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한국어 이메일 쓰기 교육에 관한 논의

본 절에서는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이메일 쓰기에 관한 논의를 하고자 한다. 이메일 쓰기16) 교육에 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논의를 살펴볼 수 있다.

먼저, 김요셉(2014)은 이메일은 구어와 문어의 특성을 함께 가지고 있기 에 원어민에게도 상황과 맥락에 맞게 사용하기 어려운 텍스트 장르로 분석 하였다. 따라서 이메일을 자주 사용하는 학습자들에게 이메일 쓰기에 대해 교육하는 것은 필요한 일이라고 주장하였다. 해당 연구는 장르 중심 접근법 에 따라 이메일 쓰기 교육 방법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ㄱ. 맥락화: 이메일 텍스트 장르의 기능과 발신자와 수신자의 관계 파악 하기

ㄴ. 모형화: 이메일 텍스트 장르의 구조 파악하기

16) Brown(1994: 327-330)은 텍스트의 종류가 아무리 다양하더라도 교실에서 다루어지는 글쓰기 교육 방식은 제한적이라고 주장하였다. 교실에서 이뤄질 수 있는 다섯 가지 교 육 방식은 다음과 같다.

1) 모방하기 또는 적어두기(imitative or writing down): 글쓰기를 배우는 첫 단계, 철 자법 등 규칙 습득 목적의 글쓰기 교육이다. 예) 받아쓰기(dictation),

2) 집중적 쓰기 또는 통제된 쓰기(intensive or controlled): 문법 학습 및 평가와 관련 된 쓰기로 학습자의 창의력이 요구되지 않는다. 주로 통제된(controlled) 글쓰기가 이루 어지며, 해당 글쓰기는 학생에게 유도가 되는 내용에 중점이 있다. 예) 주어진 단락의 구조 바꾸기, 시제 바꾸기, 딕토 콤프(dicto-comp, 단락을 2~3번 듣고 회상하여 다시 쓰는 연습) 등,

3) 스스로 쓰기(self-writing): 학습자의 주관과 역량에 따라 외부 간섭이 거의 없이 글 을 쓴다. 예) 노트 필기, 일기, 저널 쓰기 등,

4) 전시적 쓰기(display writing): 평가와 점수 측정을 위한 목적으로 쓰는 글쓰기 교육 이다. 학습자의 성취를 측정하기 때문에 학문 목적 ESL 학습자들에게 필수적으로 요구 되는 과정이다. 예) 단답형 연습문제, 에세이 시험, 연구 보고서 등,

5) 실제적 쓰기(real writing): 생활에서 일정 목적이나 용건을 가진 쓰기 활동으로, 진 정한 의사소통 목적의 글쓰기와 같다고 할 수 있다. 크게 세 가지 하위 범주로 나눌 수 있다.

a. 학술적 쓰기(academic) : 학생 및 학생-교사 간 학술적 정보 전달 목적 글쓰기, b. 직무/기술적 쓰기(vocational/technical) : 직장 내 지시, 서류 작성 등 글쓰기, c. 개인적(personal) : 일기, 편지, 엽서, 메모 등 개인적 비형식적 글쓰기.

ㄷ. 협상: 교사와 학습자가 협의하여 함께 이메일 쓰기 ㄹ. 작성: 학습자 홀로 이메일 쓰기

ㅁ. 연결: 작성한 이메일 비교하기

오경숙(2011)에 따르면 한국어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이메일 쓰기 수업의 목표는 이메일을 통해 학습자의 의도를 한국어의 사회문화적인 맥 락에 맞게 전달하는 능력을 갖추도록 하는 데 있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 해서는 ‘수신자의 사회문화적인 변인에 맞는 언어 표현’, ‘의도한 화행 을 수행하기 위한 전략’, ‘이메일 쓰기의 내용적·담화적 구성’이 교육 내용으로 포함되어야 한다.

장매림(2017)은 중국인 학습자 중심으로 된 텍스트를 분석하였으며, 해당 분석을 바탕으로 이메일 쓰기 교육 방안을 세부적으로 계획하였다. 해당 연 구에서 분석한 교육 내용에 대한 교수·학습 방법은 <표 II-11>과 같다.

교육 내용 하위 분류 교수·학습 방법

구성적

구조

장르 중심 쓰기 접근법 제목

호칭 인사 서명 문법적(높임법)

어휘

숙달도 중심 교수법 형태

문장

화용적

공손 장치

간접 화행 완화 표현 강화 표현 겸손 표현

모호화(생략) 표현 과제 중심 교수법 기타 주의

표현

지나친 구어체 표현 이모티콘 문장부호

문화적 (공손 문화)

지위 및 나이 차이로

인한 불평등 정도 교사의 설명 +

모국어 문화와 대조 발표

예사 어휘에 대한 관용 정도

돌려서 표현하기에 대한 선호도

<표 II-11> 이메일 교육 내용에 대한 교수·학습 방법(장매림, 2017: 135)

장매림(2017)의 연구는 이메일 쓰기가 언어적 층위마다 학습법이 달라야 함을 강조하였다. 또한, 과제 중심 접근법과 장르 중심 접근법을 결합할 필 요가 있다는 사실을 강조하였다. 언어층위마다 학습법이 다르기 때문에, 교 육 설계 이메일 쓰기 교육에서 여러 가지 학습법을 결합했다. 예를 들어, 구성적 측면에서는 장르 중심 접근법을 활용하며, 화용적 측면에서는 과정 중심 접근법을 활용한 학습을 설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문법적(높임법) 측면에서 높임법 등 설명을 하기 위해 숙달도 중심 교수법을 도입했다. 숙달도 중심의 교수법을 통해, 이메일의 목적에 맞는,

수신자의 사회문화적인 변인에 어긋나지 않는 이메일을 쓰기 위하여 사회 문화적 특징을 교육할 수 있다. 따라서, 외국인 학습자의 성공적인 의사소 통을 위한 한국어 이메일 쓰기가 이루어지려면 광범위한 문화적 지식을 습 득하는 통합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이러한 사회문화적 특징과 관련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적절한 이메일 쓰기 교육 학습법 설계를 위하여 다음과 같 은 요구를 충족해야 한다.

우선 이메일 쓰기 교육은 개별 언어적 층위에서의 지식을 포함할 수 있 는 통합적인 교육 접근법을 적용해야 한다. 즉, 광범위한 지식과 실제적인 작문 경험을 동시에 실시해야 한다. 이메일 쓰기 교육의 주요 목표는 학습 과정에서 실제 상황에 사용될 수 있는 효과적인 의사소통 과정을 달성하는 것이다. 또한, 사회문화적 학습의 관점에서 이메일 쓰기는 개인적인 관계 요소, 발신자-수신자 간 관계를 보완해서 반영해야 한다.

이메일 쓰기에서는 작성자가 맺고 있는 관계가 무엇보다도 중요하기에 이메일 쓰기 교육은 교사의 역할이 중심이 아니라 학생이 중심이 되는 교 육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메일 쓰기를 진행할 학습자의 사회적 입장이 다 르므로, 교육자의 입장이 아닌 학습자 중심의 지향성을 반영하여 쓰기 교육 을 도입해야 한다.