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 결론
2. 제언
해당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러시아어권 유학생들 위한 워크숍을 활용한 한국어 이메일 쓰기 교육 프로그램은 학습자의 이메일 쓰기 능력을 향상시 키며 이메일 쓰기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켜 실용적인 이메일 쓰 기 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연구자는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메일 쓰기 학습의 발달을 기대하 며 실제 워크숍을 활용한 이메일 쓰기 교육을 대학교와 같은 교육 기관에 서 도입되기를 기대한다. 다만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제언 을 하고자 한다.
첫째, 해당 워크숍과 다른 기능적 요소를 활용하여 프로그램을 설계, 효 과를 검증할 수 있다. 본 워크숍은 교수와 이메일을 주고받는 상황에 중점 을 두었기 때문에 그와 관련된 요청, 문의 등과 같은 내용을 다루었다. 비 슷한 학습 기간과 교육 방침으로 다른 상황을 반영한 워크숍을 진행하고 효과가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면, 해당 워크숍과 같은 방식의 효과를 더욱 견고하게 검증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의 실험 대상은 러시아어권 유학생들로 한정되었다. 다른 국가의 다른 학습자 집단으로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더 많은 수의 연구 대 상을 확보하여 본 프로그램을 적용, 그 효과를 검증해 보는 것도 의의가 있 을 것이다.
셋째, 워크숍 관련 교육 자료를 개발할 수 있다. 워크숍이 끝난 후, 학습 자들은 이메일의 내용과 관련된 예시와 구절이 있는 핸드북을 갖고 싶다는 의사를 표했다. 해당 핸드북은 이메일의 기능에 따라 다른 유형의 이메일을 쓸 때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한국어 이메일 쓰기 핸드북의 개 발은 추후 후속 연구를 위한 또 다른 주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핸 드북은 실제로 영어 이메일 쓰기 교육과 관련해서는 이미 널리 보급되어 있다. 그러므로 한국어를 공부하는 외국인 학생들을 위해 핸드북을 만드는 것과 관련된 연구 또한 유용한 연구 주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참 고 문 헌
1. 국내 논저
강인애. (1998). PBL에 의한 수업설계와 작용: 초등 사회과 수업사례. 교육공 학연구, 14(3), 1-31.
구본관·박재연·이선웅·이진호·황선엽. (2015). 한국어 문법 총론 1. 서울:
집문당.
국남. (2016). 중국 대학 고급 학습자를 위한 직업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회의록과 회사 간 이메일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권재일. (2012). 한국어 문법론. 파주: 태학사.
김가람. (2011). 한국어 요청 전자우편 쓰기 교수·학습 연구: 고급 학습자의 요청 화행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경미. (2013). 쓰기 워크숍 활동이 학생의 자기 필자로서의 자기 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상아. (2010). 한국어 업무용 이메일 구조와 표현에 관한 연구: 업무 수행 관련 이메일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석우·최태진·박상욱. (2015). 교육연구방법론(개정판 2판). 서울: 학지사.
김선희. (1996). 공손법의 원리와 실제. 목원대학교 논문집, 29, 5-25.
김성정·김용경·박석준·이동은·이미혜. (2015). 한국어 표현교육론. 서울:
형설출판사.
김수진. (2015). 비즈니스 영어 이메일에 나타난 원어민과 비원어민의 인사 말과 맺음말 표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아늠. (2012). 한국어 교육을 위한 비즈니스 이메일 담화 분석: 무역업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요셉. (2014).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이메일 쓰기 교육 방안 연 구: 공손 표현 사용을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용환. (2010). 러시아 인명(人名)의 특성과 형성과정. 슬라브硏究, 26(2), 39-62.
김정숙. (1999). 담화 능력 배양을 위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쓰기 교육 방 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한국어교육, 10(2), 195-213.
김정윤. (2018). 비즈니스 한국어 이메일 작성 교육을 위한 이메일 텍스트 분석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지연. (2014). 쓰기 워크숍이 중학생의 논설문 쓰기 능력과 쓰기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노대규. (1996). 한국어의 입말과 글말. 서울: 국학자료원.
민경복. (2009). 쓰기 워크숍(Writing Workshop)을 통한 자기소개서 작성하기 교수·학습 방안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민병곤. (2010). 표현교육론의 쟁점과 표현 영역의 중핵 성취기준, 한국어교 육학회 학술발표회 자료집, 195-207.
박영목. (2002). 협상을 통한 의미 구성과 협동 작문. 국어교육, 107, 101-133.
서영. (2018). 중국인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이메일 텍스트 분석 연구. 한양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국어교육연구소·언어교육원. (2012). 한국어 교육의 이론과 실제 2. 서울: 아카넷.
소만섭. (2002). Email 커뮤니케이션 연구: 언어학적 시각에서. 獨逸文學, 83, 420-441.
송선회. (2005). 쓰기 워크숍을 통한 생활문 쓰기 지도 방안: 3학년을 중심으 로.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신헌재·이경화·이재승·이주섭·김도남·한명숙·이수진. (2003). 국어과 협동학습 방안. 서울: 박이정.
양태영. (2009). 설명텍스트 분석을 활용한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상명대학 교 박사학위논문.
오경숙. (2011). 한국어 이메일 쓰기 수업에서의 언어문화교육. 우리말연구, 29, 393-416.
오미남·김원경. (2018). 쉽게 따라 쓰는 한국어 이메일. 서울: 소통.
원진숙. (2001b).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국어과 교수·학습 방법. 초등 교육 학술대회 자료집.
이미란·김현정·심영의·조은숙·조향숙. (2016). 외국인 유학생들 위한 대학 글쓰기. 서울: 경진출판.
이승연·김은호. (2014). 한국어 이메일에 나타난 공손 전략 연구: 공식적 요 청 이메일 분석을 바탕으로. 언어정보, 18, 113-136.
이승연·김은호. (2014). 한국어 이메일에 나타난 공손 전략 연구: 공식적 요 청 이메일 분석을 바탕으로. 언어정보, 18, 113-136.
이신(Li Xin). (2018). 비즈니스 한국어 이메일 의사소통 교육 내용 연구:
한·중 언어문화적 차이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연정. (2015).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을 위한 이메일 담화 연구. 語文論集, 61, 539-561.
이영호. (2005). 대면적 피드백 중심 쓰기 워크숍을 통한 쓰기 태도 신장 방 안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은영. (2014). 쓰기 워크숍을 통한 서사 창작 교육 방안 연구. 한국교육원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은하. (2007).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수행 평가를 위한 분석적 채점척도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재기. (1997). 소집단 협동적 작문 활동에 관한 고찰. 창람어문학, 17(1), 263-312.
이재승. (1999). 과정 중심의 쓰기 교재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이재승. (2003). 글쓰기 교육의 원리와 방법. 서울: 교육과학사.
이재승. (2005). 작문 교육 연구사. 한국어교육학회(편). 국어교육론 2. 서울:
한국문화사.
이정복. (2002). 전자편지 텍스트의 구조와 기능. 한국텍스트언어학회 텍스트언 어학 12, 93-118.
이정희·장미라·서진숙·봉원덕. (2007).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글쓰기의 실
제. 서울: 도서출판하우.
이학식·임지훈. (2015). SPSS 22 매뉴얼. 서울: 집현재.
장매림. (2017).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이메일 공손 표현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장미라. (2010). 예비 한국어 교사의 학습지도안 구성에 대한 연구: 수업 단 계별 교수ㆍ학습 활동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회 국어국문학, 154, 57 - 91.
장성민. (2018). 귀추적 사고 기반의 학습 목적 글쓰기 교육 연구. 서울대학 교 박사학위논문.
제효봉. (2015).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텍스트에 나타난 모국어 영 향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최지현·서혁·심영택·이도영·최미숙. (2007). 국어과 교수·학습 방법. 서울:
역락.
풍예. (2018). 한국어 공손표현 교육을 위한 부탁 목적의 이메일 쓰기 교육 방안 탐색: 학문 목적의 중국인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2000). 정보통신용어사전. 서울: 두산동아.
허상희. (2012). 대학생들의 전자편지 제목 분석: 교수와 학생 간의 전자편지 를 중심으로. 우리말연구, 30, 241-268.
허상희. (2013). 대학생들의 전자편지에 대한 화용론적 분석. 한민족어문학, 64, 155-189.
허인진·김정하. (2010). 이메일의 인터넷 커뮤니케이션 미디어로서의 속성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5, 206-207.
홍인화. (2013). 한국어 이메일에 관한 장르 분석적 연구: 캄보디아인 학습자 를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홍진영. (2013). 중국인의 한국어 업무 이메일 요청화행 연구: 한국인과의 요 청 전략 비교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홍진주. (2015). 쓰기 워크숍을 활용한 쓰기 불안 감소 지도 방안 연구. 한국 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황재웅. (2009). 쓰기 워크숍을 통한 작문 교육 방안 연구: 통합적 관점을 중 심으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국외 논저
Babin, E., & Harrison, K. (1999).
Contemporary Composition Studies:
a Guide to Theorists and Terms.
Westport: Greenwood Press.Bachman, L. F. (1990).
Fundamental Considerations in Language Testing.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Baron, N. S. (1998). Letters by Phone or Speech by Other Means:
The Linguistics of Email.
Language and Communication, 18,
133-170.Baron, N. S. (2000).
Alphabet to email: How Written English Evolved and Where It's Heading.
New York: Routledge.Biesenbach-Lucas, S., & Weasenforth, D. (2001). E-mail and Word Processing in the ESL Classroom: How the Medium Affects the Message.
Language, Learning and Technology, 5(1)
, 135-165.Brown, H. D. (1994).
Teaching by Principles
. New Jersey: Prentice Hall Regents.Brown, P., & Levinson, S. C. (1987).
Politness: Some Universals in Language Usag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Canale, M., & Swain, M. (1980). Theoretical Bases of Communicative Approaches to Second Language Teaching and Testing.
Applied Linguistics, 1
, 1-47.Chang, Y., & Hsu, Y. (1998). Requests on Email: a Cross-Cultural Comparison.
RELC Journal, 29
, 121-151.Chapman, D. (1997). A Comparison of Oral and Email Discourse in
Japanese as a Second Language.
On-Call, 2
, 31-39.Chen, C. E. (2003).
The Use of Email for Interpersonal Communication in a Second Language: A Comparative Case Study of Two
Chen, Y. (2015). Developing Chinese EFL Learners' Email Literacythrough Requests to Faculty.
Journal of Pragmatics 75
, 131-149.Chinese Speakers’ Email Practices in English
(Doctoral dissert ation). Retrieved from https://search.proquest.com/docview/30 5246593?accountid=6802Clyne, M. G. (1977). Intercultural Communication Breakdown and Communication Conflict: Towards a Linguistic Model and Its Exemplification. In Molony, C., Znbl, H., & Stolting W. (Eds.).
(1977).
Deutsch int Kontakt mit anderen Sprachen: German in Contact with Other Languages
. (pp. 129-146). Kronberg:Scriptor.
Cummins, J., & Sayers, D. (1995).
Brave new schools: Challenging Cultural Illiteracy Through Global Learning Networks.
New York: St. Martin’s Press.Danet, B. (2001).
Cyberpl@y: Communication online.
Oxford: Berg.David, C. (2001).
Language and the Internet
.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Fairclough, N. (1992).
Discourse and Social Change
. New York: Polity Press.Fairclough, N. (1995).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he Critical Study of Language.
New York: Longman.Fletcher, R. J. (2001).
Writing Workshop: the Essential Guide from the Authors of the Craft Lessons.
Portsmouth: Heinemann.Freeman, M. S. (1999).
Building a Writing Community
. Gainesville:Maupin House Publis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