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한반도와 동북아 각국가의 사회 구성원들이 평화에 기반을 둔 경제발 전과 인간안보 구현으로 인한 삶의 질 향상을 공유할 때 진정한 의미 의 평화경제는 구현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평화경제의 궁극적 목표가 개별 사회 구성원의 행복 증진이어야 하는 이유이다.

반도 경제공동체 형성을 지향해야 할 것이다. 남북경협의 목표는 남 북 일방의 관점을 넘어 단일 경제공동체로서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한반도 평화경제가 되어야 할 것이다. 북한의 저임 노동력 및 지하자 원을 한국의 자본 및 기술과 결합하는 관점의 단편적 사고를 넘어 남 북 경제와 산업구조의 재편을 수반하는 미래지향적 한반도 경제공동 체의 형성을 지향해야 할 것이다.

신한반도체제의 평화경제의 공간적 영역은 획기적으로 확대된다는 점에서 남북경제공동체 형성과 이를 연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선 북방공간의 재해석이 필요하다.178) 러시아는 극동

시베리아 개발을 위한 신동방정책에 역점을 두고 있으며 중국은 일대일로 정책을 가속 화하고 있다. 한반도와 유라시아 대륙의 연계를 통해 교통

물류 및 에너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경제협력을 확대함으로써 해양에 의존 해온 한국의 발전전략 및 물류체계의 전환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한반도와 북방공간의 경제협력 확대는 남방공간과의 경제적 연계 성을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중국의 일대일로 정책과 러시아의 신동방정책의 실현을 위해서는 한반도라는 출구를 필요로 한다. 중국 의 동북3성은 한반도를 경유할 경우 경쟁력 있는 교통

물류체계를 확보할 수 있다. 러시아의 시베리아 횡단철도(TSR)와 극동

시베리아 의 에너지 자원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한반도를 경유하는 출구 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TSR과 한반도 종단철도(Trans-Korean Railway: TKR)를 연결하고 북한 내륙철도 현대화를 위한 남

러 협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러시아는 한반도와 에너지 네트워크의 형성을 통해 유럽에 편중된 에너지 수출시장을 동남아시아와 아태지 역으로 다변화할 수 있다.179) 한국은 배관, 에너지, 액화천연가스 플

178) 조한범, “한러관계와 한반도평화,” 󰡔한반도 평화를 위한 6.15의 해법󰡕(6.15 남북정상 회담 19주년 기념 학술회의 자료집, 2019), pp. 86~90.

랜트 기술선진국이라는 점에서 한

러 에너지 협력의 경쟁력 확보가 가능하다. 이를 통해 한국 에너지 수입선의 다변화와 경제성이 확보 될 것이며, 북한의 고질적 에너지난 해소도 가능할 것이다.

남방과의 협력강화도 필요하다. 남방공간은 북방공간과 달리 정치 군사적 이익보다는 경제적 이익의 비중이 높다는 점에서 평화경제를 확대재생산하는 지리적 토대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아태지역의 글 로벌 통합이 진전되는 흐름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평화경제에 친 화적이다. 남방과의 협력강화를 호주와 뉴질랜드 등 태평양 공간으로 확장하는 것은 기존 동아시아 발전지상주의 모델의 한계를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호주와 뉴질랜드의 농업과 서비스업의 비중이 높고, 환경

노동

교육 등 사회 문제 해결의 성숙도가 높은 국가라는 점에서 협력관계의 확대를 통해 기존 동아시아 발전모델을 개선할 수 있다.180)

한반도는 유라시아 대륙과 태평양 해양 경제권을 연결하는 지경학 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역내 경제통합의 중심으로서 잠재력 을 내재하고 있다. 신한반도체제의 실현을 통해 대륙국가로서 한반도 의 정체성을 회복하고, 대륙과 대양을 연계하는 허브국가의 위상정립 을 통해 21세기 ‘한반도 르네상스 시대’의 개막이 가능할 것이다.

179) 중동, 아프리카, 남아메리카와 한국, 중국, 일본까지 운송기간은 2주이나, 러시아 동 시베리아-태평양 송유관(Eastern Siberia-Pacific Ocean oil pipeline: ESPO)을 활용 한 러시아 코지미노에 원유선적 터미널의 경우 운송기간은 5일로 단축된다. 알렉산더 제빈‧스베틀라나 수슬리나, 󰡔한반도 통일이 러시아에 미칠 편익비용 분석󰡕(세종: 대 외경제정책연구원, 2014), pp. 79~82.

180) 이일영, “한반도경제와 평화경제,” (통일부‧통일연구원 주최 2019 한반도 평화경제 국제포럼, 2019.10.22.), p. 4.

Ⅶ. 신한반도체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