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러시아・중앙아시아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러시아・중앙아시아"

Copied!
4
0
0

Teks penuh

(1)

52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7-17호 2017.5.22

러시아 ・ 중앙아시아

▣러 Gazprom, ’17년 말까지 사할린 PNG의 對중국 공급 기본협정 체결 예정

¡ 러시아 Gazprom은 사할린 천연가스를 기존 파이프라인 시스템을 통해 중국으로 공급하는 프

로젝트에 대한 기본조건 협정을 2017년 말까지 중국 CNPC와 체결할 예정이라고 발표함(중국 일대일로 포럼, 2017.5.14).

러시아 가스의 對중국 공급 사업은 3가지 노선으로 추진 중임. ① 동부노선(Sila Sibiri 가스관) 을 통한 가스 공급계약은 2014년 5월 체결하여 2015년 4월에 착공하였으며, ② 서부노선(알타 이 가스관)을 통한 공급 사업은 ‘기본 조건에 관한 협정’만 체결된 상태에서 협상 중이며, ③ 기존 사할린-하바로프스크-블라디보스톡 가스관을 통한 공급사업이 새롭게 부상된 것임.

‒ 양사는 2017년 중순에 이 프로젝트에 대한 상무 협상에 착수할 것이며, 금년 말까지 법적 구 속력을 가지는 ‘기본 조건에 관한 문건’을 체결할 계획임.

・ 2015년 9월 3일 양사는 사할린 가스의 對중국 공급(연간 15Bcm)과 관련한 양해각서를 체결함.

‒ Gazprom의 Aleksie Miller 회장은, 사할린 천연가스를 이미 구축되어 있는 ‘사할린-하바로프 스크-블라디보스톡 가스관’을 통해 중국으로 공급하는 이 프로젝트를 동부노선(Sila Sibiri 가

스관)을 통한 對중국 가스 공급사업을 확장・발전시키는 개념으로 보고 있음.

사할린-하바로프스크-블라디보스톡 가스관(길이 1,800km)은 2011년 9월부터 운영을 시작하 였고, 연간 최대 30Bcm의 가스를 공급할 수 있음.

‒ 양사는 이 프로젝트에 대한 사전 타당성조사를 이미 수행하였고, 타당성조사 결과를 통해 경제 적 타당성 및 기술적 실현 가능성이 입증되었다고 Miller 회장이 발표함.

‒ 그리고 러시아 극동지역에서 생산되는 가스가 이 가스관을 통해 연해주에 위치하고 있는

Dalnerechensk 지역 내의 러시아-중국 국경을 통과해서 중국으로 공급될 것으로 예상됨.

자료: Gazprom

< 사할린-하바로프스크-블라디보스톡 가스관 노선 및 對중국 통과 지점 >

(2)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7-17호 2017.5.22 53

¡ 이밖에 5월 15일 열린 일대일로 포럼에서 Gazprom의 Aleksei Miller 회장과 중국 CNPC의

Wang Yilin 회장은, 중국 영토 내 지하 가스저장시설 및 화력발전소 건설과 관련한 일부 계약

및 협약을 체결하였음.

‒ (지하 가스저장시설 건설) Gazprom과 CNPC는 중국 헤이룽장성의 Sensing 2-1 매장지, 장쑤 성의 대수층, 장쑤성의 추저우 지역 3곳에 지하 가스저장시설 건설을 위한 3건의 사전연구 수 행 계약을 체결하였음(2017.5.15).

・ 이에 앞서 지난 2월 양사는 중국 영토 내 지하가스저장시설 건설에 대한 지질-기술학적 연 구 협정을 체결한 바 있음.

‒ (화력발전소 건설) Gazprom, CNPC, 중국화능집단(China Huaneng Group)은 중국 영토 내 전 력부문 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2017.5.15)하였으며, 이에 따라 중국 내 화력발전소 건설 프 로젝트 공동실현 가능성에 대해 연구할 계획임.

(Izvestia; Tass; 1Prime, 2017.5.14; Kommersant, 2017.5.14,15; Warandpeace; RG.ru, 2017.5.15)

▣러시아-사우디, 감산기간 9개월 연장에 합의

¡ 러시아 Aleksandr Novak 에너지부 장관과 사우디 Khalid al-Faleh 에너지부 장관은 금년 6월 에 만료될 예정인 산유량 감산기간을 2018년 3월 31일까지 9개월 더 연장하기로 합의하였음 (중국 일대일로 포럼, 2017.5.15).

2016년 말 OPEC과 러시아를 포함한 비OPEC 일부 산유국은 2017년 상반기에 2016년 10월 산유량을 기준으로 총 180만b/d를 감산하기로(러시아와 사우디의 감산량은 각각 30만b/d, 48.6만b/d) 합의했으며, 지난 4월 말에 OPEC과 러시아는 감산 의무량을 완전하게 이행함.

‒ 베이징에서 회동한 양국 에너지부 장관은 국제 원유재고를 지난 5년간의 평균 수준까지 감축 하기 위해 감산기간 연장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고, 이에 양국이 감산조치 연장에 대해 준비하 고 있다는 내용의 공동성명을 발표함.

・ 공동성명 발표 직후, 국제유가는 1% 내외 상승하여 뉴욕상업거래소에서 Brent유 가격은 배 럴당 0.95달러 상승한 51.82달러를, WTI유 가격은 1.02달러 상승한 48.86달러를 기록하였음 (FT, 2017.5.16).

‒ 사우디 Faleh 장관은 향후 감산기간 연장 동안의 감산량을 기존 합의한 대로 180만b/d로 유지 할 것이며, 오는 5월 25일 개최될 OPEC 정례총회에서 연장 합의에 대한 긍정적인 결정이 도 출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힘.

・ 또한, 감산에 동참한 비OPEC 산유국도 5월 25일 회동하여 감산기간 연장에 대해 논의할 것이며, 감산기간 9개월 연장 여부에 대한 최종 결정이 내려질 예정임.

‒ 일대일로 포럼에 참석한 푸틴 대통령 역시 유가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감산기간을 9개 월 더 연장하는 것은 올바른 조치이며, 최근 러시아의 대규모 석유기업들과의 회의에서 석유기 업들이 에너지부의 감산기간 연장을 지지했다고 밝혔음.

(3)

54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7-17호 2017.5.22

¡ 특히 러시아 Aleksandr Novak 에너지부 장관은 만약 기존의 감산 합의에 동참하고 있는 산유 국들이 5월 25일 비엔나에서 감산기간 연장에 최종 합의한다면, 2017년 러시아 석유 생산량 목표치가 수정될 것이라고 밝혔음.

‒ 러시아의 ‘중기 거시경제 전망 보고서(경제개발부, 2017.4월)’에 따르면, 2017년 석유 생산량

은 5억4,900만 톤으로 사상 최고치를 달성할 것으로 보고 있음.

‒ 2016년 러시아의 산유량이 2015년보다 2.5% 증가한 4억4,749만 톤으로 구소련 해체(1991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한 데 이어, 금년에도 종전 최고치를 경신할 것으로 전망되었음.

‒ Novak 장관은 OPEC과의 합의에 따른 감산량인 30만b/d를 4월 말에 완전히 달성하였으며,

5~6월에도 이를 유지할 것이라고 언급함.

‒ 또한, 감산기간이 연장된다는 전제하에, 2017년 말경 또는 2018년 초에 수급 균형이 이루어지 고, 원유 재고가 지난 5년간 평균 수준에 도달하는 등 안정될 것이라고 강조하였음.

(1Prime; RG.ru; Izvestia, 2017.5.13; Newsru; Oilcapital; Vedomosti, 2017.5.15; Financial Times, 2017.5.16)

▣러시아 원유의 對인도 수출량, OPEC의 감산 등으로 증가 추세

¡ 러시아 원유의 對인도 수출량이 연초 이후 100만 톤(730만 배럴) 이상을 기록하였으며, 이는 감산 합의에 따른 사우디 및 이라크의 공급 감소와 인도의 이란産 원유 수입 축소 등에 기인한 것으로 앞으로도 러시아 원유의 對인도 수출량 증가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Reuters가 보도함(2017.5.10).

Reuters는 원유 트레이더 및 선적 자료를 기반으로 해당 기사를 작성하였음.

‒ 인도가 2017년 초부터 러시아 Urals유의 구입량을 대폭 늘린 것은 자국 정유공장의 정제용 원 유 확보를 위함이었으며, 5월에만 55만 톤 이상의 Urals유가 러시아 Novorossiysk 항구에서 주로 인도 국영석유기업 Indian Oil Corporation으로 선적될 것임.

・ 2017년 이전까지는 러시아는 인도로 매년 평균 50만 톤(360만 배럴)의 원유를 수출했으며, 이 같은 러시아 원유의 對인도 수출은 비정기적으로 이루어졌음.

‒ 원유 트레이더들의 분석에 따르면, 인도 정유기업들은 OPEC 감산조치의 영향을 민감하게 받 아들이고 있는데, 사우디와 이라크가 감산 기간 중 우선적으로 對중국 및 對일본 수출량은 예 전처럼 유지하는 반면, 상대적으로 對인도 수출량은 불안정할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임.

전통적으로 인도는 석유 수입 수요의 대부분을 사우디, 이라크, 이란으로부터 확보하고 있음.

인도는 2016년에 2억1,500만 톤의 원유를 수입했으며, 최대 공급국은 사우디, 2위는 이라크, 3 위는 이란이었음.

・ 2017년 1~2월 중 사우디와 이라크의 對인도 석유 공급량은 감소하였고, 특히 Aramco는 금 년 여름의 국내 석유 소비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여 오는 6월 아시아로의 원유 공급량을 700만 배럴 줄일 계획이며, 이 중 인도로는 300만 배럴 줄일 것이라고 밝혔음(2017.5.9).

‒ 더욱이 2017년 인도의 이란産 원유 수입량은 20%나 감소할 수도 있음. 이는 인도와 이란이, 인도 ONGC社가 발견한 이란 내 Farzad B 가스전 개발사업을 놓고 마찰을 빚고 있으며 이로

(4)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7-17호 2017.5.22 55 인해 인도 기업들이 이란産 원유 수입물량을 1/4 줄일 것이라고 경고하였기 때문임.

・ 인도 정부는 이란 당국이 더 많은 자금을 제공할 제3기업이 나타나기를 기다리기 위해 인 도 컨소시엄의 Farzad B 가스전 개발계획을 지연시키고 있다고 비난하고 있음.

・ 이러한 영향으로 인도의 4월 이란産 석유 수입은 전월 대비 30만b/d 가까이 감소하였으며, 인도는 다른 공급 대안을 모색해야 했음.

¡ 또한, 트레이더들은 러시아 Urals유의 對인도 수출량 증가세가 2017년 러시아 원유 수출부문 의 새로운 트렌드 중 하나가 될 것이며, 앞으로 감산기간 연장이 최종 결정된다면 러시아産 원유의 對인도 수출 증가세가 일시적인 현상으로만 끝나지는 않을 것이라고 분석하였음.

‒ 또한 인도 정유기업들이 아직까지는 러시아 Urals유 공급에 대한 장기계약 체결을 준비하고 있지 않지만, 향후 감산기간 연장 결정 여부에 따라 상황이 달라질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음.

(Rigzone, 2017.5.9; Reuters; Oilprice; Petroleumworld; Vestifinance; Neftegaz, 2017.5.10)

Referensi

Dokumen terkait

경제적으로는 러시아의 대북 원유 지원과 나선 경제무역지대에 대한 투자, 러시아 극동지역에 대한 북한 노동자 파견 확대, 약 110억 달러에 달하는 북한의 대러 채무 등의 문제가 협의되었을 것이다.. 또한 회담에 양국 국방장관이 참석한 점을 고려할 때, 양국 간 고위 군인사 교류 확대와 군사장비 부품 제공 등의 문제도 협의되었을

- 북한의 제4차 핵실험1월 6일에 대해 미국이 작성한 유엔 안보리 제재 결의안 초안에는 대북 원유 수출 금지, 북한으로부터의 광물 자원 수입 금지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으며, 또한 북한 고려항공이 각국 영공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안도 들어갔다고 교도통신은 전함.. - 자하로바 대변인은 “해당 협정 서명의 러시아 측

‒ 러시아는 對유럽 가스 수출을 위해, 기존의 우크라이나 통과 노선을 우회하는 독자적인 가스 수출 파이프라인 건설을 적극 추진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발트 해 해저를 통과해 독일과 바 로 연결되는 Nord Stream-2 가스관수송용량 55Bcm/년 건설을 추진하고 있음.. ‒ 10월 초 Gazprom의 Aleksandr

원유 수출 감소 원인으로 자국 내 석유제품 수요 증가에 따른 정제량 증대가 지목됨.. ※ 러시아연방 에너지거래소 CDU TEKCentral Dispatching Department of Fuel and Energy Complex는 2013년 러시아 원유 수출량을 전년 대비 2.1% 감소 한 235백만 톤으로 평가하고

‒ 또한, 프로젝트의 경제적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Murmansk州 Kola 만Kola Bay에 4개 인공섬을 조성하여 조선소 공장을 세우고, 이곳에서 GBS와 플랜트 건설에 필요한 부품・장비들을 자체 생산・조달 할 계획임.. ⦁러시아 정부는 Kola 만에 4개의 인공섬을 조성하여 조선소 건설을 추진하고 있으며, Novatek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