용하 였다.
먼저 모형은 χ2=740.237(df=290), GFI=.941, RMR=.038, RMSEA=.036, NFI=.894, TFI=.920, CFI=.932로 확인되어 양호한 적합도(mediocre fit) 기준을 통과하였다. 검증결과 일반가구는 배우자의 언어폭력이 여성의 문제음주 에 미치는 영향 β=0.73012(P<.05), 배우자의 언어폭력이 자아존중감에 미치
는 영향은 β=-0.57121(p<.001)로 나타나 유의하였으며, 배우자의 언어폭력 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β=-0.80905(P<.001), 배우자의 언어폭력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β=0.51559(p<.001)로 유의하였다. 자아존중감이 여성의 문제음주에 β=0.18053(P<.05), 우울이 여성의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 β
=-0.15839(P<.05)로 나타나 통계량 검증에서 유의하였다. 그러나 삶의 만족도 가 여성의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 β=0.3997(P>.05)을 보여 일반가구에서 빈 곤의 조절효과는 부분적으로 유의하였다.
검증 결과를 정리하면 일반가구에서 배우자의 언어폭력이 자아존중감, 삶의 만 족, 우울을 매개로 여성의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은 자아존중감과 우울의 경로 는 유의하였으나 삶의 만족도는 유의하지 않았다. 일반가구의 변수 간 유의성 확인 결과는 <표 4-13>에, 분석 모형은 [그림 4-4〕에 제시하였다.
<표 4-13> 일반가구 조절효과 잠재 변수 Standardized
Estimate Estimate S.E. C.R. P
언어폭력
→ 문제음주 0.73012 1.1938 0.57195 2.08724 0.037*
→ 자아존중감 -0.57121 -0.97981 0.11926 -8.2156 ***
→ 삶의만족도 -0.80905 -1.51043 0.18942 -7.97414 ***
→ 우 울 0.51559 0.56455 0.07386 7.64347 ***
자아존중
감 → 문제음주 0.18053 0.17209 0.07899 2.17855 0.029*
삶의만족
도 → 문제음주 0.3997 0.35006 0.19905 1.75864 0.079 우 울 → 문제음주 -0.15839 -0.23651 0.10775 -2.19505 0.028*
***p<.001, **P<.01, *P<.05
〔그림 4-4〕일반가구 조절효과 검증
빈곤가구는 배우자의 언어폭력과 여성의 문제음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 삶 의 만족도, 우울의 유의한 매개효과가 드러나지 않았다. 배우자의 언어폭력이 여 성의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 β=0.87873, 배우자의 언어폭력이 자아존중감 에 미치는 영향 β=-0.4528, 배우자의 언어폭력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 향 β=-0.90126, 배우자의 언어폭력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β=0.49759, 자아존중감이 여성의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 β=0.06896, 삶의 만족도가 여성의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 β=0.39327, 우울이 여성의 문제음주에 미 치는 영향 β=-0.173로 모든 변수의 인과관계에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빈곤가구의 경우 배우자의 언어폭력은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 우울 중 어느 하나의 변수도 여성의 문제음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빈곤가구의 변수 간 유의성 확인 결과는 <표 4-14>에 분석모형은 [그림 4-5〕에 제시하였다.
<표 4-14> 빈곤가구 조절효과 잠재 변수 Standardized
Estimate Estimate S.E. C.R. P
언어폭력
→ 문제음주 0.87873 1.36773 4.7152 0.29007 0.77
→ 자아존중감 -0.4528 -1.03053 0.56424 -1.82641 0.07
→ 삶의만족도 -0.90126 -3.24493 1.88458 -1.72183 0.09
→ 우 울 0.49759 1.14919 0.61796 1.85966 0.06 자아존중감 → 문제음주 0.06896 0.04716 0.18583 0.25379 0.80 삶의만족도 → 문제음주 0.39327 0.17001 1.06741 0.15928 0.87 우 울 → 문제음주 -0.173 -0.11659 0.21235 -0.54906 0.58
***p<.001, **P<.01, *P<.05
〔그림 4-5〕빈곤가구 조절효과 검증
조절효과 확인을 위한 분석결과 일반가구는 삶의 만족도를 제외한 자아존중감 과 우울을 매개로 배우자의 언어폭력이 여성의 문제음주에 영향을 미쳤으나 빈 곤가구에서는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 우울 모두가 두 변수 사이를 매개하지
않았다. 정리하면 배우자의 언어폭력과 여성의 문제음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 우울의 매개효과는 빈곤으로 인하여 부분적 차이가 확인되었으며 일반가구와 빈곤가구에 따라 부분적으로 조절효과가 발생했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