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 - S-Space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 - S-Space"

Copied!
222
0
0

Teks penuh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교육학석사학위논문

워크숍을 활용한

한국어 이메일 쓰기 교육 연구

-러시아어권 고급 수준 유학생을 중심으로-

2019년 8월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전공

마슬러바 마가리타

(MASLOVA MARGARITA)

(3)
(4)

워크숍을 활용한

한국어 이메일 쓰기 교육 연구

-러시아어권 고급 수준 유학생을 중심으로-

지도교수 민 병 곤

이 논문을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2019년 4월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전공

마슬러바 마가리타 (MASLOVA MARGARITA)

마슬러바 마가리타의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을 인준함.

2019년 6월

위 원 장 

부위원장 

위 원 

(5)
(6)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 유학 중인 러시아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이 이메 일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워크숍(workshop)을 활용한 이메일 쓰기 교육 방법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실제로 워크숍을 진행하고 분석 하여 워크숍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보여주고자 한다.

지금까지 이메일 쓰기와 관련한 연구는 이메일의 장르적 특징과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교육 방법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기존의 다양한 연구들은 이메일의 특성과 이메일 교육의 필요성에 관해 학문적으로 새롭 게 조명하였으며 이메일에 관한 교육도 설계한 바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연 구는 교육을 바탕으로 효과를 검증하지 않았다는 한계가 있었으며 따라서 실제 학습자들을 위한 구체적인 영향력을 살펴볼 수 없다는 한계를 지닌다.

그러므로 학습자들의 이메일 교육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킴과 동시에, 이 메일의 의사소통적 특성을 전달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 방안과 관련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메일 관련 연구에 관한 검 토, 외국인 학습자의 상황에 대한 조사, 다양한 쓰기 학습법 모색을 통해 실용적인 이메일 교육을 위한 워크숍 학습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절차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방향 등을 살펴본 후 한국어 이메일 및 워크숍 학습법에 관한 문 헌 연구를 통해 워크숍 실험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그 후 선행 연구 와 요구 분석 및 심층 면담을 바탕으로 워크숍 프로그램 설계를 하였다. 또 한 이를 바탕으로 실제 진행할 워크숍의 구체적인 수업 절차(1회차~5회차) 및 교수 내용을 설계하였다. 이러한 프로그램을 실제 수업에 적용하고 결과 를 분석하였으며, 결과의 측정은 ‘반복측정’(repeated measure design, 한 집단에게 실험 전 테스트와 실험 후 테스트를 수행하여 비교하는 것) 방식 으로 양적 평가와 질적 평가를 병행하여 진행하였다. 실험 집단인 워크숍 학습법 대상자는 러시아어권 고급 수준 학습자로 하였다. 워크숍 효과 검증

(7)

은 구체적으로 사전 및 사후 이메일 작성 수행 능력을 점수표를 구비하여 채점하여 비교하는 양적 분석 방법과, 워크숍을 통해 발전된 이메일 내용을 세부적으로 분석하고 학생 저널(성찰일지)을 통해 학습자들의 소감 및 잠재 적 개선사항을 알아보는 질적 분석 방법을 병행하였다. 해당 워크숍 실험 설계를 통해 학습자들의 전반적인 실력 향상이 이루어졌으며, 이와 관련한 러시아어권 학습자의 애로사항과 추후 연구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워크숍을 기획하고 그 영향력을 측정하는 방향으로 실험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에 유학 중인 러시아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의 글쓰기 능력 변화를 실질적으로 측정, 성취 내용을 정량적인 데이터로 구현한 포함된 소 수의 연구 중 하나이며, 교육의 효과를 직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는 데 차 별화된 의의가 있다. 이러한 실질적인 검증 자료를 통해 추후 비슷한 교육 에 대한 수요가 있을 경우 학습법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과정에서 시행착오 를 줄이면서 학습자들의 교육적 요구사항도 만족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러시아어권 유학생과 같은 특정 집단 유학생들이 이메일 쓰기 와 같은 구체적이고 실증적인 영역의 역량을 개선할 수 있는 실험을 진행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와 같이 제2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분 야에서 이메일 쓰기법과 같은 다양한 장르의 교육 연구가 더 발전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핵심어: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 이메일 쓰기 교육, 한국어 이메일, 전자 우편, 워크숍 학습법, 러시아어권 한국어 학습자, 의사소통 능력, 학문 목적 학습자.

학번: 2013-23902

(8)

차 례

국문초록 ··· i

차례 ··· iii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선행 연구 ··· 6

1) 이메일에 관한 연구 ··· 6

2) 한국어 이메일 교재에 관한 분석 ··· 13

3) 워크숍 학습법에 관한 연구 ··· 15

3. 연구의 대상 및 방법 ··· 17

1) 연구 대상 ··· 17

2) 연구 방법 ··· 18

Ⅱ. 워크숍을 활용한 한국어 이메일 쓰기 교육의 이론적 전제 ·· 21

1. 이메일의 개념 및 특성 ··· 21

1) 이메일의 개념 ··· 21

2) 한국어 이메일의 특성 ··· 29

(1) 구성적 특성 ··· 29

(2) 기능적 특성 ··· 32

(3) 언어적 특성 ··· 33

(4) 담화적 측면 ··· 45

(5) 사회문화적 측면 ··· 46

2. 한국어 이메일 쓰기 교육에 관한 논의 ··· 47

(9)

3. 워크숍 학습법에 관한 이론 ··· 50

1) 워크숍의 개념 ··· 50

2) 워크숍의 운영 원리 ··· 53

3) 워크숍의 구성 요소 ··· 55

4) 워크숍의 교육적 효과 ··· 58

4. 한국어 이메일 쓰기 교육과 워크숍의 관련성 ··· 60

Ⅲ. 워크숍을 활용한 한국어 이메일 쓰기 교육 프로그램 설계 ·· 62

1. 러시아어권 학습자의 이메일 교육 관련 현황 분석 ··· 62

1) 요구 조사 ··· 62

2) 심층 면담 ··· 68

3) 시사점 ··· 72

2. 워크숍을 활용한 한국어 이메일 쓰기 교육 프로그램 설계 ··· 74

1) 한국어 이메일 쓰기 교육 프로그램의 원리 ··· 74

2) 한국어 이메일 쓰기 교육 프로그램의 진행 단계 ··· 80

3) 한국어 이메일 쓰기 교육 프로그램의 수업 자료 및 지도 내용 ·· 91

4) 한국어 이메일 쓰기 교육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수업 예시 ··· 95

IV. 워크숍을 활용한 한국어 이메일 쓰기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 105

1. 실험 설계 및 내용 ··· 105

1) 실험 절차 및 방법 ··· 105

2) 연구 대상 ··· 107

3) 실험 설계 ··· 108

(1) 실험 도구 ··· 110

(10)

(2) 실험 실행 단계 ··· 112

(3) 실험 결과 평가 ··· 113

(4) 연구의 타당성과 신뢰성 ··· 115

2. 실험 연구 결과 및 분석 ··· 116

1) 단일 집단의 전후 검사 결과 분석 ··· 116

2) 단일 집단의 사후 지연 검사 결과 분석 ··· 126

3) 예시 자료 분석 (전후 비교) ··· 127

(1) ‘상’ 학습자의 예시 분석 ··· 128

(2) ‘중’ 학습자의 예시 분석 ··· 136

(3) ‘하’ 학습자의 예시 분석 ··· 140

4) 사후 설문 조사 분석 ··· 147

5) 성찰일지 및 사후 인터뷰 분석 ··· 149

(1) 성찰일지 ··· 149

(2) 인터뷰 분석 결과 ··· 157

V. 결론 ··· 167

1. 요약 ··· 167

2. 제언 ··· 168

참고 문헌 ··· 170

부록 ··· 180

Abstract ··· 206

(11)

<표> 차례

<표 I-1> 이메일 쓰기 교육을 위한 교재 분석 ··· 14

<표 I-2> 한국어능력시험 평가 기준 ··· 17

<표 I-3> 연구 절차 및 연구 방법 ··· 20

<표 II-1> 이메일의 일반적인 구조 ··· 30

<표 II-2> 한국어 이메일의 구조 ··· 31

<표 II-3> 한국어 이메일의 구조 ··· 31

<표 II-4> Brown & Levinson(1987)의 공손 전략 유형 분류 ··· 34

<표 II-5> 한국어 이메일의 공손 표현 ··· 36

<표 II-6> 2인칭 대명사의 등급표 ··· 37

<표 II-7> 이메일에서 사용할 수 있는 첫인사의 예시 ··· 38

<표 II-8> 이메일에서 사용할 수 있는 끝인사의 예시 ··· 39

<표 II-9> 존경 어휘와 겸양 어휘 ··· 41

<표 II-10> 간접 화행 내용의 특징 및 예시 ··· 43

<표 II-11> 교육 내용에 대한 교수·학습 방법 ··· 49

<표 II-12> 작문 이론의 따른 교수·학습 방법 비교 ··· 54

<표 III-1> 요구 조사 참여자 자료 ··· 63

<표 III-2> 러시아어권 유학생의 한 학기 동안 이메일 발송 빈도 ··· 63

<표 III-3> 수신자 유형별 이메일 발송 현황 ··· 64

<표 III-4> 수신자 유형별 이메일 발송 부담감 ··· 65

<표 III-5> 이메일 발송 빈도가 가장 높은 수신 대상 ··· 66

<표 III-6> 수신자에 따른 이메일의 내용 빈도 ··· 67

<표 III-7> 심층 면담 대상자 자료 ··· 69

<표 III-8> 워크숍을 활용한 한국어 이메일 쓰기 교육의 목적과 목표 ·· 81

<표 III-9> 한국어 이메일 쓰기 워크숍 진행 단계 ··· 82

<표 III-10> 도입 단계에서 학습자와 교사의 교육 목표 ··· 84

(12)

<표 III-11> 모범적인 이메일 표현의 사례 ··· 86

<표 III-12> 교사의 설명 단계에서 학습자와 교사의 교육 목표 ··· 87

<표 III-13> 이메일 형식 견본 ··· 87

<표 III-14> 초고 쓰기 단계에서 학습자와 교사의 교육 목표 ··· 88

<표 III-15> 고쳐쓰기 단계에서 학습자와 교사의 교육 목표 ··· 89

<표 III-16> 수정하기 단계에서 학습자와 교사의 교육 목표 ··· 90

<표 III-17> 정리 단계에서 학습자와 교사의 교육 목표 ··· 91

<표 III-18> 한국어 이메일 워크숍의 수업 주제 및 순서 ··· 92

<표 III-19> 회차별 수업 지도 내용 ··· 93

<표 III-20> 도입 단계에서의 구체적인 수업 예시 ··· 96

<표 III-21> 교사의 설명 단계에서의 구체적인 수업 예시 ··· 97

<표 III-22> 초고쓰기 전 단계에서의 구체적인 수업 예시 ··· 101

<표 III-23> 고쳐쓰기 및 교정하기 단계에서의 구체적인 수업 예시 ···· 103

<표 III-24> 정리 단계에서의 구체적인 수업 예시 ··· 104

<표 IV-1> 실험 참여자 인적 사항 ··· 108

<표 IV-2> 연구 설계 ··· 109

<표 IV-3> 실험 전후 테스트의 주제 구분 ··· 111

<표 IV-4> 연구 실행 절차 ··· 113

<표 IV-5> 한국어능력시험(TOPIK) 작문 채점 기준 ··· 114

<표 IV-6> 한국어 이메일 평가 기준 ··· 115

<표 IV-7> 이메일 쓰기 평가의 채점자 간 신뢰도 ··· 116

<표 IV-8> 사전 및 사후 검사 결과 ··· 117

<표 IV-9> 영역별 ANOVA 결과 ··· 118

<표 IV-10> 영역별 사전검사 및 사후검사의 세부 지수 차이(N=16) ···· 119

<표 IV-11> 지연 검사 결과 ··· 126

<표 IV-12> 영역별 ANOVA 결과 ··· 127

<표 IV-13> 단일 집단의 워크숍을 활용한 한국어 이메일 쓰기 교육 적용 후 교수·학습 실태 ··· 148

(13)

[그림] 차례

[그림 III-1] 한국어 이메일 쓰기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모형 ··· 79

[그림 IV-1] 워크숍을 활용한 한국어 이메일 쓰기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실험 절차 ··· 106

[그림 IV-2] 구성 영역 사전 및 사후 검사 지수 차이 ··· 120

[그림 IV-3] 내용 영역 사전 및 사후 검사 지수 차이 ··· 121

[그림 IV-4] 언어 사용 영역 사전 및 사후 검사 지수 차이 ··· 122

[그림 IV-5] 표기 영역 사전 및 사후 검사 지수 차이 ··· 123

[그림 IV-6] 표현 영역 사전 및 사후 검사 지수 차이 ··· 124

[그림 IV-7] 사회언어적 격식 영역 사전 및 사후 검사 지수 차이 ··· 125

(14)
(15)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 유학 중인 러시아어권1) 한국어 학습자들이 이 메일2)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워크숍을 활용한 이메일 쓰기 교육 방법을 제시하는 데 있다.

모든 한국어 학습자의 목표는 한국어 원어민처럼 적절한 표현을 사용하 는 것이다. Canale & Swain(1980)은 원활한 의사소통 능력의 중요성을 주장 하며, 그런 능력을 키우기 위해 의사소통 능력의 하위 구성 요소3)를 둘로 나눈 바 있다. 첫째는 사회언어적 능력(sociolinguistic competence)으로 담화 가 이루어지는 사회언어적인 상황에 맞추어 적절하게 언어를 사용하는 능 력을 말한다. 둘째는 담화적 능력(discourse competence)으로 주어진 언어적 맥락에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1) 러시아어권이란 러시아어를 모국어나 제2언어로 사용하는 나라들로 주로 독립국가연합 인 CIS를 구성하는 나라들이다. CIS(Commonwealth of Independent States)는 러시 아, 몰도바, 벨라루스,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우즈베키스탄, 우크라이나, 카자흐스 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제2언어로 사용하는 학 습자를 제외하고 러시아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학습자 중심으로 연구를 할 것이다.

2) 본 연구에서 ‘이메일’과 ‘전자 우편’을 동일한 의미로 사용하며 ‘이메일’이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3) 의사소통 능력에 대해서는 역사적으로 학자들에 따라 다양한 견해가 있어왔는데 Canale

& Swain(1980)의 의사소통 능력이 가장 주목받는다고 할 수 있다. Canale & Swain은 의사소통 능력(communicative competence)이 네 가지의 하위 범주로 구성되어 있다 고 주장하였다.

1. 문법적 능력(grammatical competence): 형태, 통사, 의미, 음운 규칙에 관한 지식,

2. 담화적 능력(discourse competence): 담화 속의 문장들을 연결하여 일련의 발화문

으로부터 유의적인 전체 의미를 형성하게 하는 능력,

3. 사회언어학적인 능력(sociolinguistic competence): 언어와 담화의 사회 문적 규칙

에 대한 지식,

4. 전략적 능력(strategic competence): 언어 수행상의 변인이나 불완전한 언어의 능력

때문에 의사소통이 중단되는 경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사용하는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 소통 전략.

(16)

한편, Bachman(1990)의 의사소통 언어 능력(communicative language ability) 모형에서는 언어 능력을 조직적 능력(organizational competence)과 화용적 능 력(pragmatic competence)으로 구분하였다. 조직적 능력은 문법적 능력과 담화적 능력을 포함하는 반면, 화용적 능력은 발화수반 능력(illocutionary competence)과 사회언어적 능력(sociolinguistic competence)을 포함한다. 발 화수반능력은 언어의 기능적 측면으로, 의도된 의미를 전달하고 이해하는 능력을 말한다. 반면, 사회언어적 능력은 담화에서 사회적 맥락에 맞게 언 어를 구사하는 능력이다.

또한 Larina(2009)는 외국인과 의사소통 시 문법적, 어휘적, 문체적 실수 는 용인하지만, 윤리적 규범의 위반은 (the violation of ethical norms) 부정 적으로 인식됨을 발견하였다. 다시 말해, 외국어 학습자가 실제 의사소통을 할 때 언어적 지식 부족과 모국어 문화의 영향으로, 윤리적 규범을 위반할 경우 화용적 능력 중 사회언어적 능력에서 오류를 범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화용적 능력은 학습자에게 발생하는 문법적 오류를 분석하는 방 식으로 다루어졌으며, 문법적 부적절한 언어 사용을 ‘화용적 실패’라고 불렀다. 그러나 Tomas(1983)은 화용적 실패를 ‘발화 내용이 의미하고자 하 는 것을 이해할 수 없는 상태’라고 정의하여, 화용적 실패가 단순히 문법 적 사용에 한정되지 않는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화용적 실패를 화용언어적 실패(pragmalinguistics failure)와 사회화용적 실패(sociopragmatics failure)로 나누었다. 사회화용적 실패4)는 목표어에 대한 사회문화적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생기는 담화적 또는 상호작용적 실수를 말한다. 따라서 특정 상황에 서 사용된 어휘와 문법이 올바르다고 해도 문화적 차이로 문화적 충돌이 발생한다면, 화용적 실패가 나타날 수 있다. 또한 Clyne(1977)에서 사회문화 적 규칙이 복잡할 때 지속적인 의사소통이 단절5)(communication breakdown) 4) Tomas(1983)은 사회화용적 실패의 원인을 금기(taboos), 부담의 크기(size of

imposition), 가치관(values), 힘과 사회적 거리(power and social distance) 네 가지 로 나누었다.

5) Clyne(1977)에서 목표어의 사회언어학적 지식이 부족할 때 생기는 문제를 의사소통 단 절 (communicative breakdown)과 의사소통 마찰(communication conflict)로 구분 하였다. 의사소통 부족은 언어 지식의 부족으로 발생하며, 의사소통 마찰은 목표어에

(17)

과 의사소통 마찰이(communication conflict) 시작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마찰과 오류를 줄이기 위해 외국어 교육은 의사소통 기능을 강조 하면서 진행되었다. 따라서, 말하기와 듣기 능력이 실용적인 교육 과목으로 강조되었다. 그러나 최근 텍스트를 통한 의사소통이 증가하면서 외국어 수 업에서 ‘쓰기’가 다시 관심의 대상이 되었고, 인터넷과 스마트폰을 통한 쓰기 의사소통이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학습자들의 ‘쓰기’ 능력을 향 상시킬 수 있는 체계적인 교육 내용과 관련된 논의가 충분하지 않은 실정 이다. 그러므로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명시적이고 세분화된 교수 방법 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

기업 및 기관 곳곳에서 PC와 스마트폰 등 정보통신장비가 도입되면서 모 든 업무가 기존의 ‘면대면’ 방식에서 이메일 등을 중심으로 하는 디지털 글쓰기 방식으로 전환되었다. 따라서, 글쓰기 능력은 그 어느 때보다 중요 한 사회적 경쟁력으로 대두되고 있다(원진숙, 2004). 이메일은 의사소통 상 황의 구어와 문어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으며, 비교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쓰기 과정이다. 러시아인 외국어 학습자 입장에서 이메일 쓰기 시 사회문화 적 능력의 부족으로 사회적 규범에 적법한 공손한 이메일을 쓰는 데 어려 움을 표하고 있다. 특히, 이메일에서 허용되는 구어적 특성과, 이메일로 표 현되는 문어적 특성의 혼재가 외국인 학습자들 입장에서 곤란하게 인식된 다. 김요셉(2014)의 연구에서는 이메일 쓰기가 어려울 수 있는 특징이 다음 과 같이 제시되었다. 우선 첫 번째 특징은 이메일 작성자는 구어의 특성과 문어의 특성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두 번째 특징은 면대면 대화 와 달리 발신자가 이메일을 보낸 후 수신자가 이를 읽은 후에 즉각적인 의 미 수정이 어렵다는 점이다.

이와 같이, 이메일 쓰기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데 외국인 학습 자들의 어려움을 반영한 이메일 쓰기 교육의 필요성도 대두되었다. 그러나 그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프로그램의 방식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내재된 의사소통의 규칙을 알지 못해 발언자의 의도와 달리 상대방에게 전달됨으로써 나타나는 오해를 의미한다.

(18)

그 대표적인 예로 러시아에서의 한국어 교육을 들 수 있다. 러시아에서의 한국어 교육은 문법 설명을 위주로 하며, 쓰기와 말하기 같은 실제적인 의 사소통의 능력에 대해 소홀히 다루고 있다. 따라서 러시아 내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는 학습자의 실용적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제대로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러시아인 학습자들은 한국어로 이메일을 쓸 때 요구되 어지는 실질적인 한국문화적 요소가 부족하다.

현재 한·러 관계가 급격히 발전되면서 한국과 한국어에 대한 관심이 높 아지고 있어 한국에 유학하러 온 러시아어권 학습자가 점점 늘어나는 추 세6)에 있다. 많은 이들은 한국에 와서 다양한 분야에서 적극적으로 활동하 고 있으며 이와 함께 러시아 문화, 러시아어의 특징을 고려한 한국어교육의 중요성 역시 강조할 필요가 있다. 연구자들의 관심은 이 분야에 대하여 높 아지고 있으나 관련된 논문은 미흡하며 러시아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 로 차별화된 이메일 쓰기 교육은 현재까지 연구되지 않았다. 아울러 이메일 쓰기는 학습자가 다양한 사회적 활동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단이 되며, 따 라서 한국에서의 원활한 사회문화생활을 하기 위해 한국어 쓰기의 기본적 인 학습 내용으로도 그 중요성은 크다고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어 이메일 쓰기 시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안에 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러시아어권 유학생들이 한국 대학 유 학 과정에서 필요한 이메일 쓰기 능력을 기르는 데에 필요한 교육 내용과 방법을 체계적으로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러시아어권 유학생을 대상으로 워크숍(workshop)을 활용하여 한국어 이메일 쓰기 교육 방안의 효 과를 분석하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러시아어권 유학생을 대상으로 워크 숍을 진행하고 이를 통해 의사소통 능력을 구체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러시아인 학습자의 한국어 이메일 쓰기 교육 워크숍 활용에 관한 연구는 6) 교육부(www.moe.go.kr)의 2018년 교육 기본 통계에 따르면 2018년 기준으로 국내 체

류 외국인 유학생의 수가 200만 명을 넘었다. 2018년 기준 러시아인 유학생은 1,080명 으로 2013년 대비 52.1%가 증가되었다.

(19)

다음과 같은 필요성을 가진다.

첫째, 러시아어를 사용하는 학생들은 한국에서 가장 큰 그룹 중 하나이 다. 이들을 위한 교육 연구는 양국 간의 무역 및 경제 관계 발전과 한국 대 학의 연간 학생 수 증가에서 그 목적을 찾아볼 수 있다. 실제로 교육부에서 2018년에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러시아인 유학생은 1,080명에 달하며 5년 간 52%가 증가하였다. 따라서 러시아어권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교육의 필 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둘째, 많은 유학생들이 이메일 쓰기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서 대책이 필요 하다. 요구 조사 및 심층 면담에 따르면 실제 유학 상황에서 의사소통의 어 려움 중 하나로 이메일 쓰기라고 답한 바 있으며, 30명의 응답자 중 28명이 이메일 쓰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답변하였다. 자유롭게 쓸 수 있는 사 적인 이메일과 달리, 공적인 업무로 이메일을 보낼 때는 어법에 맞는 내용 과 형식을 제대로 갖추어 써야 받는 사람이 호감을 가지고 내용에 관심을 가지게 된다. 하지만 고급 수준의 학습자들도 공적인 이메일을 써야 할 때 제대로 예의를 갖춰 쓰기가 쉽지 않다. 실제로 이메일을 받았을 때 그 내용 을 살펴보기도 전에 예법에 맞지 않는 쓰기에 실망하여 첫인상이 흐려지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짧은 시간 안에 체계적으로 실용적인 지식을 전달할 수 있는 학습법의 도입이 필요하다.

셋째, 오늘날 러시아는 물론이거니와 한국에서도 한국어 이메일을 쓰는 데 있어서 특별하고 차별화된 교육 프로그램이 없다. 이로 인해, 한국에 유 학 온 러시아어권 유학생들은 시행착오를 통해 스스로 이메일 쓰기를 배우 게 된다. 이러한 시행착오는 무례한 이미지를 주거나 의사소통 간 장애, 학 생 학습 공동체 통합에 방해가 될 수 있다. 만약 한국어 이메일을 쓰는 법 과 관련된 차별화된 교육이 도입된다면, 이러한 문제를 상당 부분 경감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학문적 목적을 위해 이메일을 작성하는 워크숍 교육법 연 구를 계획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20)

첫째, 워크숍을 활용한 학습법이 러시아어권 학습자의 이메일 쓰기 학습 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지 검증한다.

둘째, 이메일 쓰기 워크숍이 러시아어권 학습자의 이메일 쓰기 능력의 질 적 능력 향상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한다.

셋째,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고급 러시아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이메일 쓰 기 능력 신장을 위한 워크숍 교수·학습의 특징 및 효과를 밝힌다.

2. 선행 연구

1) 이메일에 관한 연구

이메일은 중요한 의사소통 수단으로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만큼 최 근에 한국어 교육에서도 이메일 쓰기 교육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특히, 이 메일 쓰기 교육과 관련된 연구는 2010년대 이래로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먼저 이메일과 관련된 해외 선행 연구를 살펴보고자 한다. 원어민과의 면대면 또는 서면을 통한 대화에서 외국인(제2언어 사용자)들의 언어 사용 습관과 관련한 연구는 많지만, 언어 구사자들 사이의 이해 관계, 권력, 위 계, 정체성 등 사회문화적 맥락을 포함한 이메일 대화법 연구는 많지 않다.

일반적인 제2언어 사용자들의 이메일 사용법에 대한 연구는 언어습득 도구 로서의 이메일과 관련이 있다(Lee, 1998; Warschauer, 1995; Mansor, 2007).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대화의 매개체로서, 제2언어 사용자들의 이메일 사용 법에 대한 연구는 ‘제2언어 사용자와 원어민’ 또는 ‘제2언어 사용자 들’ 간의 이메일 교류가 어떻게 외국어 학습에 도움이 되며, 협력을 통해 어떻게 학습자의 글쓰기 실력이 향상될 수 있는지에 관한 연구 주제가 있 다(Cummins & Sayers, 1995; Pennington, 1996; Singhal, 1998; Warschauer, 1999).

또한, 제2언어 사용자들의 이메일 담화가 실제 제2언어 사용자의 구두 담

(21)

화와 얼마나 유사한지 또는 실제 문체와 어떻게 다른지 비교한 연구 역시 존재한다(Biesenbach-Lucas & Weasenforth, 2001). 하지만 실생활의 사회적 기능을 반영한 대화의 도구로서 제2언어 사용자가 이메일을 어떻게 사용하 는지에 관해 화용론적인 측면에서 바라보는 연구는 찾기가 쉽지 않다.

특히, 대부분의 관련 연구는 영어 이메일에 관한 연구가 많았으며 영어를 가르치는 데 있어서 이메일이 얼마나 유용한 도구인지 등을 강조한다(Lee, 1998; Warschauer, 1995). 한 연구는 이메일 쓰기 교육법이‘선생님과 학 생’, ‘학생과 학생’사이의 격식 또는 비격식적인 대화, 대화일지 교환 등에서 쓰일 수 있다고 강조했으나, 이메일의 교육적 기능만을 주목했다 (Belisle, 1996). 또 다른 연구는 이메일을 사용하는 학생들이 말을 더 많이 하고, 더 많은 질문을 하며 다양한 언어기능을 사용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또한 이러한 학생들이 더 자연스러운 대화체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는 연 구결과를 보여주었다. 즉, 이메일을 통해 수업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면 서 학생들의 글쓰기 과정을 관찰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한 것이다(Belisle, 1996).

비슷한 사례로 이메일은 학생들에게 실질적이며 자연스러운 대화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글쓰기 능력 향상에 필요한 독자적인 학습 기회를 주 며, 많은 학생들과 쉽게 대화를 나눌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고 Warschauer(1995)은 평가했다. 이메일은 정보, 접근 기회, 동기부여를 제공 하며 교육자에게는 더 효과적이고 즐거운 교육여건을 제공해준다.

Mansor(2007)에서는 이메일 담화를 통한 학습으로 협력 학습을 실시하였는 데, 이는 영어 학습 글쓰기 수업에서의 이메일 도입법과 관련되어 있다.

Mansor(2007)의 연구는 ESL 글쓰기 수업에서 이메일을 도입하는 전략을 모색 하고, 글쓰기 접근법과 모둠활동을 통한 협력 학습에서 이메일을 어떻게 활용 할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는 이메일 활용법이 성공적이기 위해서는 교사와 학습자 둘 모두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결론을 내렸다.

Cummins & Sayers(1995)은 이메일 대화를 통해 상호간의 문화를 배움으로 써 제2언어 사용자의 여러 문화에 대한 이해를 증진함과 동시에 자신의 문화

(22)

에 대한 정체성을 강화하는 이메일 학습 프로젝트의 예시들을 제공하였다.

Cummins & Sayers(1995)은 “고립주의와 애국주의를 통해 개인의 정체성을 보호하는 것보다 여러 문화에 대한 탐험을 통해 개인의 정체성을 강화시키는 것이 개인적인 또는 집단적인 인류의 발전에 훨씬 더 유익하다고 믿는다”라 고 주장한다. 이러한 이메일 학습법과 글쓰기를 통해 제2언어 사용자는 더 강 화된 글쓰기 능력을 확립할 수 있다.

대인관계의 대화 이메일을 통해 제2언어 사용자들이 습관을 파악한 몇몇 연구가 있다. Hatford & Bardovi-Harlig(1996)은 외국인 학생들과 영어가 모국 어인 학생들이 이메일을 통해 교수진에게 요청 사항을 어떻게 전달하는지 에 관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외국인 학생들이 영어가 모국어인 학생들보 다 완곡적인 표현을 더 적게 하며, 부정적인 인상을 주는 경향이 있다고 파 악되었다, 구체적으로 외국인 학생들은 필요한 설명을 덜 사용하고, 개인적 인 요구사항에 대한 이야기를 더 자주하며 교수진에 대한 부담감을 덜 가 지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제2언어 사용자들의 담화 습관은 교수의 기능 적 측면만 강조하고 사회관계적 측면은 고려하지 않는 모습을 반영한다. 이에 따라, 원어민 사용자들이 작성한 이메일 요청보다 외국인 학생들의 이메일 요 청이 덜 효과적이었다고 저자는 결론을 지었다. 또한, 저자는 외국인 학생들 이 전략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한 선택을 했으며, 그들이 대학교라는 틀 속에서 수반되는 학생들과 교수진의 다른 역할과 지위를 인식하지 못한다고 파악하였 다. 이 연구는 사회화용적인 관점에서 제2언어 사용자들이 교수진에게 이메일 로 요청할 때의 화용론적인 문제를 지적하지만, 외국인 학생들이 왜 그러한 선택을 했는지에 대한 그 어떤 해석도 제시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한편 대학생들의 이메일 요청과 관련하여 Chang & Hsu(1998)가 분석한 다 른 연구가 있다. 이 둘은 미국 대학교에서 교수 또는 대학생 친구들에게 보 낸 이메일에서 사용된 중국 학생들과 미국 학생들의 요청 전략이 어떻게 다른지에 관해 비교하였다. 미국 학생들은 이메일로 요청을 할 때, 요구사항 을 직접적으로 언급하였으나, 그러한 요청을 실현시키기 위해 선택한 언어의 형식은 다소 간접적이었다. 이와 반대로, 중국 학생들은 요청 시 요구사항을

(23)

간접적으로 언급하였으나, 언어의 형식은 오히려 직접적이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외국인들이 영어로 요청 사항을 전달할 때 나타난 특성과 관련하여 상 기 연구 결과와 맥락이 일치한다.

한국어 교육에서 이메일에 관한 연구는 업무 및 비즈니스 상황에서 쓰는 이메일 관련 연구와 학문 및 교육 기관에서 사용하는 이메일에 관한 연구 로 나눌 수 있다. 이메일 쓰기에서 언어학적인 텍스트의 구조, 표현 등에 관한 연구는 김상아(2010), 김아늠(2012), 김정윤(2018) 등에 의해 수행되었 다.

김상아(2010)는 업무 수행 관련 이메일을 중심으로 한국어 업무용 이메일 구조와 표현에 관한 연구하였다. 언어학적 텍스트 구조를 분석하기 위하여 여러 유형의 82건의 이메일을 수집하였다. 이를 통해, 이메일의 기능을

‘전보 전달 기능’, ‘수행 촉구 기능’, ‘수행 알림 기능’, ‘확인 알림 기능’ 네 가지로 나누고 기능별로 나타나는 구조적 특징과 표현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김아늠(2012)은 무역업 이메일 텍스트 분석을 통해, 비즈니스 목적으로 한국어를 학습하는 외국인 학습자들을 교육하기 위한 실제적인 어휘, 표현 및 텍스트의 특징을 파악하였다. 무역업체 내외부 이메일 총 149편을 수집 하였고, 이메일 텍스트를 구조적 특성, 언어적 특성, 전략적 특성에 따라 분 석하였다. 구조적 특성에서는 이메일의 전개 구조를 파악했으며, 언어적 특 성에서는 이메일 내 어휘와 문장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전략적 특성에서는 요청 및 거절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분석했다. 이러한 세 가지 방향에서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비즈니스 한국어 이메일 읽기와 쓰기를 위한 교육을 제시하였다.

김정윤(2018)의 연구는 본격적인 이메일 텍스트를 분석하고자, 한국인 사 무직 근로자들이 작성한 비즈니스 이메일을 수집하여 유형별 이메일의 구 조와 표현, 전략을 분석하였다. 구조 분석에서는 제목, 도입, 마무리를 중심 으로 살펴보았고, 미시적인 차원의 표현 분석에서는 이메일에 나타나는 어

(24)

휘와 관용적 표현, 담화표지 등을 분석했다. 마지막으로, 전략적 특성에서는 요청 이메일과 거절 이메일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비즈니스 한국어에서의 이메일의 작성 교육 방안을 제시하 였다.

담화분석에 관한 연구와 화행에 관한 연구는 Li Xin(2018), 홍진영(2013) 등이 있다. Li Xin(2018)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비즈니스 이메 일 담화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 직장인과 중국 직장인 의 이메일을 비교, 분석하였고, 교육 수준과 경험 차이에 따른 수행 양상 차를 확인하기 위해 중국 직장인과 중국 학부생의 이메일을 비교, 분석하였 다. 이메일에 나타난 언어·문화적 차이와 전략적 특성 등을 분석하는 것을 통해 중국인 학습자들을 위한 이메일 의사소통 교육 내용을 제시하였다.

국남(2016)은 이메일 텍스트를 언어학적 관점에서 분석하기 위해 중국인 직장인과 한국인 직장인이 작성한 회의록 및 이메일의 대조 분석을 실시하 였다. 풍예(2018)는 학문 목적의 중국인 중급 학습자 40명을 선정하여 실제 학교생활에서 부탁 목적의 이메일을 수집하여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부탁 상황에서의 공손한 표현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 로 부탁 목적의 이메일 쓰기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국가별 연구 측면을 살펴보면 홍인화(2013)의 연구를 예로 들 수 있다. 홍 인화(2013)의 연구는 캄보디아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이메일의 특성 을 분석했다. 한국어 모어 화자 45명과 캄보디아 한국어 학습자 40명이 작 성한 이메일 총 225편을 수집하여 의사소통 상황이 수반하는 맥락적 요소 가 한국어 이메일의 장르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수신자가 교수이며 격식적인 상황(상황 1), 수신자가 선배이며 격식적인 상황(상황 2), 수신자가 동급생이며 비격식적인(상황 3) 의사소통 상황을 설정하였다. 자료 수집 및 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상황에 따른 한국어 모어화자 의 장르적 특성을 담화 구조 및 문체적 특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런 분석을 통해 캄보디아인 학습자의 이메일을 비교하였다.

한국어 이메일의 요청 화행 연구로는 홍진영(2013)에서 논의한 연구가 있

(25)

다. 여기에서는 한국인과의 요청 전략 비교를 중심으로 중국인의 한국어 업 무 이메일 요청화행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학문 맥락에서의 이메일에 관한 연구로는 서영(2018), 김요셉(2014), 장매 림(2017), 김가람(2011) 등이 있다.

우선 학문 맥락에서의 이메일에 관한 연구 가운데 요청 관련 이메일 연 구로는 김가람(2011)의 논의를 참고할 수 있다. 해당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 와 요청하는 이메일을 주고받은 한국어 화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한국어 모국어 화자는 한국어 학습자로부터 공통적으로 식별되는 오류를 심층적 인터뷰를 통해 파악하였다. 해당 연구를 통해, 한국인 모국어 화자 가 느끼는 한국어 학습자의 오류로 이메일 텍스트(구성 요소, 제목 등), 단 락(정보 양 등) 및 문장(높임법) 분야가 있다고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해당 오류를 분석하여 한국어 학습자의 이메일을 개선할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 다.

한편 김요셉(2014)은 학업 및 교육 기관에서 사용된 이메일을 분석하였다.

다양한 국적의 48명 한국어 학습자들이 작성한 총 139건의 한국어 이메일 을 수집하여 사회문화적 맥락, 높임법 및 공손 표현의 사용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공손 표현을 크게 문법적, 화용적 및 전략적 측면으로 나누 었고, 학습자의 사용 정확도 따라 ‘상’, ‘중’, ‘하’ 세 등급의 난이도 를 매겼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학문 목적 외국인 학습자의 이메일 쓰기 를 위한 공손 표현 교육 방안을 마련하였다.

공손 표현에 관한 연구 중 하나로 장매림(2017)의 연구가 있다. 해당 연구 는 중국인 학습자로부터 총 193건의 이메일 수집하고 김요셉(2014)의 연구 에서 다루지 못한 한국어 이메일의 공손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울타리 표현, 강화 표현, 겸손 표현, 모호화 표현 등 공손 장치와 관련된 주의할 표 현을 전면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중국인 학습자의 특성 및 중국어의 영향 을 고려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해당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 방안 설계를 제시하였다.

서영(2018)은 중국인 유학생들 위한 이메일 쓰기 교육 방안 연구를 위해

(26)

이메일의 수행 기능을 하나의 변인으로 삼아서 ‘요청 기능’ 이메일, ‘문 의 기능’ 이메일, ‘사과 기능’ 이메일에 초점을 맞추었다. 3가지 기능의 구분으로 중국인 유학생과 한국어 모어 화자를 대상으로 총 192통의 이메 일 텍스트 자료를 수집하여 구조적 측면, 언어적 측면, 전략적 측면으로 이 메일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두 집단의 구조적인 상이점을 이메일 본문 부분에서 뚜렷하게 밝히고, 언어적인 상이점은 요청지지 행위에서 발견하였 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 이메일 쓰기 교육에서 외국인 학습자가 어 떠한 것을 더욱 강조하여 교육을 받아야 하는지 분석하였고 어떠한 것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한가에 대해서 제안하였다.

한국어 이메일 쓰기 교육에 관한 문화 교육 관련 내용은 오경숙(2011)의 연구에서 찾을 수 있다. 해당 연구는 한국어 이메일 쓰기 교육의 최종 목표 를 학습자의 의사를 문화적 맥락에 맞게 주장하는 것으로 주장하였다. 학습 자의 의사를 문화적 맥락에 맞게 이메일이 작성되려면, 이메일 쓰기의 담화 적, 내용적 구성 뿐 아니라 의도적 회행 수행 전략이 수반되어야 한다는 것 이 요지이다.

이러한 선행 연구 결과를 통해, 이메일을 통한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 해서는 체계적인 한국어 이메일 쓰기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이메일 쓰기 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실제 교육의 효율성에 대한 평가나 효과는 검증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 구는 한국어 이메일 쓰기 교육이 학습자의 실제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선행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워크숍을 활용한 실제 한국어 이메일 쓰기 교육 과정을 개발하고 한국어 이메일 쓰기 교육에 효과적으로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한국에 거주하는 러시 아인 유학생들을 중심으로 이메일 쓰기 교육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유학 상 황에서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이메일 쓰기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마 련하는 데 목표가 있다.

(27)

2) 한국어 이메일 교재에 관한 분석

본 절에서는 오늘날 이메일 쓰기 교육의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미란 외(2007)7)의 연구에서는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대학 글쓰기의 방법 과 글쓰기의 유형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글쓰기 유형 중에서 ‘이메일 쓰 기’는 포함하지 않았다.

유사한 사례로, 이정희 외8)(2007)의 유학생들 위한 글쓰기에 초점을 둔 연구에서도, 이메일 쓰기에 관한 내용은 언급하지 않았다. 이를 통해, 한국 어 쓰기 교육 부분에서 작문, 보고서, 답안지 등과 다양한 학술적 글을 분 석 대상으로 선정하여 진행한 연구는 많이 있으나, 정작 대학 생활에서 일 상적으로 접하게 되는 이메일 텍스트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는 점을 찾을 수 있다.

반면, 홍인화(2013)는 이메일 쓰기 교육을 위한 교재 분석을 실시하였다.

홍인화(2013)는 한국어교재에 제시되는 이메일(편지글) 텍스트의 담화를 <표 I-1>과 같이 분석하였다.

7) 이미란 외(2016)는 ‘외국인 유학생들 위한 대학 글쓰기’에서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글쓰 기 유형을 ‘주장하는 글쓰기; 감상문 쓰기; 비평문 쓰기; 자기소개서 쓰기; 이력서 쓰기’

로 나누었다.

8) 이정희 외(2007)는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글쓰기의 실제’에서 ‘설명문 쓰기; 논설문 쓰 기; 감상문 쓰기; 보고서 쓰기; 요약문 쓰기; 이력서, 자기소개, 학업계획서 쓰기’로 나 누었다.

(28)

교재 제목 의사소통 목적 친소 관계 격식 정도 경희대학교 중급 1 초청, 주문 등 요청하기 격식

서강한국어 3 (서강대학교 한국어교육원)

여행지에서 먹은

음식에 대해 전달하기 비격식

Active Korean 3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안부 전하기 비격식

연세한국어 3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안부 전하기 비격식

이화한국어 3-1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

유학 정보 부탁하기 비격식

<표 I-1> 이메일 쓰기 교육을 위한 교재 분석(홍인화, 2013: 6)

현재 증가하는 디지털 쓰기 의사소통의 증가와 이에 따른 학습 욕구를 반영하여 대학교 한국어 교재에서 이메일 쓰기를 담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 다. 그러나 이메일 쓰기는 한 단원 내 과제 수준에 그치며, 몇몇 예시 메일 에 그치고 있다는 한계를 지닌다.

시중에는 한국어 이메일 쓰기 개론서가 1종 출판되어 있다(오미남 외, 2018). 이 교재는 12가지 기능별로 24개의 예시 메일과 연습 상황을 제시하 였다. 그러나 이 교재가 제공하는 사례를 통해 학습을 진행할 경우, 작성한 내용에 대한 검토 및 평가를 받을 수 없다. 또한 외국인 학습자 입장에서 어렵고 복잡할 수 있는 구문에 대한 설명도 부족하다. 따라서 시중 교재만 을 활용하여 학습을 진행한다면 이메일 학습에 대해 성공적인 결과를 기대 하기 힘들다. 따라서 해당 교재에 나온 실질적인 사례는 워크숍에서 활용 하되, 해당 교재가 제공하지 못하는 검토와 설명을 동반해야 실질적인 교육 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러시아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이메일 쓰기 능력 향상

(29)

을 위한 워크숍을 기획하는 데 있어, 해당 교재의 내용은 선행 연구의 강조 점을 바탕으로 선별적으로 도입되었다. 다시 말해, 해당 교재에 나온 모범 적인 이메일 예시와 문법 연습 부분은 워크숍에 활용되었지만, 교재의 한계 를 극복하기 위해 선행연구에서 확인한 유의사항을 워크숍 교육과정에 반 영하여 워크숍을 진행하였다.

3) 워크숍 학습법에 관한 연구

최근 사회구성주의 관점의 쓰기 교육관이 대두되며 쓰기 교육에도 협동 학습, 협력 학습, 협동 작문, 소집단 작문 활동 등이 강조되고 특히 그 대표 적인 교수·학습 방법으로 쓰기 워크숍 활동이 주목받고 있으며 관련 연구 의 수 역시 매우 많다.

국내에서 워크숍에 관한 연구는 주로 국어교육 분야에서 이루어졌다. 워 크숍에 관한 연구는 크게 이론 정립과 교수·학습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특정 장르와 학년을 대상으로 쓰기 워크숍 프로그램을 적용한 연구, 쓰기의 정의적 영역 향상에 중점을 둔 연구로 나눌 수 있다.

워크숍의 이론 정립과 교수·학습 모형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로 원 진숙(2001b)과 황재웅(2009)을 들 수 있다.

원진숙(2001b)은 워크숍 중심 학습 모델에서 과정과 결과의 균형을 강조 하여 모형을 구축하였다. 해당 워크숍 쓰기 교육 모형은 도입, 쓰기 전 단 계, 초고쓰기 단계, 고쳐 쓰기 단계, 편집하기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러한 과정을 통해 실제적인 쓰기 수행 경험을 통해 결과물로서의 글을 작 성 하는 데 우선적 가치를 둔다. 이 연구는 후속으로 이어지는 쓰기 워크숍 에 관한 연구의 토대가 되며, 쓰기 워크숍의 교육적 가치를 정립하고 실제 적인 적용 모형을 개발했다는 점에 큰 의의가 있다.

황재웅(2009)은 기존의 작문 교육의 이론들이 특정 요소만 강조해 온 것 을 비판하였다. 해당 연구는 통합적 관점의 작문 교육의 중요성을 주장하고 이를 구현할 수 있는 교수 방안으로 쓰기 워크숍을 제시하였다. 저자는 쓰

(30)

기 워크숍을 활용하여 고등학교 1학년 국어과 수업에 적용하였고, 적용 결 과 해당 방식으로 수업을 진행한 실험 집단에서 쓰기 능력과 태도 면에서 탁월한 향상을 가져왔다고 밝혔다. 황재웅(2009)의 연구는 기존의 쓰기 워크 숍의 이론을 종합하고 국어 수업에서 적용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실제 활용 방법을 제시하였기 때문에 추후 연구를 계획하고 설계하는 데에 반영 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특성 장르와 학습자 대상으로 쓰기 워크숍을 진행하여 그 효과를 살펴본 연구로는 송선회(2005), 김지연(2014), 이은영(2014)의 연구가 있다.

송선회(2005)는 과정 중심의 쓰기 전략과 결과물 중심의 작품 완성 능력 을 병행하기 위한 쓰기 교수·학습 활동으로 쓰기 워크숍을 제시하였다. 해 당 교육 방식을 초등학교 3학년 생활문 쓰기 지도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의 생활문 쓰기 능력이 신장되었으며 특히 워크북을 활용한 쓰기 워 크숍 학습이 매우 유용했다고 밝히고 있다.

김지연(2014)은 쓰기 워크숍을 활용한 논설문 쓰기 프로그램을 만들고 이 를 중학생에게 적용한 후 쓰기 능력과 태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쓰기 워크숍이 중학생의 논설문 작성 능력이 상승하였으며, 태도 역시 더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결론을 내렸다.

이은영(2014)은 서사 창작 교육을 위한 쓰기 워크숍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이를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의 서사 창작 능력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으며 서사 창작 태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밝혔다.

홍진주(2015)에서는 쓰기 워크숍을 활용한 쓰기 불안 감소 지도 방안 연 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5학년 한 학급을 대상으로 쓰기 워 크숍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쓰기 불안 감소를 위한 쓰기 워크숍 프로그램 을 과정과 결과의 균형성의 원리, 상호 협력의 원리, 정서적 감정 교류의 원리를 기본 원리로 하며 기존의 쓰기 워크숍의 교수·학습 절차를 근간으 로 하되, 학생들의 쓰기 불안 감소라는 정의적 영역의 변화를 위해 ‘대화 하기, 도움 주고받기, 공감하고 칭찬하기’정서적 중점 교류 활동을 제시하

(31)

였다. 이러한 연구는 쓰기 학습에서 쓰기 불안을 감소시키고 글쓰기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며 학습자가 쓰기 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위의 연구들은 모두 특정한 글의 장르와 특정한 학년을 대상으로 이루어 진 연구라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공통적으로 쓰 기 능력과 태도 면에서 유의미한 효과를 얻었음을 밝혔으며, 이는 쓰기 워 크숍이 다른 장르와 학년의 쓰기 학습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미칠 수 있다 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3. 연구의 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 유학 중인 러시아어권 고급 수준 한국어 학습자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연구 대상자로 하여금 워크숍 전후에 직접 한국어 이메일을 작성하게 함으로써, 한국어 이메일 쓰기 교육의 효과를 측정하고 자 하였다. 해당 연구 대상자는 연구자가 직접 교사가 되어 진행하는 워크 숍 교육을 이해하고, 이메일 작성, 성찰 일지 작성 등의 견해 작성도 진행 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모든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위해서 연구 대상자는 한국어 고급 수준 학습자로 제한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 정의하는 고급 수준의 한국어 능력이란 한국어능력시험 (TOPIK)을 기준9)으로 고급에 해당하는 5급 및 6급 학습자들을 의미한다.

TOPIK

II 5급 190~

229

전문 분야에서의 연구나 업무 수행에 필요한 언어 능력을 어 느 정도 수행할 수 있으며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전반에 걸쳐 친숙하지 않은 소재에 관해서도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다. 공 시적·비공식적 맥락과 구어적·문어적 맥락에 따라 언어를 적절 히 구분해 사용할 수 있다.

9) <표 I-2> 한국어능력시험 평가 기준 (2016년 6월 현재)

(32)

해당 기준에 부합하는 연구 대상자를 선정하기 위하여, 한국 내 러시아인 유학생 커뮤니티에 모집 공고를 게재하였다. 기준에 맞는 지원자를 선정하 고 소집하여 연구의 주제와 목적을 설명했으며, 특히 이메일 쓰기 작성 교 육 경험을 이수한 적이 없는 학습자들을 우선적으로 선별하였다10).

2) 연구 방법

본 연구는 설계-개발 연구(design & development research)이다. 따라 서 워크숍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개발하여, 러시아어권 고급 수준 유학생들 을 대상으로 적용함으로써 설계-개발한 한국어 이메일 쓰기 교육 워크숍의 효과를 검증한다.

효과의 검증에는 질적 및 양적 연구 모두 사용하는 통합 실험 연구 분석 방법을 사용한다. 양적 연구는 실험 집단의 사전 실험과 사후 실험 결과를 비교하여 진행하고, 질적 연구는 심층적인 예시 분석, 성찰 일지, 인터뷰 및 사후 설문 조사로 진행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2장에서 한국어 이메일 및 워크숍 학습법에 관한 문헌 연구를 통해 연구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한다. 우선 학문 목적 이메일의 장 르적 특징과 차별성을 도출하기 위해, 한국어 이메일과 이메일 쓰기에 관한 선행 논의를 바탕으로 이메일의 개념과 특징을 제시한다. 연구에 이메일 쓰 기 워크숍을 설계하기 위해, 워크숍 학습법의 특징 및 이메일 쓰기 학습의 특징에 관한 선행 연구와 이론들을 살펴본다. 이러한 선행 연구 검토 결과 를 바탕으로 한국어 이메일의 특징에 맞게 3장에서 효과적인 이메일 쓰기 워크숍 프로그램을 설계하고자 한다.

6급 230~

300

전문 분야에서의 연구나 업무 수행에 필요한 언어 기능을 비 교적 정확하고 유창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전반에 걸쳐 친숙하지 않은 주제에 관해서도 이용하고 사 용할 수 있다. 원어민 화자의 수준에는 이르지 못하나 기능 수 행이나 의미 표현에는 어려움을 겪지 않는다.

10) 실험 대상자의 구체적인 정보는 4장 1.2절 내용을 참고.

(33)

3장에서는 더욱 세밀하게 설계-개발 연구(design & development research)의 방법론을 활용하여 워크숍을 활용한 한국어 이메일 쓰기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한다. 먼저, 선행 연구, 요구 조사 및 심층 면담을 바탕으로 프로그램 설계 기반의 이론적 절차를 세운다. 선행 연구와 관련 조사 결과 를 바탕으로 워크숍 본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수업 절차(1회차~5회차)를 설 계한다. 워크숍에서 강조했던 점과 그렇게 강조한 이유는 4장에서 더욱 자 세하게 분석될 것이다.

4장은 워크숍을 활용한 이메일 쓰기 교육이 한국어 이메일 쓰기 능력 신 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이메일 쓰기 워크숍의 효과를 검증하고 자 한다. 이를 위해 실험 집단으로 러시아어권 고급 수준 학습자를 대상으 로 삼고 실제로 이메일 쓰기 워크숍을 실시하며 그에 따른 결과를 분석한 다. 워크숍의 효과 검증은 단일 집단설계 분석 방법을 활용하며 한 집단의 실험 전 실험 후 테스트의 결과 분석을 바탕으로 실험을 실시한다. 예시 분 석을 통해 실제로 어떤 효과인지에 관해 검증하여 러시아 학습자의 한국어 이메일 쓰기 시 차별화된 특징을 밝히고자 한다. 또한 학습자의 학생 저널 및 사후 인터뷰 통해 학습의 효과를 알아본다.

아울러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고급 러시아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이메일 쓰기 능력 신장을 위한 워크숍 교수·학습의 특징 및 효과를 밝힌다.

워크숍을 활용한 한국어 이메일 쓰기 교육의 목표를 확립하고 워크숍을 활 용한 한국어 이메일 쓰기 교육 내용을 상세화할 것이다. 분석 결과를 바탕 으로 워크숍의 효과 및 특징을 밝히며 러시아어권 유학생들의 특성에 맞게 효과적인 이메일 쓰기 워크숍의 상세화된 교육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절차 및 연구 방법은 <표 I-3>과 같다.

(34)

연구 내용 연구 절차 연구 방법 I장

서론

·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관련 연구사 검토 II장

이론적 기반 탐색

· 이메일의 개념 및 특성 연구

· 워크숍 학습법의 개념 및 특성 탐색

· 이메일 쓰기와 워크숍 학습법 연결성

· 문헌 연구

III장 이메일 쓰기 교육 목적 워크숍

프로그램 설계

· 요구 조사 및 심층 면담 실시

(한국어 이메일 쓰기의 사용 실태 및 이메 일 쓰기 교육 요구)

· 본 실험 절차 보완 사항 탐색

· 설문 조사

· 심층 면담

· 워크숍을 활용한 이메일 쓰기 교육 프 로그램 설계를 위한 자료 수집 및 프로그 램 절차 설계

· 설계-개발 연구

IV장 프로그램

검증

· 워크숍을 활용한 한국어 이메일 쓰기 교육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실험 진행

· 통계분석:

사전사후 실험 및 지연 실험 분석

· 예시 질적 분석

· 학습자의 이메일 쓰기 워크숍에 관한 인식 및 태도 파악

· 사후 설문조사

· 성찰일지 및 인터뷰 분석 V장

결론 ·요약 및 제언

<표 I-3> 연구 절차 및 연구 방법

(35)

II. 워크숍을 활용한 한국어 이메일 쓰기 교육의 이론적 전제

본 연구에서는 러시아어권 유학생을 대상으로 워크숍을 활용하여 이메일 쓰기 교육을 하는 방안이 얼마나 효과적인지 분석하며, 이를 통해 쓰기 능 력의 개선으로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에 관한 여부를 확인하 고자 한다. 이 장에서는 워크숍을 설계하는 데에 필요한 이론적 토대를 마 련하기 위해 이메일의 개념 및 특성, 이메일에 관한 논의 및 워크숍 학습법 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1. 이메일의 개념 및 특성

1) 이메일의 개념

먼저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or CMC)에 대해 논의할 필요가 있다.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은 하나 및 두 개 이상의 전자기기를 통해 진행되는 인간 의사소통을 말한다(McQuail, 2005). 한편 Sauro(2012)에 따르면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은 사람 대 사 람의 의사소통으로 컴퓨터 기반의 전송과 관련 기술 활용으로 의사소통 구 성자 간 동시 및 순차적 의사소통을 말한다. 이메일은 이 의사소통에서 가 장 대표적인 수단이다.

이메일 외에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의 다른 종류로 카카오톡과 텔레 그램과 같은 인스턴트 메신저가 있다. 오늘날 개인용 통신 장비(스마트폰)의 보급으로 많은 사람들이 다양한 일상적인 대화에서 이러한 즉석 메신저를 사용한다. 즉석 메신저를 사용하는 범위는 일상 친구의 안부에서 학술적 의 사소통까지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즉석 메신저를 연구하는 것이 이메일을 연구하는 것에 포함해야 한다는 견해가 있을 수 있다.

(36)

물론 즉석 메신저 역시 문자의 전송을 기반으로 하는 활동이기에 기존 의 구두 방식과는 다른 특징이 있고 이메일 또는 채팅과 같은 방식과 유사 해 보일 수 있다는 견해도 있다. 하지만, 메신저의 즉석 메시지는 이메일과 차별화되는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다. 먼저, 대다수의 인스턴트 메시 지 사용자들은 같은 인스턴트 메시지 프로그램(앱, Application)을 이용해야 만 한다. 관련 사용자들이 모두 해당 프로그램을 사용한다는 전제 하에만, 사용자들이 기존의 방식보다 훨씬 더 빠르게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다.

David(2001)은 컴퓨터로 메시지를 주고받는 대화법은 일대일 커뮤니케이 션에 가까우며, 전화통화와 비슷할 수 있다고 해석하였다. 왜냐하면 인스턴 트 메시지는 한 개인이 다른 한 사람 또는 다수의 사람과 동시에 대화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O'rourke & Jettka(2010)는 인스턴트 메시지를 보낼 때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 이모티콘을 사용하는 특징을 언급하였다. 이러한 특징은 이메일이나 편지와 다른 점이라고 할 수 있다. Lee(2005)는 인스턴트 메시지의 중요 기 능 중 하나로 철자11)(spelling)를 왜곡하는 것을 언급했다. 이러한 특징들은 복합적으로 적용하여, 인스턴트 메시지에만 사용될 수 있는 특유의 문화를 만든다. 그 중 첫 번째는, ‘ㅇㅋ’, ‘굿굿’ 등과 같은 불완전한 형태의 줄임말과 관용적 표현이다. 이러한 문자는 복잡한 의미가 없으며, 간단한 일상적 상황에서 신속한 동의, 감정의 표현 등을 표현하는 데 유용하다. 따 라서 사용하는 표현처럼 인스턴트 메시지는 실시간 대화내용에 가까운 내 용을 전달하며, 따라서 문맥상에서 이해가 되기에 이메일보다 덜 형식적인 구조를 가지기도 한다. 그러므로 원초적 의미만 제공한다는 점에서 볼 때, 공식적인 의미를 전달하는 기능이 있는 이메일에 비해 오류나 오해의 여지 가 적을 수 있다. 둘째, 한정된 공간과 쓰기로는 불충분한 감정표현을 이모 티콘이나 스티커, 그림 파일 등을 통해 전달할 수 있다. 기존 쓰기 수단만

11) Lee(2005)에서는 ‘boy’를 ‘boi’로 왜곡하거나 ‘I don't know’를 ‘dunno’와 같은 형식으 로 왜곡하는 것을 대표적인 예시로 들었다. 이러한 예시는 특히 즉석 메신저에서 두드러 지게 나타난다.

(37)

으로 내용 전달이 부족할 때, 밀접한 상황을 묘사한 ‘스티커’나, ‘그 림’파일들은 감정의 신속한 전달과 대화의 즐거움을 높여 준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인스턴트 메신저를 사용한 대화는 비격식적이며, 일상 대화를 유지 하거나 일상 문제의 해결에 즉각적이고 효과적인 특징이 있다.

그러나 많은 문화에서 그러하듯이, 사회적 계층이나 위계가 낮은 사람이 일상에서 사용하는 언어문화를 자신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사람에게 먼저 사용하는 것은 무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친구와 지인 사이에서 인스턴트 메시지를 주고받는 데에 스마트폰 메신저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하더라도, 교수의 같은 사회적으로 높은 위치의 사람에게 이것을 먼저 제안할 수 없 다. 교수의 같은 사회적으로 높은 위치의 사람이 먼저 스마트폰 메신저를 사용하면서 전달할 때, 그에 대한 답변으로 대화에 참여할 수 있다. 따라서 메신저를 사용하지 않는 교수와는 학기 내내 메신저를 아예 사용하지 않게 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의사소통에 임하는 당사자 간의 사회적 계층이 다를 때, 계층이 낮은 사람이 높은 사람에게 우선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바 람직한 의사소통 매체는 교육적인 측면에서 바라볼 때, 원거리 대화를 위해 가장 접근이 쉽고 공식적인 수단인 이메일이라고 할 수 있다.

요약하자면 학습자들 입장에서 메신저보다 이메일이 중요한 이유는 다음 과 같다. 첫째, 메신저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양쪽이 모두 같은 메신저를 가 지고 있어야 한다. 반면, 이메일은 보편적인 대화의 수단이며 모두가 메일 네트워크에 접속한다면 언제든 받아들일 수 있는 확실한 대화의 형식이다.

둘째, 메신저의 기능은 일상생활의 범주에 있으므로, 교수가 먼저 학습자에 게 메신저의 접근을 허락하지 않으면, 메신저로 대화를 시작하기가 쉽지 않 기 때문이다.

학업 기관이나 단체에서 이메일의 역할은 여전히 중요하다. 따라서 외국 인 학습자들이 바람직하게 이메일을 활용할 수 있도록, 연구자들은 이메일 에서 학습해야 할 문화적 이해가 무엇이고 이와 함께 이메일을 정확히 무 엇으로 정의해야 하는지 모색할 필요가 있다.

(38)

Chen(2003)에 따르면 이메일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ㄱ. 이메일은 사람들 간의 의사소통 매체이다. 이메일은 장거리 의사소통 을 매우 빠른 속도로 가능하게 한다. 왜냐하면 이메일은 두 컴퓨터 사이에 서 몇 초 안에 서신을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사람들은 이메일을 통해 작성자가 원하는 시간과 상황에 맞춰 서신을 전달할 수 있다.

ㄴ. 다른 의사소통 매체와 비교한다면, 이메일은 손편지와 전화의 중간 단계에 위치해 있다. 그러나 이메일은 손편지보다 빠르고 편리하며, 전화처 럼 비싸거나 시간을 강요하지 않는다. 또한 이메일은 실질적으로 편지와 전 화가 제공하는 모든 의사 전달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ㄷ. 이메일은 쓰기 의사소통에서의 새 매체이다. 그러나 이는 언어 사용 에 새로운 혁신을 만든 것은 아니다. 이메일의 글은 기존의 쓰기 및 말하기 언어문화에서 유래하였다. 이메일은 단지 기존 편지가 종이에 쓴 내용을 스 크린에 표현한 것이기에, 기존 편지를 읽을 때 필요한 문해 능력과 문자 지 식은 여전히 유효하다.

ㄹ. 이메일은 편지보다 간결하게 표현된다. 따라서 전통적인 일목요연한 쓰기 형식에 간결하게 정보를 전달하는 말하기 형식이 합쳐진다. 따라서 이 메일은 쓰기 형식과 말하기 형식의 혼합이라고 할 수 있다.

ㅁ. 이메일은 가상 환경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현실 세계의 시각적인 사회적 장벽이 감소한다. 따라서 이메일 사용자는 현실 세계보다 좀 더 가 볍게 의사소통에 임할 수 있으며, 면대면 대화에서 민감한 주제도 언급될 수 있다.

ㅂ. 따라서 이메일 의사소통은 개인적 노출, 판단, 표현, 개인적인 이야기 등을 드러내는

Gambar

[그림 III-1] 한국어 이메일 쓰기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모형 23) 23)  본  교수-학습  모형은  황재웅(2009),  홍진주(2015),  원진숙(2001b)의  설계  이론을  바탕으
[그림 IV-1] 워크숍을 활용한 한국어 이메일 쓰기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실험 절차
[그림 IV-2] 구성 영역 사전 및 사후 검사 지수 차이
[그림 IV-3] 내용 영역 사전 및 사후 검사 지수 차이
+5

Referensi

Dokumen terkait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의료이용 양상의 심층적 분석이 가능한 ‘한국의 료패널’ 자료를 바탕으로 IPAQ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를 이용하여 노인의 신체활동 수준과 주관적 건강인식 및 의료이용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관련된 요인들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자의 신체활동

해당 모델은 본 논문의 목적인 기계학습 모델의 불확실성을 정량화하기 위해 제작된 예시 모델로서, 모델 학습을 위한 훈련데이터는 수집 기간과 이상치 처 리 여부에 따라 4개 세트로 구성하고 각각의 훈련데이터 세트를 통해 총 4개의 베이지안 신경망 모델을 제작하였다.. 하지만, 해당 예측 성 능과는 관계없이 모델에 내재된 불확실성의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안구 운동 을 통해 관찰한 학생들의 과제 해결 과정을 VA Model에 비추어 사고 수 준을 분석하고, 교육적 처치로 제시된 전략이 사고 수준에 어떠한 영향 을 미치는지를 조사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후속 연구로 다음과 같은 목표 및 의의를

HCI 관점에서 스마트워치 사용자의 알림 수신 이후 행동을 살펴보고, 응답 과정에서 사용자가 기억에 의존하는 부분을 구체화함으로써 현재 스마트워치 알림의 한계를 파악하고 극복하고자 하였다... 설문에 참여한 사람 중 일부는 이후의 본 실험에도 참여하도록

따라서 본 연구는 인간과 기술이 조화롭게 존재하는 미 래를 위하여, 현재 스마트기술이 소비자에게 어떻게 인식되고 있고, 소비자 는 그 것에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소비자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이를 통해 스마트기술이 제공하는 효용과 비효용을 포괄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기술이라는 집합적 기술에 대한 소비자들의

본 연구는 스마트폰용 모바일 앱 구매 영향 요인에 대한 연구로 선행연구를 통하여 유료 앱 구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특성 요인을 발굴하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들의 특정 요인들이 유료앱 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결과를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전략안을 제시할 것이며, 기존 연구에서 한걸음 더 나아간

본 연구는 심장이식 수혜자들이 건강관리를 위해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지속적인 건강관리를 실천할 수 있는 스마트폰 기반 자가간호 건강일지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IMB 모델을 기반으로 한 자가간호 건강일지 애플리케이션을

연구 설계 본 연구는 시설 간호사의 죽음과 임종간호에 대한 태도, 두 변수 간의 상 관관계, 그리고 죽음과 임종간호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기 위 한 횡단적,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의 윤리적 측면 본 연구는 연구 대상자 보호를 위하여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연구 대상자 보호 심사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